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특성
2. Health History
3. Physical exam
4. 통증 양상
5. 활력징후
6. STEMI(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란? :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7. 진단검사
8. 치료 및 약물
9. 간호과정
10. 간호과정
#1. STEMI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2. 간헐적 흉통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3. 심근경색과 관련된 지식부족
2. Health History
3. Physical exam
4. 통증 양상
5. 활력징후
6. STEMI(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란? :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7. 진단검사
8. 치료 및 약물
9. 간호과정
10. 간호과정
#1. STEMI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2. 간헐적 흉통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3. 심근경색과 관련된 지식부족
본문내용
심근경색의 정의를 물어보았다 .
질병에 대한 인식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심근경색에 대한 지식 사정 질문 5가지 중 5가지를 대답하였다.
-“”권장식품에는 등푸른 생선, 저지방 식품 등이 있고, 피해야 할 식품에는 계란 노른자. 버터 등이 있어요.“
-퇴원 후 운동관리를 일주일에 적어도 3회 이상, 30분 이상 운동할 것을 약속하였다.
- 대상자는 흡연하는 대신, 매일 껌을 씹는 모습이 관찰됨.
- 대상자에게 금연, 절주할 것을 약속 받음.
-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내가 좋아하는 등산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nitroglycerin 복용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하였다.
“씹어서 먹는 게 아니라 혀 밑에 넣어 먹어야 해요.”
“약을 먹었는데도 통증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나빠지는 경우 바로 병원으로 와야 해요.”
-12/14 대상자는 질병에 따른 증상과 대처방법을 2가지 말하였다.
“심근경색은 가슴이 따끔거리듯이 아프고 갑자기 숨쉬기 힘든 증상이 있어요.”
“그런 증상이 있을 때 즉시 안정을 취하고 바로 병원에 오도록 할게요.”
2.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증상을 물어보았다.
심근경색의 발생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증상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3.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원인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심근경색의 원인을 파악하여 재발 위험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4. 대상자에게 심근경색 관리방법(식이, 운동, 금주, 금연)을 물어보았다.
심근경색의 적절한 관리방법을 통해 재발 위험을 방지하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5. 대상자에게 nitroglycerin복용방법, 이유, 주의사항을 물어보았다.
퇴원 후 대상자가 복용하게 될 nitroglycerin의 작용과 복용방법 그리고 주의사항을 파악하여 급성 흉통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건강한 식이를 교육한다.
싱겁게 먹는 요령을 교육하였다.
- 국이나 찌개는 건더기 위주로 먹습니다.
- 인스턴트 식품, 패스트 푸드를 피합니다.
-젓갈, 장아찌, 절인 식품의 횟수와 양을 줄입니다.
짜게 먹는 습관은 혈압을 높여 고혈압의 원인이 되고,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악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권장식품(잡곡밥, 신선한 야채와 과일, 등푸른 생선, 불포화 지방, 유지방 함량이 적은 식품)을 교육하였다.(Agenta Akesson, 2014)
혈관 내 과다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을 감소시켜 혈압조절, 체중조절에 도움이 된다.
피해야 할 식품을 교육하였다.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 오징어, 달걀노른자. 새우
-포화지방: 버터, 소기름, 돼지기름
-단순 당이 함유된 음식: 사탕, 초콜릿, 아이스크림
다음과 같은 음식을 섭취하면 고지혈증의 원인이 되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퇴원 후의 운동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운동의 강도는 약한 것(산책, 체조,걷기)에서부터 시작해 그 강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것을 교육하였다.
처음부터 센 강도의 운동은 심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약한 강도의 운동부터 시작해야 한다.
가능한 매일, 주 3-5회 이상,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에어로빅 등의 유산소운동)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Agenta Akesson, 2014)
주 5회 이상, 30분 이상 자신의 건강상태에 맞는 유산소 운동을 시행할 경우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운동을 시작할 때에는 준비운동으로 몸을 풀고, 끝날 때에도 정리운동을 약 5분간 하도록 교육하였다.
준비운동 없이 운동을 시작할 경우 갑작스런 활동으로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에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이 필요하다.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를 교육한다
흡연 욕구를 다스리는 요령에 대해 교육하였다. (Agenta Akesson, 2014)
- 음식을 먹은 후 양치질로 입안을 상쾌하게 하여 흡연 욕구를 없앤다.
- 입이 심심할 때는 껌이나 은단등을 휴대하여 먹습니다.
- 좋아하는 취미에 몰두합니다.
흡연자들은 비 흡연자보다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높으며 금연한지 1년 정도 지나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과도한 음주의 부작용을 설명하였다. (Agenta Akesson, 2014)
과도한 음주는 부정맥과 심근증을 유발하는 원인이기도 하며,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스트레스 관리법을 교육하였다.
- 매일 운동을 합니다.
-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합니다.
- 여가생활을 즐깁니다.
스트레스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부정맥을 유발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이 된다.
Nitroglycerin 복용방법과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혀 밑에 넣고 천천히 녹여 먹도록 교육하였다.
nitroglycerin은 심장혈관을 포함하여 전신의 혈관을 이완, 심장으로의 혈액과 산소공금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대상자의 급성 흉통 증상을 완화시킨다. 하지만, 약물의 관리가 잘 되어야 효과가 있으므로 다음의 교육이 필수적이다.
만약 통증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더욱 나빠지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교육하였다.
톡 쏘거나 화끈한 맛이 나야 효과가 있음을 설명하였다.
항상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목걸이 등의 방법을 설명하였다.
nitroglycerin의 부작용으로 두통, 저혈압, 어지러움, 메스꺼움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질병에 따른 증상관리법을 교육한다.
맥박 증가, 호흡곤란, 흉통 등의 증상이 있을 때 활동을 중단하도록 교육하였다.
활동을 중단하고 안정을 취하는 것은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퇴원 후 최소 3주 운전을 삼가고 부부관계는 퇴원 후 일주일 정도 후면 다시 시작할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환자가 일상생활로의 복귀 시 필요한 정보를 교육하여 삶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타 : 수집하지 못한 자료
-I/O를 4시간마다 측정한다?. : BUN, Creatinine 수치가 정상으로 나옴. 의사 처방 나오지 않음
-CVP를 측정한다. : 도구 없음. EMR 상으로 확인할 수 없음.
45도 각도로 누워있을 때, 목정맥의 박동이 복장뼈 각에서 4cm이상 높으면 목정맥압이 상승한 것.
참고문헌
황옥남(2018).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질병에 대한 인식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심근경색에 대한 지식 사정 질문 5가지 중 5가지를 대답하였다.
-“”권장식품에는 등푸른 생선, 저지방 식품 등이 있고, 피해야 할 식품에는 계란 노른자. 버터 등이 있어요.“
-퇴원 후 운동관리를 일주일에 적어도 3회 이상, 30분 이상 운동할 것을 약속하였다.
- 대상자는 흡연하는 대신, 매일 껌을 씹는 모습이 관찰됨.
- 대상자에게 금연, 절주할 것을 약속 받음.
-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내가 좋아하는 등산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nitroglycerin 복용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하였다.
“씹어서 먹는 게 아니라 혀 밑에 넣어 먹어야 해요.”
“약을 먹었는데도 통증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나빠지는 경우 바로 병원으로 와야 해요.”
-12/14 대상자는 질병에 따른 증상과 대처방법을 2가지 말하였다.
“심근경색은 가슴이 따끔거리듯이 아프고 갑자기 숨쉬기 힘든 증상이 있어요.”
“그런 증상이 있을 때 즉시 안정을 취하고 바로 병원에 오도록 할게요.”
2.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증상을 물어보았다.
심근경색의 발생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증상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3.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원인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심근경색의 원인을 파악하여 재발 위험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4. 대상자에게 심근경색 관리방법(식이, 운동, 금주, 금연)을 물어보았다.
심근경색의 적절한 관리방법을 통해 재발 위험을 방지하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5. 대상자에게 nitroglycerin복용방법, 이유, 주의사항을 물어보았다.
퇴원 후 대상자가 복용하게 될 nitroglycerin의 작용과 복용방법 그리고 주의사항을 파악하여 급성 흉통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건강한 식이를 교육한다.
싱겁게 먹는 요령을 교육하였다.
- 국이나 찌개는 건더기 위주로 먹습니다.
- 인스턴트 식품, 패스트 푸드를 피합니다.
-젓갈, 장아찌, 절인 식품의 횟수와 양을 줄입니다.
짜게 먹는 습관은 혈압을 높여 고혈압의 원인이 되고,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악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권장식품(잡곡밥, 신선한 야채와 과일, 등푸른 생선, 불포화 지방, 유지방 함량이 적은 식품)을 교육하였다.(Agenta Akesson, 2014)
혈관 내 과다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을 감소시켜 혈압조절, 체중조절에 도움이 된다.
피해야 할 식품을 교육하였다.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 오징어, 달걀노른자. 새우
-포화지방: 버터, 소기름, 돼지기름
-단순 당이 함유된 음식: 사탕, 초콜릿, 아이스크림
다음과 같은 음식을 섭취하면 고지혈증의 원인이 되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퇴원 후의 운동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운동의 강도는 약한 것(산책, 체조,걷기)에서부터 시작해 그 강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것을 교육하였다.
처음부터 센 강도의 운동은 심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약한 강도의 운동부터 시작해야 한다.
가능한 매일, 주 3-5회 이상,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에어로빅 등의 유산소운동)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Agenta Akesson, 2014)
주 5회 이상, 30분 이상 자신의 건강상태에 맞는 유산소 운동을 시행할 경우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운동을 시작할 때에는 준비운동으로 몸을 풀고, 끝날 때에도 정리운동을 약 5분간 하도록 교육하였다.
준비운동 없이 운동을 시작할 경우 갑작스런 활동으로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에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이 필요하다.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를 교육한다
흡연 욕구를 다스리는 요령에 대해 교육하였다. (Agenta Akesson, 2014)
- 음식을 먹은 후 양치질로 입안을 상쾌하게 하여 흡연 욕구를 없앤다.
- 입이 심심할 때는 껌이나 은단등을 휴대하여 먹습니다.
- 좋아하는 취미에 몰두합니다.
흡연자들은 비 흡연자보다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높으며 금연한지 1년 정도 지나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과도한 음주의 부작용을 설명하였다. (Agenta Akesson, 2014)
과도한 음주는 부정맥과 심근증을 유발하는 원인이기도 하며,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스트레스 관리법을 교육하였다.
- 매일 운동을 합니다.
-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합니다.
- 여가생활을 즐깁니다.
스트레스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부정맥을 유발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이 된다.
Nitroglycerin 복용방법과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혀 밑에 넣고 천천히 녹여 먹도록 교육하였다.
nitroglycerin은 심장혈관을 포함하여 전신의 혈관을 이완, 심장으로의 혈액과 산소공금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대상자의 급성 흉통 증상을 완화시킨다. 하지만, 약물의 관리가 잘 되어야 효과가 있으므로 다음의 교육이 필수적이다.
만약 통증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더욱 나빠지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교육하였다.
톡 쏘거나 화끈한 맛이 나야 효과가 있음을 설명하였다.
항상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목걸이 등의 방법을 설명하였다.
nitroglycerin의 부작용으로 두통, 저혈압, 어지러움, 메스꺼움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질병에 따른 증상관리법을 교육한다.
맥박 증가, 호흡곤란, 흉통 등의 증상이 있을 때 활동을 중단하도록 교육하였다.
활동을 중단하고 안정을 취하는 것은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퇴원 후 최소 3주 운전을 삼가고 부부관계는 퇴원 후 일주일 정도 후면 다시 시작할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환자가 일상생활로의 복귀 시 필요한 정보를 교육하여 삶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타 : 수집하지 못한 자료
-I/O를 4시간마다 측정한다?. : BUN, Creatinine 수치가 정상으로 나옴. 의사 처방 나오지 않음
-CVP를 측정한다. : 도구 없음. EMR 상으로 확인할 수 없음.
45도 각도로 누워있을 때, 목정맥의 박동이 복장뼈 각에서 4cm이상 높으면 목정맥압이 상승한 것.
참고문헌
황옥남(2018).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