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라우터 (ROUTER)
2. 허브 (HUB)
3. EtherNet
4. 단말 서버 : terminal server
5. 전용 회선(leased line, leased circuit, dedicated private circuit)
6. DSU, CSU, HSM

본문내용

주고 수신측에서는 반대의 과정을 수행한다.
CSU(Channel Service Unit)
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T1 또는 E1 트렁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장비로서 각각의 트렁크를 받아서 속도에 맞게 나누어 분할하여 쓸 수 있는 장비이다. Channel Service에서 Channel이란 한 개의 채널에 64kbps 또는 56k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것을 말한다. 보통 64kbps를 1채널로 본다. 그래서 128K는 64kbps 두개의 채널을 사용해 128Kbps 속도를 낸다. 256K 나 512K도 마찬가지로 전송로에 할당된 채널 여러개를 사용해서 전송속도를 낸다. 그리고 실제 전송할때 각의 채널이 따로따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라 Mux라는 집중 장비가 여러개의 채널들을 모아서 하나의 대용량 전송로를 통하여 한꺼번 에 전송되는 트렁크 방식으로 전송이 된다. 그러므로 CSU는 바로 이러한 트렁 크라인(T1이나 E1)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장비이다.
전송방식의 차이로 T1은 24channel이 가능하고 E1은 30channel을 수용할 수 있다. 연결된 T1 이나 E1 전송로는 CSU의 옵션에 따라서 채널수가 지정되고 정해진 채널수에 따라서 그에 따르는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결정된다. 그러나 한쪽에서 T1-MUX에서 분기되고 다른쪽에 E1-MUX에서 분기가 된다면 사용 할 수 없다. 이것은 CSU가 T1과 E1 채널이 서도 다르기 때문이다.
CSU는 T1,E1을 접속하여 내부에서 채널옵션에 따라 512K등 고속전송을 한다. 그리고 여러 개의 고속채널들은 Mux 집중화 장치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트렁크라인으로 모여서 전송되는데 이것을 트렁크 전송이라한다.
TD
송신 데이터
RD
수신 데이터
RTS
Request To Send의 약자로 DTE가 DCE에 데이터 송신 요구를 표시
SYNC
전송로상의 반송파를 정상적으로 감시, 만약 SYNC가 깜빡거리면 전송로상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RED
SYNC가 점멸하거나 꺼져 있는 경우에 빨간색 램프가 들어온다. 테스트 스위치 (LOOPBACK SWITCH)
CHANNEL LOCAL
일반적으로 DSU의 자체 테스트와 같은 의미로 자국으로 자체 루프하여 CSU장비 자체를 테스트하는 스위치
CHANNEL REMOTE
원격 루프 테스트로 장비와 대응되는 장비까지 루프 테스트는 것으로 전송로 구간을 전부 테스트 할 수 있다.
◈ CSU LED 표시 설명 표시램프 의미 [CSU ONS-150]
HSM(High Speed Modem)
모뎀이 아날로그 전송장비라면 CSU, FDSU, T3모뎀, HSM 등은 디지털 전송장비이다. 모뎀은 아날로그 신호를 변복조 해야 하므로 기술적으로 어렵고 속도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한 컴퓨터 보급이 확대되어 정보 전송량이 대폭 증가됨에 따라 디지털 전송로를 설치하면 아날로그보다 경제적 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발전에 따라 한정된 자원인 아날로그 보다는 경제적인 디지털 전송로 구축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고, 이러한 디지털전송로에 연결되어 모뎀보다 고속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비를 CSU 또는 FDSU, T3모뎀, HSM 등 일명 "디지털 전송장비" 들이 출하되게 되었다.
아날로그 대비 디지털 전송의 대표적인 장점은 자원이 무한하다는 점이며, 또한 아날로그와 달리 원거리 전송 시에도 디지털 신호를 샘플링하여 에러의 정정 및 보상이 용이 하다는 점과, 모뎀보다 비교적 기술적으로 간단하다는 점이다.
디지털 전송로에서 사용되는 전송 장비인 HSM(High Speed Modem)은 국내의 통신장비 제조업자들이 근거리 모뎀에다 V.35인터페이스 및 약간의 기능을 추가하여 56k, 64k, 128k, 최대 256k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매우 저렴한 가격에 출시한 모뎀으로서, 이것 역시 용어는 모뎀이지만 디지털 전송로에 사용되는 디지털 전송장비이다. 한때 한국 전기 통신 공사(K.T)에서 경제적인 이유로 전용 회선과 함께 고객들에게 임대해 주었으나 타 회선에 미치는 간섭 영향이 크고 통신거리가 짧고 잦은 장애로 지금은 대부분 FDSU로 대치되어 사용치 않는다.
HSM(High Speed Modem)의 역할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기계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파형을 사용한다. 이 미세한 디지털 신호를 멀리 전송하기 위해서 디지털 전송장비가 필요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가까운 거리에서는 별도의 전송장비 없이도 자신의 자료를 상대방에게 무사히 보낼 수 있지만, 거리가 멀면 미세한 디지털 파형은 전송되는 도중에 왜곡 현상이 발생되어 상대방이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이를 부호화(Incoding)하여 상대방으로 전송하고 또한 부호화되어 들어오는 정보를 원래의 신호인 디지털로 복호화(Decoding)하는, 일반 디지털 전송장비에 비하여 저렴한 "준 디지털 전송장비"의 역할이다.
기술적 내용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신호(2진)는 유니폴라이다. 이를 바이폴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바이폴라로 들어오는 신호를 유니폴라로 변환 하는 것이 대표적인 부호화 / 복호화 방식 이다. 여러 종류의 디지털(2진) 신호를 가장 최적의 속도로 동기화 하여 손쉽게 부호화 / 복호화를 실현하는 것이 "HSM(High Speed Modem)"의 역할인 것이다.
HSM(High Speed Modem)의 종류
ㆍ외장형(일명 단독형) : 컴퓨터의 외부에 설치하여 별도의 인터페이스 케이블(주로 V.35)로 컴퓨터와 연결된다. 또한 자체 전원공급기가 있고 컴퓨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기신호(클럭)를 제공한다.
■■ㆍ집합형 : 주로 전산실, 전산센터 등은 여러 대의 디지털 전송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많은 양의 전송 장비를 모두 단독형으로 사용 하려면 여러 개의 전원 콘센트와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여러 개의 전원선과 통신회선을 연결해야 하므로 뒷면이 매우 지저분해 질 것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 하고자 여러 개의 전송장비를 선반형태의 랙마운트 슬롯(주로 12 또는 16슬롯)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카드형태의 전송장비를 말한다. 집합형은 단독형을 여러 대 사용하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이득이 많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08.13
  • 저작시기2003.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