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 체르노빌 원전사고 vs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제적 문제 고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관계] 체르노빌 원전사고 vs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제적 문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체르노빌 원전사고

후쿠시마 원전사고

한반도는 안전한가

본문내용

체르노빌 발전소의 원자로 4호기 폭발
1986년 4월 26일, 1:24 am

: 원자로의 가동중단에 대비한 실험을 진행하던 중,
증기 폭발이 일어나 원자로의 콘크리트 천장이 파괴
다량의 방사성 물질들이 대기중으로 누출
사건 개요
누출된 방사능의 총량, 약 5.3 엑사베크렐
 분류된 사고 등급 중 가장 심각한 사고
방출된 방사능의 총량 1억 ci
기상변화를 유발 유럽 전역에 방사능 확산
아시아로 방사능 방출
수 많은 인명 피해를 유발하고, 생태계를 위협
방사능 직접 피폭 사망자 56명
피폭으로 인한 암 발생 사망자 4,000명
피폭자 800만 명
주변국의 피해 상황
유출된 방사능 물질은 유럽에서 7만7천2백20㎡에 달하는 지역을 오염시킴

특히 식품(채소, 우유 등)의 방사능 오염은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것으로
지구피폭이라는 단어를 낳음
중략
구 소련의 대처
1) 소련 당국은 이상을 느낀 주변국의 항의로 인해
2주 만에 사실을 밝힘

2) 국가 원수도, 주민들도 몰랐던 체르노빌 사고.
사고 발생 3일째 ‘체르노빌에서 사고가 발생했다’는
단 8줄의 기사 보도

사고 한 달 후, 소련정부 공식 보고서
 방출된 방사선량이 핵연료의 1~3% 수준으로
나머지 96%는 원자로 내에 남아있음

BUT 전문조사팀의 확인
 원자로 잔여 핵 연료 5~10%에 불과
축소, 은폐된 UN 보고서
공정성과 신뢰성 잃은 UN 보고서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세계보건기구(WHO)를 중심으로 한
편파적 체르노빌 평가보고서가 ‘유엔보고서’라는 이름으로 제출

2002년 UN 보고서
: 체르노빌 사고사망자 4000~9000명

작년의 UN보고서
: 2005년 중반까지 체르노빌 사고의 방사선 노출로 인한
직접 사망자는 50명이 채 안 된다.
축소, 은폐된 UN 보고서
피해를 과소평가하려는 국제기구들의 시도는 집중적인 비난을 받음

UN 보고서를 반박하는
토치(TORCH;The Other Report of Chornobyl)보고서와 그린피스 보고서

 UN 보고서와 달리 체르노빌 인근 3개 국가 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영향 평가
사고 후 20년이 지나면서 보다 분명해지는 것은 공식적 피해 규모가
그 동안 알려진 내용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것
UN 보고서는 핵 산업계에 의해 조직적으로 진행된 축소, 은폐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고 지적

체르노빌 핵 참사 경제적 피해
: 2015년까지 우크라이나에서만 200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
최근에는 5%대로 줄긴 했지만 1992년까지 국가전체 예산의 15%가 체르노빌 사고수습에 쓰여 졌음
후쿠시마 원전사고
사건 개요
2011년 3월 11일 2:45 pm

: 일본 도호쿠(東北) 지방 부근 해저에서 규모 9.0지진이 발생
최고 10m의 쓰나미가 발생하여 원전 전원공급계통 등에 영향

지진발생 영향으로 지진 진앙지 인접지역 원전 중 후쿠시마 제1원전 1,2,3호기
(지진발생당시 4~6기 정기검사 중), 후쿠시마 제2원전 1~4호기 모두 자동정지
- 폭발원인

1,3,4호
: 원자로 건물 상부 내에 축적된 수소폭발로 추정
2호기
: 가열된 원자로를 덮은 격납용기와 연관된 장비 손상으로 폭발 방사능 유출 
(폭발 직후 1원전 부지 주변의 방사선 측정 수치가 3.15(화) 08:30경 8배 상승)
원전은 주로 바닷가 해안근처에 위치(Ex. 한국: 영광, 울진, 고리, 월성 등)
-후쿠시마 원자로 : 한번 핵분열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음
사고의 위험성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11.13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489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