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험개요
1) 급속시험(Quick Test, Q시험)
2) 압밀급속시험(Consolidated-Quick Test, Qc시험)
3) 압밀 완속시험(Consolidated-Slow Test, S시험)
◎시험장비
◎ 시험방법
(1) 사질토
(2) 점성토
◎ 계산방법
◎결과의 정리
1) 데이터 쉬트를 정리한다.
2) 데이터에는 다음의 값을 기록해야 한다.
3) 초기조건 및 압밀과정 정리
4) 전단과정정리
5) 강도정수(c, ø) 의 결정
◎결과이용
1) 급속시험(Quick Test, Q시험)
2) 압밀급속시험(Consolidated-Quick Test, Qc시험)
3) 압밀 완속시험(Consolidated-Slow Test, S시험)
◎시험장비
◎ 시험방법
(1) 사질토
(2) 점성토
◎ 계산방법
◎결과의 정리
1) 데이터 쉬트를 정리한다.
2) 데이터에는 다음의 값을 기록해야 한다.
3) 초기조건 및 압밀과정 정리
4) 전단과정정리
5) 강도정수(c, ø) 의 결정
◎결과이용
본문내용
에서는 유효 상재 하중과 같은 값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9) 결과를 정리한다.
◎ 계산방법
1) 전단응력과 수직응력을 계산한다.
τ = Ph/ A
σ = Pv/ A
여기서, Ph : 가해진 수평하중 〔㎏f〕
Pv : 가해진 수직응력 〔㎏f〕
A : 시료의 단면적 〔㎠〕
◎결과의 정리
1) 데이터 쉬트를 정리한다.
2) 데이터에는 다음의 값을 기록해야 한다.
- 시험기, 검력계, 시험방법, 시험전 공시체의 칫수, 중량, 함수비
- 압밀과정의 시간-압밀량 관계
- 전단과정의 측정치
3) 초기조건 및 압밀과정 정리
- 공시체의 초기상태 : 칫수, 함수비, 간극비, 포화도
- 압밀과정의 시간-압밀량관계를 반대수 그래프에 그린다.
4) 전단과정정리
- 배수조건, 전단방법, 전단속도 등 시험조건을 기록한다.
- 전단응력-수평변위(τ-ε), 연직변위-수평변위( Δh-ε) 곡선을 그린다.
- 각각의 시험에서 구한 최대전단응력-수직응력의 관계( -σ)를 그 려서 파괴포락선을 정한다. 또한 같은 그래프에 최대 전단응력 을 지나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궁극전단응력를 구하여 궁극전 단응력-수직응력의 관계(-σ)를 표시한다.
- 강도정수 c, 0를 구한다.
5) 강도정수(c, 0) 의 결정
수직응력 σ와 전단응력 τ은 앞의 개요에서 설명한 식을 사용하 여 구하고, 각 수직응력에 대하여 수평변위-전단응력(τ-ε) 관계 곡선을 그린다. 이 곡선으로부터 최대 전단응력을 구하고, 그래프 상에 수직응력에 대한 전단응력을 표시하는 점을 찍는다. 수직응력을 바꾸어 시험한 결과를 몇 개 더 점찍어 연결하면 직선이 얻어지는데, 이 직선의 경사각이 전단저항각 0가 되고, 세로축에서의 절편이 점차력 c 가 된다. 극한 전단응력을 기준으로 한 c와 0를 구하려면 수평변위-전단응력 관계곡선에서 극한 전단응력의 값을 취하면 된다. 점성토에 대해서는 배수 조건에 따라 c, 0값이 달라지므로 이것을 명백히 명시해야 한다.
6) 전단시 공시체의 체적변화
각 수직응력에 대하여 수직변위와 전단변위의 관계곡선을 그리면 공시체가 전단되는 동안에 체적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 수 있다. 느슨한 흙은 체적이 감소하고 촘촘한 흙은 체적이 증가한다. 그러나 극한상태 가까이 이르면 어느 경우든 체적이 일정해진다.
◎결과이용
- 토류구조물의 토압 및 안정계산
- 점성토사면의 안정계산
- 연약지반상에 시공한 성토나 구조물의 기초파괴에 대한 안정계산
- 기초의 지지력 계산
9) 결과를 정리한다.
◎ 계산방법
1) 전단응력과 수직응력을 계산한다.
τ = Ph/ A
σ = Pv/ A
여기서, Ph : 가해진 수평하중 〔㎏f〕
Pv : 가해진 수직응력 〔㎏f〕
A : 시료의 단면적 〔㎠〕
◎결과의 정리
1) 데이터 쉬트를 정리한다.
2) 데이터에는 다음의 값을 기록해야 한다.
- 시험기, 검력계, 시험방법, 시험전 공시체의 칫수, 중량, 함수비
- 압밀과정의 시간-압밀량 관계
- 전단과정의 측정치
3) 초기조건 및 압밀과정 정리
- 공시체의 초기상태 : 칫수, 함수비, 간극비, 포화도
- 압밀과정의 시간-압밀량관계를 반대수 그래프에 그린다.
4) 전단과정정리
- 배수조건, 전단방법, 전단속도 등 시험조건을 기록한다.
- 전단응력-수평변위(τ-ε), 연직변위-수평변위( Δh-ε) 곡선을 그린다.
- 각각의 시험에서 구한 최대전단응력-수직응력의 관계( -σ)를 그 려서 파괴포락선을 정한다. 또한 같은 그래프에 최대 전단응력 을 지나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궁극전단응력를 구하여 궁극전 단응력-수직응력의 관계(-σ)를 표시한다.
- 강도정수 c, 0를 구한다.
5) 강도정수(c, 0) 의 결정
수직응력 σ와 전단응력 τ은 앞의 개요에서 설명한 식을 사용하 여 구하고, 각 수직응력에 대하여 수평변위-전단응력(τ-ε) 관계 곡선을 그린다. 이 곡선으로부터 최대 전단응력을 구하고, 그래프 상에 수직응력에 대한 전단응력을 표시하는 점을 찍는다. 수직응력을 바꾸어 시험한 결과를 몇 개 더 점찍어 연결하면 직선이 얻어지는데, 이 직선의 경사각이 전단저항각 0가 되고, 세로축에서의 절편이 점차력 c 가 된다. 극한 전단응력을 기준으로 한 c와 0를 구하려면 수평변위-전단응력 관계곡선에서 극한 전단응력의 값을 취하면 된다. 점성토에 대해서는 배수 조건에 따라 c, 0값이 달라지므로 이것을 명백히 명시해야 한다.
6) 전단시 공시체의 체적변화
각 수직응력에 대하여 수직변위와 전단변위의 관계곡선을 그리면 공시체가 전단되는 동안에 체적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 수 있다. 느슨한 흙은 체적이 감소하고 촘촘한 흙은 체적이 증가한다. 그러나 극한상태 가까이 이르면 어느 경우든 체적이 일정해진다.
◎결과이용
- 토류구조물의 토압 및 안정계산
- 점성토사면의 안정계산
- 연약지반상에 시공한 성토나 구조물의 기초파괴에 대한 안정계산
- 기초의 지지력 계산
추천자료
38회 사법시험 1차시험 민법 (96.3)
40회 사법시험 1차시험 형사정책 (98년)
40회 사법시험 1차시험 헌법 (98년)
41회 사법시험 1차시험 헌법
흙의 물성시험 - 입도분석시험(체분석)
흙의 물성시험 중 다짐시험
(조선대,최양호)2012년 2011년 여름 이미지 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총정리 및 퀴즈, 기말시험문...
2013년 하계계절시험 의류소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토질역학 및 실험]흙의 다짐시험, 실내CBR 시험
2014년 하계계절시험 의류소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시험 보고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공무원 알아보기 - 공무원이란?(유형, 하는 일, 장점), 공무원시험의 소개(응시자격, 가산점 ...
2015년 하계계절시험 의류소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7년 하계계절시험 의류소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