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Java .............................................1p
1. 변수 ......................................................1p
2. 바인딩 ...................................................1p
3. 선언(문) .................................................1p
4. 배정문(연산자) ........................................2p
1) 산술 연산자
2) 대입 연산자
3) 관계 연산자
4) 논리 연산자
5) 조건 연산자
5. 상수 .......................................................3p
6. 조건문 ....................................................3p
1) if-else 문
2) switch 문
7. 반복문 ....................................................4p
1) while 문
2) do-while 문
3) for 문
4) break 문
5) continue 문
◎ C ...................................................7p
1. 변수 .......................................................7p
2. 바인딩 ....................................................7p
3. 선언(문) ..................................................8p
4. 배정문(연산자) ........................................8p
1) 산술 연산자
2) 관계 연산자
3) 논리 연산자
4) 증감 연산자
5) 조건 연산자
6) 비트 연산자
7) 대입 연산자
8) 컴머 연산자
5. 상수 ........................................................10p
6. 조건문 .....................................................11p
7. 반복문 .....................................................11p
1) while 문
2) for 문
3) do-while 문
8. 분기문 .....................................................13p
1) goto 문
2) break 문
3) continue 문
4) return 문
1. 변수 ......................................................1p
2. 바인딩 ...................................................1p
3. 선언(문) .................................................1p
4. 배정문(연산자) ........................................2p
1) 산술 연산자
2) 대입 연산자
3) 관계 연산자
4) 논리 연산자
5) 조건 연산자
5. 상수 .......................................................3p
6. 조건문 ....................................................3p
1) if-else 문
2) switch 문
7. 반복문 ....................................................4p
1) while 문
2) do-while 문
3) for 문
4) break 문
5) continue 문
◎ C ...................................................7p
1. 변수 .......................................................7p
2. 바인딩 ....................................................7p
3. 선언(문) ..................................................8p
4. 배정문(연산자) ........................................8p
1) 산술 연산자
2) 관계 연산자
3) 논리 연산자
4) 증감 연산자
5) 조건 연산자
6) 비트 연산자
7) 대입 연산자
8) 컴머 연산자
5. 상수 ........................................................10p
6. 조건문 .....................................................11p
7. 반복문 .....................................................11p
1) while 문
2) for 문
3) do-while 문
8. 분기문 .....................................................13p
1) goto 문
2) break 문
3) continue 문
4) return 문
본문내용
드시 문자형이나 정수형이어야 하 며, 부동 소수점 형은 비트 연산을 할 수 없다.
종 류
의 미
사 용 예
&
비트간의 AND
a&b(비트a와 b의 AND)
|
비트간의 OR
a|b(비트a와 b의 OR)
^
비트간의 XOR
a^b(비트a와 b의 XOR)
∼
비트의 반전(1의 보수)
~a(비트 a의 보수)
〈〈
좌로 이동
a<<1(좌로 1비트 이동)
〉〉
우로 이동
b>>1(우로 1비트 이동)
7) 대입 연산자
: 배정 연산자라고도 하는데 우변의 수식의 값을 좌변에 대입하는 연산자이다. 이 때, 좌변값은 각종 변수, 배열 요소, 구조체 멤버, 포인터의 대상체등이 될 수 있다.
a = 10, b = 20, c = 30;
⇒
예) a = a + b; ⇒ a+ = b;
a = 10;
b = 20;
c = 30;
8) 컴머 연산자
5. 상수
: 문자열 상수는 문자 상수와 구분되어 취급해야 한다. 문자열 상수는 따옴표(“”)사이에 위치하지만, 문자 상수는 작은 따옴표(‘’)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문자열 상수는 null 문자로 끝나지만, 문자 상수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Korea'는 문자 상수를 선언한 것이 되고,
K
o
r
e
a
와 같이 5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Korea"는 문자열 상수를 선언한 것이 되고,
- 10 -
K
o
r
e
a
\0
와 같이 널(null) 문자 \0을 포함하여 6바이트의 크기를 가진다.
6. 조건문
: 조건에 따라 문장의 흐름을 제어하는 택일문은 if 문과 if-else문이 있다. if문은 if문의 조건식이 참(0 이 아닌 값)과 거짓(0의 값)에 따라 분기를 다르게 하는 명령문이다.
#include
int main(void)
{
int a, b;
printf("Please, input two number!\n");
scanf(%d %d", $a, %b);
if(a>b)
printf("%d",a);
if(a<=b)
printf("%d\n",b);
return 0;
}
○ if 문을 사용한 C 의 프로그램.
⇒ 실행 결과
Please, input number!
10 20
20
7. 반복문
1) while 문
: 임의의 횟수의 일정 구간을 반복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명령문.
○ while문의 무한루프
#include
int main(void)
{
int number = 1;
while(number = 1)
printf("How are you,today!\n");
return 0;
}
- 11 -
⇒ 실행 결과
How are you,today!
How are you,today!
How are you,today!
·
·
·
·
·
·
How are^C
2) for 문
: 일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제어문.
x=1;
for(y=0<10 ; y++){
printf("(%d : %d)", y, x);
x+ = 3;
}
3) do-while 문
: 탈출조건 루프로서 루프의 반복이 끝날 때마다 조건식을 검사하여 참인 경우에만 루프를 반복하게 된다.
#include
int main(void)
{
int n=1, sum=0;
do
{
sum+ = n;
n++;
}
while(n<=10);
printf("Out of While Loop!!!\n");
printf("Total sum = %d\n",sum);
return 0;
}
○
실행 결과 ⇒
Out of While Loop!!!
Total sum = 55
do-while 문을 사용하여 1부터 10까지의 합을 출력
- 12 -
8. 분기문
1) goto 문
: goto문은 goto 다음의 레이블로 분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문이다.
○ goto문을 사용하여 5부터 1까지의 곱을 출력
#include
int main(void)
{
int n, mul=1;
for(n=5 ; n>=0 ; --n)
{
if(n!=0)
{
mul* = n;
printf("mul * %d = %d\n", n, mul);
}
else
goto error;
}
error : printf("Caution : This Number is 0!");
return 0;
}
⇒ 실행 결과
mul * 5 = 5
mul * 4 = 20
mul * 3 = 60
mul * 2 = 120
mul * 1 = 120
Caution : This Number is 0!
☞ 5에서 1씩 줄여가며 0이 되기 이전까지의 곱을 구하는 프로그램이다. for문에서 0이 되어 else 다 음의 분기문인 goto문이 수행되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다.
2) break 문
break;
: switch-case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의 문장 내부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제어문으로 비교적 많 이 사용된다. break문을 사용하면 goto문 없이 자연스럽게 순환 구조를 탈출할 수 있다.
- 13 -
3) continue 문
: 반복문 내에서만 사용하며, 어떤 순환 내부에서 현 반복 단계를 중지 시키고 다음의 새로운 반복 단계를 수행기키기 위해 사용된다.
continue;
4) return 문
: 함수 내부로부터 호줄한 함수에 제어를 넘겨주기 위한 명령문이다.
☞ 형식 (1)은 함수값을 갖지 않은 채 제어를 호출한 함수로 변환하며, 형식(2)는 수식을 평가한 후에 그 결과 값을 호출한 함수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형식 (2)가 많이 사용되고, 하나의 함수 내에 여 러 개의 return문이 존재할 수 있으며, 어떤 return문을 만나도 호출한 함수로 복귀하게 된다.
(1) return;
(2) return (수식);
○ return 문을 사용한 C 프로그램
#include
int main(void)
{
int first, second;
first = 10;
second = callfunc(first);
printf("first=%d, second=%d\n", first, second);
return 0;
}
callfunc(third)
int third;
{
third+ = 20;
return(third);
}
⇒ 실행 결과
first=10 second=30
- 14 -
종 류
의 미
사 용 예
&
비트간의 AND
a&b(비트a와 b의 AND)
|
비트간의 OR
a|b(비트a와 b의 OR)
^
비트간의 XOR
a^b(비트a와 b의 XOR)
∼
비트의 반전(1의 보수)
~a(비트 a의 보수)
〈〈
좌로 이동
a<<1(좌로 1비트 이동)
〉〉
우로 이동
b>>1(우로 1비트 이동)
7) 대입 연산자
: 배정 연산자라고도 하는데 우변의 수식의 값을 좌변에 대입하는 연산자이다. 이 때, 좌변값은 각종 변수, 배열 요소, 구조체 멤버, 포인터의 대상체등이 될 수 있다.
a = 10, b = 20, c = 30;
⇒
예) a = a + b; ⇒ a+ = b;
a = 10;
b = 20;
c = 30;
8) 컴머 연산자
5. 상수
: 문자열 상수는 문자 상수와 구분되어 취급해야 한다. 문자열 상수는 따옴표(“”)사이에 위치하지만, 문자 상수는 작은 따옴표(‘’)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문자열 상수는 null 문자로 끝나지만, 문자 상수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Korea'는 문자 상수를 선언한 것이 되고,
K
o
r
e
a
와 같이 5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Korea"는 문자열 상수를 선언한 것이 되고,
- 10 -
K
o
r
e
a
\0
와 같이 널(null) 문자 \0을 포함하여 6바이트의 크기를 가진다.
6. 조건문
: 조건에 따라 문장의 흐름을 제어하는 택일문은 if 문과 if-else문이 있다. if문은 if문의 조건식이 참(0 이 아닌 값)과 거짓(0의 값)에 따라 분기를 다르게 하는 명령문이다.
#include
int main(void)
{
int a, b;
printf("Please, input two number!\n");
scanf(%d %d", $a, %b);
if(a>b)
printf("%d",a);
if(a<=b)
printf("%d\n",b);
return 0;
}
○ if 문을 사용한 C 의 프로그램.
⇒ 실행 결과
Please, input number!
10 20
20
7. 반복문
1) while 문
: 임의의 횟수의 일정 구간을 반복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명령문.
○ while문의 무한루프
#include
int main(void)
{
int number = 1;
while(number = 1)
printf("How are you,today!\n");
return 0;
}
- 11 -
⇒ 실행 결과
How are you,today!
How are you,today!
How are you,today!
·
·
·
·
·
·
How are^C
2) for 문
: 일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제어문.
x=1;
for(y=0<10 ; y++){
printf("(%d : %d)", y, x);
x+ = 3;
}
3) do-while 문
: 탈출조건 루프로서 루프의 반복이 끝날 때마다 조건식을 검사하여 참인 경우에만 루프를 반복하게 된다.
#include
int main(void)
{
int n=1, sum=0;
do
{
sum+ = n;
n++;
}
while(n<=10);
printf("Out of While Loop!!!\n");
printf("Total sum = %d\n",sum);
return 0;
}
○
실행 결과 ⇒
Out of While Loop!!!
Total sum = 55
do-while 문을 사용하여 1부터 10까지의 합을 출력
- 12 -
8. 분기문
1) goto 문
: goto문은 goto 다음의 레이블로 분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문이다.
○ goto문을 사용하여 5부터 1까지의 곱을 출력
#include
int main(void)
{
int n, mul=1;
for(n=5 ; n>=0 ; --n)
{
if(n!=0)
{
mul* = n;
printf("mul * %d = %d\n", n, mul);
}
else
goto error;
}
error : printf("Caution : This Number is 0!");
return 0;
}
⇒ 실행 결과
mul * 5 = 5
mul * 4 = 20
mul * 3 = 60
mul * 2 = 120
mul * 1 = 120
Caution : This Number is 0!
☞ 5에서 1씩 줄여가며 0이 되기 이전까지의 곱을 구하는 프로그램이다. for문에서 0이 되어 else 다 음의 분기문인 goto문이 수행되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다.
2) break 문
break;
: switch-case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의 문장 내부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제어문으로 비교적 많 이 사용된다. break문을 사용하면 goto문 없이 자연스럽게 순환 구조를 탈출할 수 있다.
- 13 -
3) continue 문
: 반복문 내에서만 사용하며, 어떤 순환 내부에서 현 반복 단계를 중지 시키고 다음의 새로운 반복 단계를 수행기키기 위해 사용된다.
continue;
4) return 문
: 함수 내부로부터 호줄한 함수에 제어를 넘겨주기 위한 명령문이다.
☞ 형식 (1)은 함수값을 갖지 않은 채 제어를 호출한 함수로 변환하며, 형식(2)는 수식을 평가한 후에 그 결과 값을 호출한 함수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형식 (2)가 많이 사용되고, 하나의 함수 내에 여 러 개의 return문이 존재할 수 있으며, 어떤 return문을 만나도 호출한 함수로 복귀하게 된다.
(1) return;
(2) return (수식);
○ return 문을 사용한 C 프로그램
#include
int main(void)
{
int first, second;
first = 10;
second = callfunc(first);
printf("first=%d, second=%d\n", first, second);
return 0;
}
callfunc(third)
int third;
{
third+ = 20;
return(third);
}
⇒ 실행 결과
first=10 second=30
-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