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키>
■ 스키의 역사
■ 스키 장비
■ 바인딩 부착위치
■ 플레이트의 유연성
■스키활주면의 소재 및 가공법
■ 스키 관리
■ 스키 왁스
■ 스키경기의 종목
■ 스키 용어 사전
■ 스키의 기본자세
■ 스키의 중급과정
■ 스키의 고급과정
■ 스키의 역사
■ 스키 장비
■ 바인딩 부착위치
■ 플레이트의 유연성
■스키활주면의 소재 및 가공법
■ 스키 관리
■ 스키 왁스
■ 스키경기의 종목
■ 스키 용어 사전
■ 스키의 기본자세
■ 스키의 중급과정
■ 스키의 고급과정
본문내용
. 그 이유는 모걸 지형에서는 활주면이 모두 눈과 접촉하지 않아서 눈과의 마찰 저항이 적기 때문이다. 벤딩 턴을 실시할 때는 폴을 발 옆에 짚어 스키의 중심 부분을 축으로 스키의 전후가 회전하지만 패럴렐 턴을 실시할 때는 스키 앞 부분에 폴을 짚어 스키 앞 부분이 축이 되므로 스키 뒷 부분만 이동하게 된다. 모걸 지형을 지나갈 때는 벤딩 턴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설면이 볼록 튀어 나온 지형을 지날 때는 무릎이 가슴까지 올라오게 되어 저절로 무릎을 구부린 자세가 되며 이러한 자세는 턴을 시작하기 위해 취하는 자세와 같기 때문이다. 모걸 지형을 지날 때 업 동작으로 턴을 시작하면 몸이 공중으로 튕겨 날라가게 된다. 따라서 벤딩 턴을 볼록 튀어 나온 지형에서 스키가 설면과 계속 접촉한 채로 활주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모걸 지형을 지날 때의 기술은 볼록 튀어나온 지형을 지나가기 전에 미리 무릎을 구부리고 턴 방향으로 상체와 무릎을 돌린다. 폴을 짚으면서 다리에 힘을 빼고 스키는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스키에 힘을 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무릎을 턴의 중심 방향으로 기울이면서 무릎과 대퇴의 힘을 이용하여 스키의 이동 방향을 바꾼다. 볼록한 지형을 내려 오면서 무릎을 펴고 외측 스키에 인체 중심을 옮긴다. 벤딩 턴을 실시할 때 무릎을 지나치게 구부려 스키 뒤로 주저않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무릎을 크라우칭 자세처럼 많이 구부려야 할 경우는 턴을 시작할 때이고 그 외에는 패럴렐 턴과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한다. 그리고 다리는 경직되지 않도록 하고 눈이 많이 쌓여 스키가 깊이 묻히는 경우에는 약간 뒤로 주저않듯이 자세를 취하여 스키의 앞부분이 약간 들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제트 턴(jet turn)
제트 턴은 설면에 눈이 많이 쌓여 설면을 따라 이동하기에는 눈에 의한 저항이 심하고 턴이 어려운 경우에 턴의 시작을 용이하게 해주는 벤딩 턴의 응용 기술이다. 제트 턴이란 이름은 턴의 시작 단계에서 턴을 돕기 위하여 스키를 앞으로 내밀며 추진시키는 동작에서 따온 것이다.
제트 동작은 턴이 어려운 상황에서 패럴렐 턴을 시작하기 위한 보조 동작으로써, 힘을 저장하기 위하여 발목, 무릎 및 엉덩이를 구부려 준비한 다음, 발을 앞으로 힘차게 내밀면서 스키를 추진시키는 것이다. 이 때 스키의 이동은 인체중심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제트 동작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언웨이팅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트 동작으로 눈속에 빠져 있는 스키의 앞 부분이 눈 위로 나올 수 있으며 턴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제트 턴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트래버스 방향으로 패럴렐 턴을 연습하는 도중에 제트 동작을 연습하고 점차 폴 라인 방향으로 타도록 한다. 그리고 처음에는 눈이 다져진 슬로프에서 연습을 하다가 점차 눈이 많이 쌓인 지역에서 연습하도록 한다. 트래버스에서 제트 턴을 실시하는 방법은 무릎을 구부리고 준비한 자세에서 내측 폴을 짚으며 발을 움직여 제트 동작을 실시한다. 그리고 폴을 짚는 힘에 의하여 언웨이팅이 되면 발을 움직여 스키의 방향을 바꾼다. 체중을 외측 스키로 옮기고 폴에 순간적으로 힘을 의자하면서 몸을 회전하는 방향으로 기울인다.
이후의 동작은 패럴렐 턴과 같은 방법으로 턴을 완성시키면 된다.
☞ 제트 턴을 실시할 때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 제트 동작을 실시하는 동안 상체가 경직되지 않게 한다.
- 제트 동작을 위한 다리의 움직임이 상체를 흔들리지 않게 한다.
- 제트 동작시 몸이 뒤로 기울어지지 않게 한다.
(3) 캉가루 턴(kangaroo turn)
캉가루 턴이란 이름은 턴을 시작하기 위하여 스키 뒷 부분에 앉는 자세가 마치 캉가루와 같아 붙여진 명칭이다. 캉가루 턴은 눈이 많이 쌓여 스키가 깊숙히 묻히는 지형에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눈이 잘 다져진 슬로프에서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술이다.
전체적인 기술은 제트 턴과 같으나, 턴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트 동작을 실시하는 대신에 폴을 짚고 약간의 제동을 걸면서 몸을 스키 뒷 부분으로 기울이는 점이 다르다. 몸을 뒤로 기울이면 스키 앞 부분이 언웨이팅 상태가 되므로 스키 앞 부분이 들리고 스키가 눈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폴을 짚은 상태에서 폴에 힘을 가하고 몸을 뒤로 기울이면, 몸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이러한 자세는 다리가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턴이 완성될 수 있다.
4. 직활강(schuss)
직활강이란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 폴 라인 방향으로 똑바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이 때의 자세는 스키를 약간 벌려 나란히 놓고 체중을 두 스키에 나누어 실어 스키 바닥이 모두 눈과 닿게 한다. 무릎은 약간 구부려 앞으로 내밀고 상체의 긴장을 풀고 어깨와 팔을 아래로 자연스럽게 둔다. 고개를 들고 전방을 주시하며, 전체적으로 몸을 약간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한다.
초보자들은 속도에 대한 공포감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자세를 정확히 취하지 못하고 상체를 지나치게 앞으로 숙이고 엉덩이는 뒤로 내밀어 경직된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몸의 긴장을 풀도록 하고 무릎을 약간 더 구부리게 한다. 그리고 몸을 뒤로 기울이면 뒤로 넘어지거나 오히려 속도가 더 나는 것 같아 공포가 엄습하게 되므로 유의한다.
경사가 급해지거나 완만해지는 등 지형 변화가 있을 때는 직활강 자세에서 몸을 위 아래로 움직이는 업 다운(up-down) 동작을 실시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경사가 급해지는 지형에서는 급경사 지역을 지나가기 직전에 몸을 구부려 중심을 낮추고 동시에 상체를 앞으로 숙인다. 이와 같은 동작을 취하지 않으면 관성에 의하여 경사가 바뀌는 지점에서는 몸이 뒤로 기울어 넘어지게 된다.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형을 직활강으로 지날 때는 경사가 바뀌는 지점에서 스키 앞 부분이 뒷 부분보다 설면으로부터 압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직활강 자세를 바꾸지 않으면 스키 앞 부분이 제동을 받아 앞으로 넘어지게 된다. 이 때의 올바른 자세는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형을 통과하기 직전에 업(up) 동작을 실시하여 스키 앞 부분이 설면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줄이는 것이다.
모걸 지형을 지날 때의 기술은 볼록 튀어나온 지형을 지나가기 전에 미리 무릎을 구부리고 턴 방향으로 상체와 무릎을 돌린다. 폴을 짚으면서 다리에 힘을 빼고 스키는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스키에 힘을 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무릎을 턴의 중심 방향으로 기울이면서 무릎과 대퇴의 힘을 이용하여 스키의 이동 방향을 바꾼다. 볼록한 지형을 내려 오면서 무릎을 펴고 외측 스키에 인체 중심을 옮긴다. 벤딩 턴을 실시할 때 무릎을 지나치게 구부려 스키 뒤로 주저않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무릎을 크라우칭 자세처럼 많이 구부려야 할 경우는 턴을 시작할 때이고 그 외에는 패럴렐 턴과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한다. 그리고 다리는 경직되지 않도록 하고 눈이 많이 쌓여 스키가 깊이 묻히는 경우에는 약간 뒤로 주저않듯이 자세를 취하여 스키의 앞부분이 약간 들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제트 턴(jet turn)
제트 턴은 설면에 눈이 많이 쌓여 설면을 따라 이동하기에는 눈에 의한 저항이 심하고 턴이 어려운 경우에 턴의 시작을 용이하게 해주는 벤딩 턴의 응용 기술이다. 제트 턴이란 이름은 턴의 시작 단계에서 턴을 돕기 위하여 스키를 앞으로 내밀며 추진시키는 동작에서 따온 것이다.
제트 동작은 턴이 어려운 상황에서 패럴렐 턴을 시작하기 위한 보조 동작으로써, 힘을 저장하기 위하여 발목, 무릎 및 엉덩이를 구부려 준비한 다음, 발을 앞으로 힘차게 내밀면서 스키를 추진시키는 것이다. 이 때 스키의 이동은 인체중심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제트 동작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언웨이팅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트 동작으로 눈속에 빠져 있는 스키의 앞 부분이 눈 위로 나올 수 있으며 턴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제트 턴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트래버스 방향으로 패럴렐 턴을 연습하는 도중에 제트 동작을 연습하고 점차 폴 라인 방향으로 타도록 한다. 그리고 처음에는 눈이 다져진 슬로프에서 연습을 하다가 점차 눈이 많이 쌓인 지역에서 연습하도록 한다. 트래버스에서 제트 턴을 실시하는 방법은 무릎을 구부리고 준비한 자세에서 내측 폴을 짚으며 발을 움직여 제트 동작을 실시한다. 그리고 폴을 짚는 힘에 의하여 언웨이팅이 되면 발을 움직여 스키의 방향을 바꾼다. 체중을 외측 스키로 옮기고 폴에 순간적으로 힘을 의자하면서 몸을 회전하는 방향으로 기울인다.
이후의 동작은 패럴렐 턴과 같은 방법으로 턴을 완성시키면 된다.
☞ 제트 턴을 실시할 때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 제트 동작을 실시하는 동안 상체가 경직되지 않게 한다.
- 제트 동작을 위한 다리의 움직임이 상체를 흔들리지 않게 한다.
- 제트 동작시 몸이 뒤로 기울어지지 않게 한다.
(3) 캉가루 턴(kangaroo turn)
캉가루 턴이란 이름은 턴을 시작하기 위하여 스키 뒷 부분에 앉는 자세가 마치 캉가루와 같아 붙여진 명칭이다. 캉가루 턴은 눈이 많이 쌓여 스키가 깊숙히 묻히는 지형에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눈이 잘 다져진 슬로프에서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술이다.
전체적인 기술은 제트 턴과 같으나, 턴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트 동작을 실시하는 대신에 폴을 짚고 약간의 제동을 걸면서 몸을 스키 뒷 부분으로 기울이는 점이 다르다. 몸을 뒤로 기울이면 스키 앞 부분이 언웨이팅 상태가 되므로 스키 앞 부분이 들리고 스키가 눈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폴을 짚은 상태에서 폴에 힘을 가하고 몸을 뒤로 기울이면, 몸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이러한 자세는 다리가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턴이 완성될 수 있다.
4. 직활강(schuss)
직활강이란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 폴 라인 방향으로 똑바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이 때의 자세는 스키를 약간 벌려 나란히 놓고 체중을 두 스키에 나누어 실어 스키 바닥이 모두 눈과 닿게 한다. 무릎은 약간 구부려 앞으로 내밀고 상체의 긴장을 풀고 어깨와 팔을 아래로 자연스럽게 둔다. 고개를 들고 전방을 주시하며, 전체적으로 몸을 약간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한다.
초보자들은 속도에 대한 공포감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자세를 정확히 취하지 못하고 상체를 지나치게 앞으로 숙이고 엉덩이는 뒤로 내밀어 경직된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몸의 긴장을 풀도록 하고 무릎을 약간 더 구부리게 한다. 그리고 몸을 뒤로 기울이면 뒤로 넘어지거나 오히려 속도가 더 나는 것 같아 공포가 엄습하게 되므로 유의한다.
경사가 급해지거나 완만해지는 등 지형 변화가 있을 때는 직활강 자세에서 몸을 위 아래로 움직이는 업 다운(up-down) 동작을 실시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경사가 급해지는 지형에서는 급경사 지역을 지나가기 직전에 몸을 구부려 중심을 낮추고 동시에 상체를 앞으로 숙인다. 이와 같은 동작을 취하지 않으면 관성에 의하여 경사가 바뀌는 지점에서는 몸이 뒤로 기울어 넘어지게 된다.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형을 직활강으로 지날 때는 경사가 바뀌는 지점에서 스키 앞 부분이 뒷 부분보다 설면으로부터 압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직활강 자세를 바꾸지 않으면 스키 앞 부분이 제동을 받아 앞으로 넘어지게 된다. 이 때의 올바른 자세는 경사가 완만해지는 지형을 통과하기 직전에 업(up) 동작을 실시하여 스키 앞 부분이 설면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줄이는 것이다.
추천자료
[선수에이전트][스포츠에이전트][운동선수]선수에이전트(스포츠에이전트)의 역사, 선수에이전...
[스포츠마사지][스포츠마사지시술][스포츠마사지수기]스포츠마사지의 역사와 어원, 스포츠마...
[스포츠마사지][스포츠마사지술기]스포츠마사지의 보건위생학적 기초, 스포츠마사지의 시술상...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특성, 댄스스포츠(스포츠댄스)의 종류, ...
[댄스스포츠][댄스스포츠 역사][국내 댄스스포츠 육성][스포츠 댄스]댄스스포츠의 의미, 댄스...
[스타마케팅]스포츠스타와 미디어, 스포츠스타와 집단정체성, 스포츠스타와 팬덤, 스포츠스타...
[소비자][스포츠][스포츠소비자][소비][스포츠서비스]소비자의 개념과 태도, 스포츠와 소비, ...
[학원스포츠][엘리트스포츠][스포츠][운동][체육]스포츠의 특성, 스포츠의 영향, 학원스포츠(...
[스포츠교육]스포츠교육(스포츠지도)의 정의, 스포츠교육(스포츠지도)의 의의, 스포츠교육(스...
[체육][운동][스포츠][특수체육]체육(운동, 스포츠)의 의의, 체육(운동, 스포츠)의 역사, 체...
상업체육시설(영리체육시설, 상업스포츠시설) 개념, 상업체육시설(영리체육시설, 상업스포츠...
[체육활동]체육활동(운동, 스포츠)의 의의, 체육활동(운동, 스포츠)의 역사, 체육활동(운동, ...
현대사회 스포츠의 의미,지역사회 스포츠,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스포츠마케팅사례,브랜드마케...
【스포츠관광 Sports Tourism】 스포츠관광의 마케팅전략 ; 스포츠관광의 정의와 효과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