목차
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①제1기(아테네의 아카데메이아 시절)
②제2기(여행)
③제3기(리케이온의 창설과 지도)
2)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철학
①행복의 요소로 본 신체
②중용의 신체윤리
3) 아리스토텔레스의 신체관
(1) 태아기
(2) 유아기
(3) 유년기
(4) 소년기(8세~사춘기)
4) 아리스토텔레스가 현대 체육에 미친 영향
☞ 참고문헌
①제1기(아테네의 아카데메이아 시절)
②제2기(여행)
③제3기(리케이온의 창설과 지도)
2)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철학
①행복의 요소로 본 신체
②중용의 신체윤리
3) 아리스토텔레스의 신체관
(1) 태아기
(2) 유아기
(3) 유년기
(4) 소년기(8세~사춘기)
4) 아리스토텔레스가 현대 체육에 미친 영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그의 많은 저서 가운데서 특히 <정치학>, <윤리학>, <영혼론>등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신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육체는 그 발생에 있어서 정신에 선행한다. 또한 신체는 영혼의 현실성이 아니라 오히려 영혼이 육체의 현실성이다. 그러므로 영혼은 육체 없이 존재할 수 없고 또 그 자체가 육체 자신일 수도 없다.”라고 언급했다.
여기서 그는 육체와 영혼을 분리된 존재로 보지 않았으며 상호 필요충분조건에 의한 심신조화론 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통해서 체육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그의 형이상학, 존재론, 윤리학 등에서 현대체육에 대한 여러 중요한 함축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심신론에 “인간이 선량하고 유덕하게 되는 데는 본성과 습관 그리고 이성 등의 세 가지 조건이 있으며 인간은 누구나 동물이 아닌 인간으로 태어나지 않을 수 없으며 따라서 일정한 성질의 몸과 마음을 갖지 않을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건전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A Sound Mind in A Sound Body)>라는 말은 심신의 조화적 발달을 중요시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에 관한 사상을 시대적 배경에서 살펴보겠다.
우선 체육은 아테네에 있어서 국민생활의 하나의 통합적 기능을 가지고 발전하였다. 그러므로 체육의 목적도 교육의 일반적인 이상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으며 그것은 단지 신체의 수련뿐만이 아니라 신체를 통하여 개성을 발전시키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체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를 비롯한 교육철학, 예술, 심리학, 윤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강조한바 있다. 그리고 극단을 피하여 중용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서 이는 누구나 자기에게 가능하고 적당한 것을 연령에 맞추어 추구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체육 목적의 중요성에 관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의사들은 가끔 건강한 신체가 어떤 것인지를 올바로 판단하지 못할 뿐 아니라 또 목전의 목적을 위하여 효과적인 수단을 사용하지 못하는 때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기술과 학문에 있어서 목적과 수단을 다같이 지배할 수 있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 사상에 대해 결론을 내려보면 지적인 개발에 앞서서 신체의 단련이 선행되어야 하며 신체적 탁월성의 결과로서 체육을 적극 장려하며 극단을 피하여 개개인에게 적당한 양의 식사와 신체활동을 해야 한다는 중용의 원리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체육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주장이나 이론을 전개한 바는 없지만 그의 철학적 사상 속에 내포되어 있는 체육이론과 경험을 중시하는 사실주의적 사상은 오늘날 체육이 지향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뚜렷하게 밝혀줄 것이며 앞으로 체육의 가치관 정립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참고문헌
비교체육론, 김홍만, 1998, 대학서림
체육학도를 위한 철학사와 체육, 스포츠 철학 개관, 김흥수, 2004, 도서출판 홍경
그는 신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육체는 그 발생에 있어서 정신에 선행한다. 또한 신체는 영혼의 현실성이 아니라 오히려 영혼이 육체의 현실성이다. 그러므로 영혼은 육체 없이 존재할 수 없고 또 그 자체가 육체 자신일 수도 없다.”라고 언급했다.
여기서 그는 육체와 영혼을 분리된 존재로 보지 않았으며 상호 필요충분조건에 의한 심신조화론 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통해서 체육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그의 형이상학, 존재론, 윤리학 등에서 현대체육에 대한 여러 중요한 함축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심신론에 “인간이 선량하고 유덕하게 되는 데는 본성과 습관 그리고 이성 등의 세 가지 조건이 있으며 인간은 누구나 동물이 아닌 인간으로 태어나지 않을 수 없으며 따라서 일정한 성질의 몸과 마음을 갖지 않을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건전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A Sound Mind in A Sound Body)>라는 말은 심신의 조화적 발달을 중요시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에 관한 사상을 시대적 배경에서 살펴보겠다.
우선 체육은 아테네에 있어서 국민생활의 하나의 통합적 기능을 가지고 발전하였다. 그러므로 체육의 목적도 교육의 일반적인 이상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으며 그것은 단지 신체의 수련뿐만이 아니라 신체를 통하여 개성을 발전시키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체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를 비롯한 교육철학, 예술, 심리학, 윤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강조한바 있다. 그리고 극단을 피하여 중용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서 이는 누구나 자기에게 가능하고 적당한 것을 연령에 맞추어 추구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체육 목적의 중요성에 관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의사들은 가끔 건강한 신체가 어떤 것인지를 올바로 판단하지 못할 뿐 아니라 또 목전의 목적을 위하여 효과적인 수단을 사용하지 못하는 때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기술과 학문에 있어서 목적과 수단을 다같이 지배할 수 있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 사상에 대해 결론을 내려보면 지적인 개발에 앞서서 신체의 단련이 선행되어야 하며 신체적 탁월성의 결과로서 체육을 적극 장려하며 극단을 피하여 개개인에게 적당한 양의 식사와 신체활동을 해야 한다는 중용의 원리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체육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주장이나 이론을 전개한 바는 없지만 그의 철학적 사상 속에 내포되어 있는 체육이론과 경험을 중시하는 사실주의적 사상은 오늘날 체육이 지향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뚜렷하게 밝혀줄 것이며 앞으로 체육의 가치관 정립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참고문헌
비교체육론, 김홍만, 1998, 대학서림
체육학도를 위한 철학사와 체육, 스포츠 철학 개관, 김흥수, 2004, 도서출판 홍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