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사람의 사고 방식이나 정신 구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또 Weisgerber, Boas에 의해서도 논의된 바 있다.
☞영어에는 \'뜨겁다\'는 말과 \'맵다\'는 말이 같은 단어 \'hot\'로 되어 있기에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뜨거운 것과 매운 것을 구별하지 않는다.
☞언어는 의미와 소리가 결합하여 전체적인 정신세계를 표현한다. 사랑과 죽음이라는 의미에 대해 사고해 본적이 없더라도 발음상 부드럽고 온화한 양성모음과 유음으로 연결되있는 사랑이라는 단어를 듣고 좋은 자극을 받을 것이고 격한 소리로 이루어진 죽음이라는 단어를 듣고 별로 좋은 자극을 받지 못할 것이다. 영어에서 Love와 Death에서도 마찬가지의 느낌을 받을 것이다.
☞사람의 마음은 언어에 의해서 틀이 잡힌다. 우리는 닭의 울음소리를 \'꼬끼오\'로 나타내면서 바로 이것이 닭의 소리라고 생각하고 있다. 반면 영국 사람들은 \'코커두들두\'가 바로 닭의 소리를 나타내고 있다한다. 이렇게 다른 소리로 저마다 이것이 닭의 소리라고 착각하는 이유는 우리는 어릴 때부터 닭은 \'꼬끼오\'라고 우는 것으로 우리의 말로써 배워왔고 그들은 어릴 때부터 \'코커두들두\'라고 우는 것으로 그들의 말로써 배워 왔기 때문이다. 곧 저마다 다르게 닭의 소리를 생각하게 배워 왔기 때문에 저마다 다르게 닭의 소리를 생각하게 된 것이다.
⑧
☞음악가는 언어라는 매개를 통하지 않고 작곡을 하여 어떤 생각이나 사상을 표현하며, 조각가도 언어가 없이 조형을 하여 예술품을 만들어
낸다.
☞우리는 흔히 새로운 물건, 새로운 생각을 이제까지 없던 새 말로 만들어 명명하기도 한다.
☞우리 국어는 영어나 다른 인구어 계통의 말처럼 성(性)을 표시하는 문법적 범주가 없지만, 우리가 성의 구별을 못 한다든가 둔감하거나 하지는 않다. 우리처럼 성의 구분에 민감한 국민도 흔치 않다.
언어와 사고의 관계가 상호 보완이라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냐며 결론을 내어
보라고 한 친구도 있었지만 조사를 통해 내 생각을 더 굳혔다. 언어의 주된 기능이 사고를 표현하여 의사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언어는 사고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언어의 발달과 사고 발달은 서로 밀거니 당기거니 하면서 격려하며 지원해주고 있었다. 마주보는 거울과 같이 한쪽 거울에 비친 상이 다시 반대쪽 거울에 비치는 것처럼 계속 연속되는 것처럼 \"사고\" \"언어\"가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의 발달을 더 풍성하게 해주고 있었다.
☞영어에는 \'뜨겁다\'는 말과 \'맵다\'는 말이 같은 단어 \'hot\'로 되어 있기에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뜨거운 것과 매운 것을 구별하지 않는다.
☞언어는 의미와 소리가 결합하여 전체적인 정신세계를 표현한다. 사랑과 죽음이라는 의미에 대해 사고해 본적이 없더라도 발음상 부드럽고 온화한 양성모음과 유음으로 연결되있는 사랑이라는 단어를 듣고 좋은 자극을 받을 것이고 격한 소리로 이루어진 죽음이라는 단어를 듣고 별로 좋은 자극을 받지 못할 것이다. 영어에서 Love와 Death에서도 마찬가지의 느낌을 받을 것이다.
☞사람의 마음은 언어에 의해서 틀이 잡힌다. 우리는 닭의 울음소리를 \'꼬끼오\'로 나타내면서 바로 이것이 닭의 소리라고 생각하고 있다. 반면 영국 사람들은 \'코커두들두\'가 바로 닭의 소리를 나타내고 있다한다. 이렇게 다른 소리로 저마다 이것이 닭의 소리라고 착각하는 이유는 우리는 어릴 때부터 닭은 \'꼬끼오\'라고 우는 것으로 우리의 말로써 배워왔고 그들은 어릴 때부터 \'코커두들두\'라고 우는 것으로 그들의 말로써 배워 왔기 때문이다. 곧 저마다 다르게 닭의 소리를 생각하게 배워 왔기 때문에 저마다 다르게 닭의 소리를 생각하게 된 것이다.
⑧
☞음악가는 언어라는 매개를 통하지 않고 작곡을 하여 어떤 생각이나 사상을 표현하며, 조각가도 언어가 없이 조형을 하여 예술품을 만들어
낸다.
☞우리는 흔히 새로운 물건, 새로운 생각을 이제까지 없던 새 말로 만들어 명명하기도 한다.
☞우리 국어는 영어나 다른 인구어 계통의 말처럼 성(性)을 표시하는 문법적 범주가 없지만, 우리가 성의 구별을 못 한다든가 둔감하거나 하지는 않다. 우리처럼 성의 구분에 민감한 국민도 흔치 않다.
언어와 사고의 관계가 상호 보완이라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냐며 결론을 내어
보라고 한 친구도 있었지만 조사를 통해 내 생각을 더 굳혔다. 언어의 주된 기능이 사고를 표현하여 의사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언어는 사고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언어의 발달과 사고 발달은 서로 밀거니 당기거니 하면서 격려하며 지원해주고 있었다. 마주보는 거울과 같이 한쪽 거울에 비친 상이 다시 반대쪽 거울에 비치는 것처럼 계속 연속되는 것처럼 \"사고\" \"언어\"가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의 발달을 더 풍성하게 해주고 있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언어와 영어와의 관계
[심리학]인간관계에서의 매력3가지.언어적의사소통방법,사랑의유형,부부생활,이성관계
유아기의 중요성 - 성격형성의 중요성, 지적발달의 중요성, 신체적 발달의 중요성, 언어발달...
고든의 부모교육프로그램, 유능한 부모자녀관계,PET,PET이론,부모효율성훈련,장애요인적언어...
[이산수학 과제] 03.char형 배열로 표현된 관계행렬이 주어졌을 때 반사, 비 반사, 대칭, 반 ...
비구어(오전 7시 부터 오후 19시간 동안) 사용후 언어와 사회성에 대한 체험적 관계에 대한 생각
최근의 사건이나 사고(아동의 유괴 납치, 성범죄) 등 언론을 통하여 보도된 사례를 중심으로 ...
수용, 외상후 성장,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acceptance, posttraumati...
[국제관계] 체르노빌 원전사고 vs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제적 문제 고찰
도시교통 도시환경 {도시교통이 도시환경의 영향, 교통수요분석, 회전교차로의 교통사고의 관...
만4세 유아의 신체발달(신체운동. 건강영역), 언어발달(의사소통 영역), 사회성발달(사회관계...
[신체의 언어가 발휘하는 힘] 8장. 사회적 관계망을 넓히면서 건강하게 생활하기
영아기의 발달특성과 문학경험의 관계에 대해 인지와 언어발달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이 시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최근의 사건이나 사고 등 언론을 통하여 보도된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