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회계의 기초 개념
2.재무제표의 이해
3.재무제표와 거래(1)
4.재무제표와 거래(2)
5.유동자산(1)-당좌자산(1)
6.유동자산(1)-당좌자산(2)
7.유동자산(1)-당좌자산(3)
8.유동자산(2)-재고자산
7.고정자산
8.고정부채
9.자본금
10.기말결산
2.재무제표의 이해
3.재무제표와 거래(1)
4.재무제표와 거래(2)
5.유동자산(1)-당좌자산(1)
6.유동자산(1)-당좌자산(2)
7.유동자산(1)-당좌자산(3)
8.유동자산(2)-재고자산
7.고정자산
8.고정부채
9.자본금
10.기말결산
본문내용
. 수선충당금은 매년말 3분의 1씩 설정하기로 한다.1차년도, 2차년도분개와 3차년도 중에 실제 수선이 행해졌다. 분개는 ? 실제 수선을 위해서는 ₩1,000,000이 들었다.
·1차년도 말 : 차) 대)
·2차년도 말 : 차) 대)
·3차년도 수선시 :차) 대)
[자본금]
학습목표
- 자본금
- 현금흐름표의 구성내용
* 다음시간 학습목표
- 기말 결산정리, 객관식 문제풀이
1. 자본의 구성(☞기업회계기준 제5장 참조)
자 산
부 채
자 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자본조정
=> 자본 = 납입자본 + 이익잉여금(설립이후 순이익-배당지출액)
(1) 자본금
자본금 : 발행주식총수 × 1주당 액면금액 -> 보통주자본금, 우선주자본금
(2) 자본잉여금 : 기업의 영업활동(손익거래)이 아닌 자본거래로부터 발생
1) 자본준비금
① 주식발행초과금 ③ 합병차익(合倂差益)
② 감자차익(減資差益) ④ 기타 자본잉여금
2) 재평가적립금
(3) 이익잉여금 : 기업의 영업활동(손익거래)의 결과->유보이익(留保利益)
1) 이익준비금:상법규정에 의하여 자본금의 1/2에 달할때까지, 현금배당액의 1/10이상
2) 기타법정적립금 :상법이외의 법규에 의한 강제적 적립
-기업합리화적립금, 재무구조개선적립금 등
3) 임의적립금 : 회사의 정관,주주초오히의 의결에 따라 임의적으로 적립
-사업확장적립금, 감채적립금, 배당평균적립금, 결손보전적립금 등
4) 차기이월이익잉여금
=> 이익잉여금 처분 : 당기말의 처분전이익잉여금(전기이월이익잉여금과 당기순이익)
또는 임의적립금이입액이 있을 때 합계액을 처분
*임의적립금 이입액 : 과거에 설정해둔 임의적립금을 필요하다 판단하여 당기 배당가능액으로 활용시
예를들어,
·당기순이익 ₩500,000 ·기업합리화적립금 ₩60,000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70,000 ·현금배당 ₩50,000
·이익준비금 : 당기순이익의 10% ·배당평균적립금 ₩70,000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1. 처분전이익잉여금
1) 전기이월이익잉여금 XXX
2) 당기순이익 XXX XXX (1)
------- --------
2. 임의적립금이입액 XXX XXX (2)
------- --------
합계 XXX
--------
3. 이익잉여금의 처분
1) 이익준비금 XXX
2) 기타법정적립금 XXX
3) 배당금 XXX
4) 임의적립금 XXX
| XXX (3)
------- --------
4. 차기이월이익잉여금 XXX (1)+(2)-(3) ===> 차기의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
☞ 처분전이익잉여금이 음수(-)일 때 -> 처분전결손금 => 결손금처리계산서
2. 현금흐름표
일정기간동안의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의 하나로서 영업활동, 재무활동 및 투자활동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기업의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가져오는 거래를 요약하여 나타내주는 보고서 ☞ 교과서 부록에 나오는 현금흐름표 참조바람
(1)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일반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거나 상품과 용역을 구매 또는 판매하는 활동
-> 대부분 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손익거래와 관련된 것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현금의 대여와 회수활동, 유가증권과 단기대여금 등의 현금 이외의 유동자산의 취득과 처분, 투자자산 및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등의 취득과 처분활동
(3)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현금의 차입과 상환활동, 신주발행이나 배당금의 지급활동 등과 같이 부채 및 자본계정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기말결산]
학습목표
- 기말결산
- 수정분개 및 정산표
1. 기말결산 절차자본금
1단계 잔액시산표 작성
2단계 결산정리분개의 기입
3단계 수정후시산표의 작성
4단계 수정후시산표잔액을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에 옮기기
5단계 손익계산서에서 당기순이익 계산 -+
당기순이익 일치 확인
6단계 대차대조표에서 당기순이익 계산 -+
=>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작성(계정과목의 배열 순서 등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조정)
2. 기말정리사항
(1) 손익계산서 항목
1) 미지급비용 3) 선급비용
2) 미수수익 4) 선수수익
(2) 대차대조표 항목
1) 상품의 결산정리 6) 투자유가증권의 결산정리
2) 현금과부족의 결산정리 7) 유형, 무형자산의 결산정리 -> 감가상각
3) 당좌예금의 결산정리 8) 사채의 결산정리 ->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
4) 유가증권의 결산정리 9) 배당금의 결산정리
5) 매출채권의 결산정리 ->대손충당금 설정
◈ 예 제 ◈
1) 현금시재액 ₩220,000 (차이는 원인불명)
2) 은행계정조정표를 통해 당좌차월이자 ₩20,000이 발생함을 알게됨
3) 유가증권 평가액 ₩90,000
4) 기말상품 재고액 ₩2,400,000
5) 투자유가증권 시가 ₩650,000
6) 외상매출금 기말잔액에 대한 4% 대손추정
7) 유형자산감가상각비는 정율법에 의해 계산됨.(정률은 20%)
8) 실용신안권은 5년에 걸쳐 상각함. 실용신안권은 2000년도 초에 취득함.
9) 1999년도 초에 창업하였으며, 창업비는 5년에 걸쳐 상각함.
10) 올해의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46,000
11) 급여 미지급액 ₩200,000
12) 임대료 미수액 ₩40,000
정 산 표
[지랄상사] 2002년 1월 1일-2002년 12월31일 [단위:천원]
계정과목
수정전시산표
기말수정사항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금
200
당좌예금
2,220
유가증권
100
외상매출금
700
대손충당금
20
상품
2,000
투자유가증권
600
건물
4,000
감가상각누계액
800
비품
1,000
감가상각누계액
200
실용신안권
600
창업비
800
외상매입금
3,036
사채
2,000
사채할인발행차금
96
자본금
3,600
이월이익잉여금
600
매출
6,000
매입
3,100
급여
800
임대료
160
이자비용
200
계
16,416
16,416
계
·1차년도 말 : 차) 대)
·2차년도 말 : 차) 대)
·3차년도 수선시 :차) 대)
[자본금]
학습목표
- 자본금
- 현금흐름표의 구성내용
* 다음시간 학습목표
- 기말 결산정리, 객관식 문제풀이
1. 자본의 구성(☞기업회계기준 제5장 참조)
자 산
부 채
자 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자본조정
=> 자본 = 납입자본 + 이익잉여금(설립이후 순이익-배당지출액)
(1) 자본금
자본금 : 발행주식총수 × 1주당 액면금액 -> 보통주자본금, 우선주자본금
(2) 자본잉여금 : 기업의 영업활동(손익거래)이 아닌 자본거래로부터 발생
1) 자본준비금
① 주식발행초과금 ③ 합병차익(合倂差益)
② 감자차익(減資差益) ④ 기타 자본잉여금
2) 재평가적립금
(3) 이익잉여금 : 기업의 영업활동(손익거래)의 결과->유보이익(留保利益)
1) 이익준비금:상법규정에 의하여 자본금의 1/2에 달할때까지, 현금배당액의 1/10이상
2) 기타법정적립금 :상법이외의 법규에 의한 강제적 적립
-기업합리화적립금, 재무구조개선적립금 등
3) 임의적립금 : 회사의 정관,주주초오히의 의결에 따라 임의적으로 적립
-사업확장적립금, 감채적립금, 배당평균적립금, 결손보전적립금 등
4) 차기이월이익잉여금
=> 이익잉여금 처분 : 당기말의 처분전이익잉여금(전기이월이익잉여금과 당기순이익)
또는 임의적립금이입액이 있을 때 합계액을 처분
*임의적립금 이입액 : 과거에 설정해둔 임의적립금을 필요하다 판단하여 당기 배당가능액으로 활용시
예를들어,
·당기순이익 ₩500,000 ·기업합리화적립금 ₩60,000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70,000 ·현금배당 ₩50,000
·이익준비금 : 당기순이익의 10% ·배당평균적립금 ₩70,000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1. 처분전이익잉여금
1) 전기이월이익잉여금 XXX
2) 당기순이익 XXX XXX (1)
------- --------
2. 임의적립금이입액 XXX XXX (2)
------- --------
합계 XXX
--------
3. 이익잉여금의 처분
1) 이익준비금 XXX
2) 기타법정적립금 XXX
3) 배당금 XXX
4) 임의적립금 XXX
| XXX (3)
------- --------
4. 차기이월이익잉여금 XXX (1)+(2)-(3) ===> 차기의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
☞ 처분전이익잉여금이 음수(-)일 때 -> 처분전결손금 => 결손금처리계산서
2. 현금흐름표
일정기간동안의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의 하나로서 영업활동, 재무활동 및 투자활동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기업의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가져오는 거래를 요약하여 나타내주는 보고서 ☞ 교과서 부록에 나오는 현금흐름표 참조바람
(1)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일반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거나 상품과 용역을 구매 또는 판매하는 활동
-> 대부분 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손익거래와 관련된 것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현금의 대여와 회수활동, 유가증권과 단기대여금 등의 현금 이외의 유동자산의 취득과 처분, 투자자산 및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등의 취득과 처분활동
(3)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현금의 차입과 상환활동, 신주발행이나 배당금의 지급활동 등과 같이 부채 및 자본계정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기말결산]
학습목표
- 기말결산
- 수정분개 및 정산표
1. 기말결산 절차자본금
1단계 잔액시산표 작성
2단계 결산정리분개의 기입
3단계 수정후시산표의 작성
4단계 수정후시산표잔액을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에 옮기기
5단계 손익계산서에서 당기순이익 계산 -+
당기순이익 일치 확인
6단계 대차대조표에서 당기순이익 계산 -+
=>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작성(계정과목의 배열 순서 등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조정)
2. 기말정리사항
(1) 손익계산서 항목
1) 미지급비용 3) 선급비용
2) 미수수익 4) 선수수익
(2) 대차대조표 항목
1) 상품의 결산정리 6) 투자유가증권의 결산정리
2) 현금과부족의 결산정리 7) 유형, 무형자산의 결산정리 -> 감가상각
3) 당좌예금의 결산정리 8) 사채의 결산정리 ->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
4) 유가증권의 결산정리 9) 배당금의 결산정리
5) 매출채권의 결산정리 ->대손충당금 설정
◈ 예 제 ◈
1) 현금시재액 ₩220,000 (차이는 원인불명)
2) 은행계정조정표를 통해 당좌차월이자 ₩20,000이 발생함을 알게됨
3) 유가증권 평가액 ₩90,000
4) 기말상품 재고액 ₩2,400,000
5) 투자유가증권 시가 ₩650,000
6) 외상매출금 기말잔액에 대한 4% 대손추정
7) 유형자산감가상각비는 정율법에 의해 계산됨.(정률은 20%)
8) 실용신안권은 5년에 걸쳐 상각함. 실용신안권은 2000년도 초에 취득함.
9) 1999년도 초에 창업하였으며, 창업비는 5년에 걸쳐 상각함.
10) 올해의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46,000
11) 급여 미지급액 ₩200,000
12) 임대료 미수액 ₩40,000
정 산 표
[지랄상사] 2002년 1월 1일-2002년 12월31일 [단위:천원]
계정과목
수정전시산표
기말수정사항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금
200
당좌예금
2,220
유가증권
100
외상매출금
700
대손충당금
20
상품
2,000
투자유가증권
600
건물
4,000
감가상각누계액
800
비품
1,000
감가상각누계액
200
실용신안권
600
창업비
800
외상매입금
3,036
사채
2,000
사채할인발행차금
96
자본금
3,600
이월이익잉여금
600
매출
6,000
매입
3,100
급여
800
임대료
160
이자비용
200
계
16,416
16,416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