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송강정의 유래
* 송강정 전경
* 송강정 가는길
* 필암서원의 유래와 전경
<요약>
<연 혁>
* 필암서원에 대한 자세한 설명
* 송강정 전경
* 송강정 가는길
* 필암서원의 유래와 전경
<요약>
<연 혁>
* 필암서원에 대한 자세한 설명
본문내용
의 글씨로 된 필암서원이란 편액이 달려 있다. 그 뒷편 서측의 숭의재와 동측의 진덕재는 영조와 고종 때 개수된 것으로 서원의 동서재를 이루고 있는데 그 재호는 모두 동춘 송준길의 글씨이고 각기 6칸으로 대청과 좌우에 협실이 있다. 서재 옆으로 3칸의 장경각이 있어서 인종의 어필묵죽(御筆墨竹)을 소장하였고 액호는 정조의 어필이다. 청절당 뒷편 중앙에는 사묘로 들어가는 신문이 있다. 그 뒤에는 사묘인 4칸반의 우동사가 배치되었는데 북벽에는 하서를 동벽에는 고암을 모시고 있다.
이 서원의 외부공간은 평지에 서원이 조영된 관계로 지대의 고저차로 인한 공간의 위계성은 찾아 볼 수 없으나 축선에 따라 점점 더해지는 공간의 깊이는 잘 나타나 있다. 특히 방형의 담장으로 명확히 구획되어 있는 매개·교육·제향공간 간에 절점역할을 해주고 있는 크고 작은 문들과 건물의 형태가 이들 공간 간을 유기적으로 잘 연결시켜 주고 있다.
***참고자료***
www.haramal.com/01unmun/gasa/saminkkok.htm
user.chollian.net/~hs2624pc/list/songang.htm
home.hanmir.com/~hyangwoo/samiingok.htm/
이 서원의 외부공간은 평지에 서원이 조영된 관계로 지대의 고저차로 인한 공간의 위계성은 찾아 볼 수 없으나 축선에 따라 점점 더해지는 공간의 깊이는 잘 나타나 있다. 특히 방형의 담장으로 명확히 구획되어 있는 매개·교육·제향공간 간에 절점역할을 해주고 있는 크고 작은 문들과 건물의 형태가 이들 공간 간을 유기적으로 잘 연결시켜 주고 있다.
***참고자료***
www.haramal.com/01unmun/gasa/saminkkok.htm
user.chollian.net/~hs2624pc/list/songang.htm
home.hanmir.com/~hyangwoo/samiingok.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