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미세 먼지 측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내용 및 방법

3. 실험 장치

4. 실험 결과

5. 측정치와 측정값 비교

6. 결론

본문내용

지 농도 자료 (환경부 발췌)
항목
농도
2002년 4월
109
mu g/m^{ 3 }
2003년 1월
62
mu g/m^{ 3 }
2003년 2월
61
mu g/m^{ 3 }
2) 측정장소의 먼지 농도와 사당동의 먼지 측정농도 자료 비교
표7 측정장소의 먼지 농도와 사당동의 먼지 측정농도 자료 비교
측정장소
측정 장소의 먼지 농도
(
mu g/m^{ 3 }
)
사당동의 먼지 측정농도
(2002년 4월)
주차장
104
109
mu g/m^{ 3 }
옥상
113
실내
17.6
우리나라의 미세먼지(PM10)의 대기환경과 실내 환경기준은 150
mu g/m^{ 3 }
이다.
6. 결론
측정 장소인 조원의 집(다세대주택)의 인근 사당동 먼지 측정농도 자료와 직접 측정한 먼 지 농도와 비교 했을 때 옥상의 먼지 농도는 113
mu g/m^{ 3 }
으로서 예년의 자료와 비교했을 때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24시간 대기환경 기준치인 150
mu g/m^{ 3 }
보다는 낮은 수치
를 보인다. 그리고 주차장의 먼지 농도가 좀 더 높은 수치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으나 옥상
의 먼지 농도보다 더 적게나왔다. 실내의 먼지 농도는 17.6
mu g/m^{ 3 }
으로서 기준치인 150
mu g/m^{ 3 }
보다 휠씬 적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아쉬운 것은 24시간동안 측정할 수 있는 여건이 안 된 것과 오전 12시부터 오후 12시까 지 측정해서 비교했으면 더 좋은 결과가 나왔을 것 같다는 것이다.
【참고자료】
① 환경부 홈페이지 -
www.me.go.kr
② 박두용 교수님 강의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6.01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