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의 전통인 오복제도(五服制度)를 설명하고, 현대 사회에서 행해지고 있는 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서 론
Ⅱ. 본 론
1. 친족의 범위와 가계도
가. 친족의 범위
나. 가계도
다. 호칭

2. 오복제도와 현대 상복제도의 비교
가. 오복제도
나. 상복
다. 전통 상복과 현대 상복의 비교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년복 즉, 24개월의 기간으로 했으나 현실의 시대성을 감안하여 지금은 춘하추동 4계절을 겪는 12개월로 한다.
4) 만일 백색한복을 마련할 수 없는 형편이면 차선으로 흑색양복 양장을 입는다.
5) 흑색양복도 갗추기가 어려우면 현란하지 않은 평상복으로 한다.
◈ 상복의 명칭과 기간
1) 옛날의 참최(斬衰)를 중대복(重大服)이라 하고 12개월을 입는다.
2) 옛날의 자최(齊衰)를 대복(大服)이라 하고 9개월을 입는다.
3) 옛날의 대공(大功)을 대복(大服)이라 하고 9개월을 입는다.
4) 옛날의 소공(小功)을 소복(素服)이라 하고 3개월을 입는다.
5) 옛날의 시마(시麻)를 경복(輕服)이라 하고 장례일까지 입는다.
* 중대복(重大服,斬)
1) 죽은이의 배우자, 주상, 주부, 아들, 며느리, 딸, 사위(죽은이의 비속1촌과 그 배우자)가 1년 간 입는다.
2) 예복은 남자는 백색한복 정장에 황색(삼베)건을 쓰고, 여자는 백색한복 정장에 황색(삼베) 머리쓰게를 써야 하는데 불편해서 그런지 제복만을 주로 입고 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3) 부득이 흑색 양복이나 평상복을 입을 때도 남자는 황색건, 여자는 황색 머리쓰개를 쓴다.
4) 예복 아닌 평상복으로는 현란하지 않은 한복이나 양복·양장을 입는다.
* 대복(大腹,자최)
1) 죽은이의 부모와 형제자매, 손자, 손녀, 외손자, 외손녀(죽은이의 존속1촌 및 비속2촌과 동향2촌) 및 그 배우자가 9개월을 입는다.
2) 예복은 남자는 정장에 백색한복 백색(무명)건을 쓰고, 여자는 백색한복 정장에 백색 머리쓰게(개두)를 쓴다.
3) 만일 부득이 흑색 양복이나 평상복을 입을 때도 납자는 백색건, 여자는 백색 머리쓰개를 쓴다.
4) 예복 아닌 평상복으로는 현란하지 않은 한복이나 양복·양장을 입는다.
* 중복(中腹,大功)
1) 죽은이의 2촌 존속과 3촌 비속 및 그 배우자가 6개월 입는다.
2) 예복은 남녀 모두 백색한복 정장 왼팔에 황색(삼베)완장을 두른다.
3) 부득이 양복·양장을 입을 때도 황색 완장을 두른다.
4) 예복이 아닌 평상시 복장은 현란하지 않은 옷으로 입는다.
* 소복(小腹,小功)
1) 죽은이의 3촌 존속과 4촌 비속, 4촌 형제자매 및 그 배우자가 3개월간 입는다.
2) 예복은 남녀 모두 백색한복 정장 왼팔에 백색(무명)완장을 두른다.
3) 만일 부득이 양복·양장을 입을 때도 백색 완장을 두른다.
4) 예복이 아닌 평상시의 복장은 현란하지 않은 옷을 입는다.
* 경복(輕服,麻)
1) 죽은이의 8촌이내 존비속 형제자매 및 그 배우자와 기타 죽은이를 애도하는 사람은 누구나 1주일간 입을 수 있다.
2) 예복은 남녀 모두 백색한복 정장 왼팔에 흑색완장을 두른다.
3) 만일 백색 한복이 아닌 다른 옷을 입었을 때도 흑색 완장을 두른다.
4) 예복이 아니라도 현란한 옷은 입지 않는다.
* 성복(成服)
고례에는 반드시 대렴을 한 다음날에 성복을 한다고 했으나, 3일장을 치르는 현대에는 그렇게 할 수가 없으므로 입관한 즉시 성복을 한다.
성복이란 주상, 주부이하 모든 복인들이 정해진 상복을 입는 것을 말한다.
Ⅲ. 결 론
이로써 친족의 가계도와 명칭, 호칭 및 오복제도와 현대사회에서 행해지고 있는 상복제도를 알아보았다.
가계도와 명칭, 호칭이 쉬우면서도 복잡하다. 이런 호칭을 지금은 다 쓰지는 않는 것 같다.
요즘같이 핵가족, 소가족이 주를 이루는 사회에서 호칭도 많이 간소화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선에서 자기가 편한 것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용할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보편적인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다시금 새로운 호칭을 알게 된 기회가 되었다.
또한 예전에는 효를 아주 중요시 여겨서 부모의 상을 몇 년씩이나 했는데, 사실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아주 간소화되었다. 현대인들의 생활의 변화로 인해 바삐 사는 현대인들에게 맞추어 변한 것이다.
상복도 베로 만든 예전의 옷보다는 검정색 양복을 입는 경향이 많아졌다. 상복을 새로 만들어야 되고, 불편하고 해서 안 입는 경향이 많은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양복은 대부분 갖추고 있고, 입고 생활하는 터라 상복으로 입어도 불편하지 않고, 서양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쨌든 상을 치르는 것은 슬픈 일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내야 하고, 다시 못 볼 것이잖는가. 또한 죽음은 사람에게 가장 큰 스트레스 중의 하나로 이 스트레스를 이겨내지 못하면 정신 질환까지 갈 수가 있다. 죽음에 대해서 순응하고 이해하는 마음을 가져야겠다. 곧 시댁에 상이 있을 것 같다. 상을 앞두고 공부를 하면서 마음이 무거움을 느꼈다. 어버이 살아계실 때 섬기기 다하여라는 말이 새삼 가슴에 와 닿는다.
Ⅳ. 참고자료
새로 보는 결혼과 가족, 김정옥외, 학지사, 2000.
가족학, 한국 가족학 연구회, 하우출판사, 1999.
http://www.lawhome.or.kr/Branches0.html
http://www.econotax.co.kr/zungyeose1.htm
http://school.kerinet.re.kr/taejang/kor/study/social/socialculture/3단원%201(4.htm
http://www.bank8585.com/law/law1/law1_01.htm
http://samkim.netian.com/life/hoching6.htm
http://eagle.jdmhs.or.kr/~uiam/treelist.htm
http://www.i4chon.co.kr
생활문화와 예절, 강영자, 교육과학사, 2001.
http://www.silkbae.com/hanbok/default.asp
http://www.kmaqa.co.kr/ceo/data/ceo31.html
http://100.empas.com/entry.html/?i=77020&Ad=map
http://www.koreanfolk.org/dic/03.htm
http://samkimci.com.ne.kr/jentong/sangjang/gosang2.htm#상복의%20제도(服制)
http://dragon.skku.ac.kr/~sulhang1/miner/mi4/Yeajul17.htm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05.17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