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론] 마케팅의 연구방법과 인접학문과의 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마케팅의 연구
1. 상품별 연구
2. 기관별 연구
3. 기능별 연구
4. 경영자적 연구
5. 경제학적 연구와 법제적 연구
6. 사회적 연구방법
7. 제도주의적 연구
8. 비용연구
9. 역사적 연구
10. 시스템즈연구

*마케팅과 인접학문과의 관계
1. 마케팅과 경제학
2. 마케팅과 경영학
3. 마케팅과 산업공학
4. 마케팅과 산업사회학
5. 마케팅과 산업심리학
6. 마케팅과 통계학
7. 마케팅과 행동과학

본문내용

학에서 원용되어야 할 마케팅론의 과제가 많다. 뿐만 아니라 인구의 연령구성문제, 노인병문제, 라이프사이클(life cycle) 문제 , 인구급증문제, 도시 대 지방문제, 교외거주화추세 등도 산업사회학자들이 관심사가 되어 가면서 그동안의 연구업적이 차츰 마케팅론에서도 도입되기 시작하고 있다. 결국 이 모든 것으로 보아 산업사회학의 마케팅론에서의 원용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5. 마케팅과 산업심리학
산업심리학(industrial psychology)은 소비자에 초점을 두어 소비자심리를 산업심리학적 접근에 의해 추구하는 것으로 특히 오늘날은 소비자 뿐만 아니라 널리 산업계에 있어서의 종업원의 적성검사, 적정배치, 인사평가 및 교육훈련 등의 문제도 폭넓게 다루고 있다. 산업심리학에서의 연구성과가 처음 마케팅에 도입된 것은 주로 광고분야나 판매촉진분야에서의 소비자심리부문이었다. 사례로는 1910년에 발간된 스코트(A. D. Scott)의 광고의 심리학'40)이나 아트킨슨(W. W. Atkinson)의 세일즈맨십의 심리학'41)등은 바로 산업심리학에서의 분석결과를 광고론이나 판매촉진론에서 응용한 사례가 된다. 그후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학의 발달과 더불어 소비자의 잠재의식까지도 깊이 연구할 수 있는 길이 트였으며 산업심리학의 원용은 차츰 그 범위가 넓어지면서 오늘날에는 관찰, 실험, 앙케이트 및 심층면접 등 다방면에서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종업원의 동기부여이론에 관한 산업심리학적인 연구결과인 매슬로우(A. H. Maslow)의 욕구단계설'42)이나 맥그리거(D. McC- reger)의 XY이론'43)들을 소비자의 동기부여이론과 관련짓게 하여 기업의 마케팅활동에 많은 성과를 이룬 이후 적어도 동기부여이론에 관한한 산업심리학적 연구는 절대적 대상이 되고 있다.
6. 마케팅과 통계학
오늘날 기업경영에 있어서 일찌기 보지 못했을 정도로 통계학의 기법이 기업경영에 원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기법은 미국에서 가장 먼저 시도가 되었는데 통계학이 기업경영에 이용된 동기는 무엇보다도 현대의 생산이 대량생산(mass production)이라는 점과 상품유통이 대량적인 유통, 즉 매스마케팅이라는 점인데, 즉 통계적 기법의 기업에 있어서의 원용은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미국의 공장에서 각종제품의 품질관리면에서 였다. 통계적 표본조사의 이론은 제2차대전당시에 있어서 연합국측이 물적·인적자원의 현상을 신속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그 연구가 추진된 통계학의 응용부분에서 였다. 이 연구는 1940년이후 영미통계학자 네이만(J. Neyman), 카크란(W. G. Cackran), 데밍(D. E. Deming) 및 한센(M. G. Hansen)등 제학자들에 의해 추진되었다. 제2차대전이후 미국경제는 규모가 큰 생산력을 군수(軍需)에서 민수(民需)로 돌릴 필요에 직면하자 마케팅의 추진, 특히 시장조사가 미국기업의 중요과제가 되었다. 이 시장조사목적을 위해서는 표본조사의 기법이 적용되어 공헌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기업에 있어서의 통계적 기법의 도입을 역사적으로 보면 생산부문에서 판매부문으로 그리고 마케팅부문에 까지 진출하게 되었다.
. 오늘날 통계적 기법이 마케팅연구와 결부된 국면은
① 표본조사법의 이용인데 이 원칙은 모집단을 조사함에 있어 그 중에서 약간의 표본을 선정하고 실시하고 가능한 한 저렴한 비용으로 정도가 높은 추정을 하려고 하는데 있다.
② 실험계획법의 이용인데 이는 신제품의 설계, 신규판매의 결정, 광고효과의 측정 등의 국면에 통계적 실험계획법의 이론(theory of experimental design)이 많이 이용된다.
③ 관능조사기법의 이용으로 이는 인간의 5개관능에 의해서 제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기법인데 이를 관능검사라고 한다. 이 기법은 신제품의 통계적인 시용실험에 널리 이용된다.
④ 동기조사법의 이용으로서 이를 심리학에 있어서의 동기(motivation)의 연구나 인자분석을 하는 것으로서 이 기법은 소비자의 구매동기를 연구하거나 혹은 그 결정인자를 인정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⑤ 계량경제학적 기법의 이용으로 이는 기존경제자료에 관하여 계량적·통계적 분석을 행하는 제기법을 경영학의 영역에서도 확장하려는 것인데 이 계량경영학이나 계량경제학의 제기법은 기업환경의 통계분석에 공헌하는 바가 크고 수요분석이나 장기적 계획수립을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7. 마케팅과 행동과학
마케팅의 연구에 있어 행동과학의 원용도 매우 바람직하다. 행동과학이라는 behavioral science'의 어원은 1940년대말에 시카고대학에서 인간행동의 경험적 검증을 위한 일반이론을 거론하면서 부터 비롯되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마케팅론연구에 행동과학이 본격적으로 원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며 그 성과는 1963년에 블리스(P. Bliss)의 논문집 마케팅과 행동과학'44)과 1965년에 잘트만(G. Zaltman)의 마케팅, 행동과학으로 부터의 공헌'45)등의 형태로 차츰 구체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1960년대중반부터는 행동과학의 원용이 주로 소비자동기와 소비자행동분야에 집중되었으며 1968년의 엥겔(J. F. Engel) 등의 소비자행동'46)이 널리 알려져 있다. 행동과학이 마케팅연구에 있어 무엇보다도 소비자행동론의 연구에 집중되는 이유는 소비자행동이 마케팅론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으면서도 그러한 소비자행동자체가 단순히 그 어떤 일면적인 측면에서만 파악될 성질의 것이 아니라, 소비자행동의 모든 복잡스러운 다면적 국면이 다각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대상이다. 이처럼 마케팅연구를 위해서는 행동과학의 원용도 바람직하다.
참고자료
박세혁, 전호문, 김용만, 스포츠마케팅, 학현사, 2001
최덕현, “새로운 패러다임의 경영현장 -스포츠 산업”, 스포츠 마케팅 21, 2000
박진경, “스포츠 마케팅 Ⅱ”, 스포츠사회학회 자료
최은영, “국내 기업의 스포츠 마케팅 현황과 발전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윤일웅,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한 스포츠 마케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가격9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05.29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