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다발성 골수종 케이스 스터디 (통증 비롯한 간호진단 3개, 논문 기반 간호중재 14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다발성 골수종 케이스 스터디 (통증 비롯한 간호진단 3개, 논문 기반 간호중재 14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상자 사정
Ⅱ. 신체 사정
Ⅲ. 진단 검사
Ⅳ. 투약
Ⅴ. 우선 순위 설정

Ⅵ. 간호과정
1.1.1.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된 만성통증
1.1.2. 골수억제 및 항암치료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1.1.3. 스트레스 상황과 관련된 불면증

본문내용

생활 활동 양상, 수면 시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사정하고 PSQI-K척도를 활용해 사정한다.
수면 방해 요인을 사정하여 원인을 제거하고, 수면 양상을 모니터링하여 수면의 질을 평가한다.
- 대상자는 면담 시 싶은 수면이 어려운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를 호소하였다. (“사람들 오고가는 소리도 시끄럽고, 히터 돌아가는 것도 시끄럽고, 아파서 잠도 잘 안 오고 밤새 잘 못 잔다.”)
-대상자는 PSQI-K척도 6점으로 여전히 수면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 대상자는 수면 일지 작성의 장점을 이해했다고 말했다.
- 대상자는 수면 일지를 매일 작성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일지를 쓰려고 하니까 기억이 안나.”)
1-2. 수면 일지 작성의 장점에 대해 교육하고 매일 기록하도록 격려한다.
스스로 수면 양상을 기록하여 수면 방해요인과 촉진요인, 시간 등을 관찰하고 수면 방해 요인을 발견하여 개선할 수 있다.
2.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2-1. 처방에 따라 수면유도제와 진통제를 투여한다.
수면유도제는 대뇌피질의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히스타민 활성을 억제하여 수면을 유도하고 뇌의 각성을 억제한다. clonazepam은 진정, 항불안, 항경련 작용이 있고 GABA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여 수면유도 효과가 있다.
- 처방에 따라 수면유도제와 진통제를 투여하였고 숙면을 취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3. 수면을 방해하는 생활 습관을 사정하고 교육한다.
3-1. 잠이 오지 않을 때 억지로 수면을 취하기보다 라디오듣기 등 가벼운 활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억지로 자기 위해 애쓰면 수면 환경에 조건화된 각성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 대상자는 잠이 오지 않을 때 불경을 들었다고 말했다.
- 대상자는 보행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병동 걷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 대상자는 오후 4시 이전에 커피를 한 잔 마신다고 말했다.
- 매일 병원 일과에 맞춰 식사하고 생활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야간 라운딩 시 웅크린 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병실이 춥다고 호소하여 요청에 따라 대상자의 침상을 옮겼다.
3-2. 낮 동안 병실과 복도를 가볍게 걷고 침상에 누워있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교육한다.
가벼운 유산소 운동은 서파수면을 촉진시켜 입면을 돕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피로감을 줄여준다.
3-3. 오후 4시 이후 커피 섭취를 최소화하도록 교육한다.
카페인은 중추신경계를 자극해 각성효과를 나타내어 휴식과 수면을 방해한다. 대상자의 취침시간이 21시이므로, 카페인의 반감기가 약 5시간임을 고려하여 오후4시 이후 카페인 함유 식품 섭취를 최소화한다.
3-4. 규칙적인 일과를 형성하고, 충분한 수면시간과 휴식시간을 확보한다.
일정한 일과를 형성하여 24시간 주기 리듬을 촉진하여 수면을 돕는다.
3-5. *수면 중 올바른 선열을 유지하고, 자극적인 환경을 최소화 한다.
올바른 선열로 수면 중 혈액순환을 돕고, 근육의 이완이 원활해진다. 자극적 환경을 차단하여 감각의 민감성을 낮춘다.
4. 수면 유도 요법을 교육하고 수행을 격려한다.
4-1. 점진적 근육 이완요법을 교육하고 수행을 격려한다.
: 수면 전 침상에 편안하게 앉아서 목-어깨-등-가슴-배-대퇴부-종아리의 순으로 근육이완
주요 근육들을 단계적으로 이완시켜 신체의 모든 근육에 이완반응을 조건화시킴으로써, 높은 각성의 교감 신경적 반응을 낮은 각성의 부교감 신경의 반응으로 바꾸어 수면을 유도한다.
- 대상자는 취침 전 점진적 근육 이완요법을 수행하였다고 말했다.
- 대상자는 취침 전 따뜻한 물에 족욕 하였다고 말했다.
- 대상자는 취침 중 화장실 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하며 물/우유 섭취를 거부하였다.
4-2. *취침 전 발을 따뜻한 물에 10~15분 정도 담그고 따뜻한 물이나 우유 100~150ml를 마시도록 한다.
온찜질로 부종을 관리하여 통증 수준을 낮추고, 우유를 통해 충분한 양의 트립토판을 공급할 수 있다. 트립토판은 체내 세로토닌의 전구체로 세로토닌은 사랑, 행복의 감정, 심신을 안정시킨다.
5. 통증 수준을 낮춘다.
5-1.*마사지 요법을 교육한다.
: 아픈 부위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문지르거나 마사지한다.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신진대사가 원활해지며 림프순환을 촉진하여 체내에 생긴 독소를 제거하며 기관이나 조직의 활동을 정상화하고, 혈액순환촉진과 전신이완 효과로 수면장애를 해소하며, 순환을 증진시킴으로 젖산, 염증물질을 포함하는 자극물질의 축적에 의한 통증을 감소시킨다.
- 대상자가 통증이 있을 때 간병인에게 마사지 해달라고 요청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침상에서 누워있을 때 불경을 틀어놓고 명상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침상에서 누워있을 때 하지 운동 수행을 관찰하였다.
- 선호하는 허브 종류를 찾아 허브티를 마시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5-2. 침상에서 진행하는 단순한 *요가와 명상 및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신체 기관들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강화하여 균형을 유지하며 스트레스 해소와 정서적 안정, 생리적 각성 감소로 통증과 불안감을 해소한다.
5-3. *허브요법을 교육한다.
허브의 성분이 도파민, 노어 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들과 상호작용으로 정서적 안정을 유도하고, 이완과 진정의 효과가 있다.
참고문헌
Xianglian, Z., & Chunli, W. (2020). Application Value of Evidence-based Nursing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and Evaluation of Nursing Quality. American Journal of Nursing, 9(5), 354-358.
Rome, S., Noonan, K., Bertolotti, P., Tariman, J. D., Miceli, T., & International Myeloma Foundation Nurse Leadership Board. (2017). Bone health, pain, and mobility: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24.12.18
  • 저작시기202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2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