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대]-시의 정의와 시론의 개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시의 정의

2.시론의 몇 가지 개념
1)시의 행과 연
2)시의 내포와 외연
3)시적 자유
4)시의 이미지

본문내용

그러므로 여러 가지로 생각된다. 민중의 상징으로 볼 수도 있고 또 다른 측면으로 볼 수도 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시인이 '풀'이란 대상을 통해 무언가를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풀'의 이미지의 문제가 생긴다.
둘째로 이미지는 정서를 환기하는 구실을 한다.
어느 먼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
이 한밤 소리 없이 흩날리느뇨.
처마 끝에 호롱불 여위어 가며
서글픈 옛 자취인 양 흰 눈이 내려
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에 메어
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
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내리면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희미한 눈발
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
싸늘한 추회(追悔)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
한 줄기 빛도 향기도 없이
호올로 차단한 의상(衣裳)을 하고
흰 눈은 내려 내려서 쌓여
내 슬픔 그 위에 고이 서리다.
-김광균 <설야>
눈이 내리는 소리는 결코 확실한 시각의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그 희미한 느낌을 시인은 상상력 속에서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로 바꿔 놓는다. 이 은밀한 장면과 청각적 이미지에 눈을 대비시킨 참신한 결합으로 시인은 눈 오는 겨울밤의 정서를 아주 효과적으로 환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밖에 이미지는 시적 상황을 구성하기도 하고 상상력을 자극하고 쾌감을 주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루이스(C.Day Lewis)는 시적 이미지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그것은 첫째, 시의 주제와 조화되어야 하고, 둘째, 신선하고 독창적이어야 하며, 셋째, 감각적 체험의 재생이어야 하고, 넷째, 비유나 상징 등의 표현 기교와 결합하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8.13
  • 저작시기2003.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