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사회의 제스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 사회의 제스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북미 지역의 제스처
2. 남미 지역의 제스처
3. 아랍 문화권의 제스처
4. 아프리카 지역의 제스처
5. 서유럽 지역의 제스처
6. 러시아 및 동구권의 제스처
7. 오세아니아 지역의 제스처
8. 아시아 지역의 제스처

3. 결론 및 후기

본문내용

들인다고 한다.
러시아 인들은 역사적으로 항상 경찰들의 도청을 받아왔기 때문에 그것을 빠져나갈 만한 제스쳐를 발전시켜왔다. 예를 들면 브레즈네프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러시아 인들은 손가락으로 눈썹을 가리킬 것이다. (브레즈네프의 진한 눈썹을 가리킴), 글래스노스트를 따라 온 자유언론으로 이러한 제스처의 필요성은 감소하였으나 완젼히 사라지진 않았다.
우리 나라와 마찬가지로 러시아에서도 행복을 기원하는 제스처가 있다. 러시아에서는 항상 좋은 일에 대하여 얘기할 때 나무로 된 물건을 세 번 두드린다고 하는데, 이것은 이 일에 대해 악마가 듣고 시기하여 좋은 일을 망가뜨리지 말라는 표시이다.
◇ 생일 축하해~!
뒤에서 한쪽 귀 혹은 양 귀를 위로 살짝 잡아 당긴다.
아이들의 생일날 나이 수만큼 잡아당기며 축하를 해주는데, 위로 잡아당기는 의미는 "큰 사람이 되라" "쑥쑥 커라"의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한다.
◇ 실망... 망연 자실...
의외의 일에 실망하고 망연 자실 할 때에 러시아 및 동구권 사람들은 양손가락을 쫙 편 채로 관자놀이 혹은 이마를 감싸 쥔다. 이때 "Ax!" "Ox!" "Ужасно! Какой!" "ужас!" 등이라고 말한다.
◇ 설득할 때...
손바닥, 주먹으로 두 세번 자신의 가슴을 침으로써 상대방을 설득한다.
주먹으로 가슴을 침과 동시에 "Клянусь!" "Честное слово!" 라고 말한다.
◇ 분노, 고집, 불만.
러시아 영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제스처이다.
상대방이나 해당사항에 불만이 있거나, 화가 날 때 인상을 찌뿌리면서 입이나 볼에 바람을 불어 넣는다.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입술을 오므리는 경우도 불만을 의미하나, 이 제스쳐는 보통 긴장이나 우려를 표현하는 경우가 더 많다.
◇ 너 무슨 생각하냐?
손가락 한 개 혹은 여러 개로 이마나 머리를 톡톡 치다가 다시 테이블을 톡톡 치는 행위를 반복하는데 이는 "너 무슨 생각하냐?" "머리를 어디다 두고 다니냐?"의 뜻으로 상대방의 어리석음과, 바보같음을 지적하는 제스처라고 할 수 있겠다.
◇ 배 부르다. 많이 먹었다.
턱 바로 아래에 쫙 핀 손가락을 대고 왼쪽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7. 오세아니아의 제스쳐
오세아니아의 국가 중 호주에서는 우리들이 많이 쓰는 제스처로, 같은 행위이면서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다른 뜻을 내포하는 제스처들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검지와 중지를 세우고 나머지는 오므리는 V자 표시가 승리와 자부심을 나타내지만. 유럽과 호주에서는 손바닥을 바깥으로 하여 V자를 그리면 우리와 같은 의미로 쓰이지만, 그 반대로 손등이 바깥으로 내밀 경우에는 모욕적인 행동을 뜻한다.
예를 들면 지난 1991년 미국의 부시 대통령이 호주를 방문했을 때 군중들에게 손등을 바깥 쪽으로 보이는 V자 표시를 하여 국민들의 분노를 샀던 적이 있다.
또한 호주에서는 여성들이 윙크를 하는 것을 무례하게 보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오세아니아의 제스처는 대부분이 서구의 그것과 같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오세아니아의 원주민들의 제스처 중에는 흥미로운 것들이 있다. 또 다른 나라인 뉴질랜드에서는 마오리족의 인사가 매우 유명하다. 뉴질랜드 북 섬에 있는 로토루아 마오리족은 반가운 남녀가 만나면 '흥기'라는 인사로 코를 서로 두 번씩 비빈다. 최근 뉴질랜드 정부에서는 괴질 감염을 우려, 원주민인 마오리족에게 뉴질랜드를 방문한 중국 대표단과 코를 누르는 마오리족 전통 인사를 하지 말라고 당부 하기도 했다.
또한, 마오리족이 턱을 위로 치켜들면 '예'라고 말하는 것이지만 시실리인들에게 이렇게 하면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이 된다.
8. 아시아 지역의 제스처
동북 아시아의 제스처는 우리 나라와 거의 동일한 제스처를 보이고 있어서 생략하도록 하겠다. 우리 나라 사람들과 다른 몇 가지만 소개하도록 하겠다.
◇ 안녕하세요
-인도의 경우: 인도의 아버지들은 아이들에게 두 손을 펴서 가슴 높이에서 모으고 고개를 다소 숙이며 “Namaste(나마스테, 안녕하세요?)”라고 말하라고 가르친다. 사찰에서 하는 인사법과 유사한 이 제스처는 “신께서 당신과 함께 하기를 기원한다” 또는 “감사합니다”, “미안합니다”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힌두교가 퍼진 인도와 네팔 등 인근 국가에서 주로 쓰이는 인사법이라고 할 수 있다.
-타이의 경우: 타이에서는 ‘Wai(와이)’라고 부른다. 단, 합장한 두 손을 머리 위로 올리면 모욕적인 표현으로 오해받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태국의 경우에서의 와이(wai, 합장)는 인사라기 보다는 생활 최고의 규범이자 존경 또는 고마움의 표시다.
- 상위자가 하위자의 와이에 응할 때 : 양손을 합장하되 머리는 숙이지 않는다.
- 같은 서열 사이의 인사인 경우 : 양손 끝이 목 근처로 올라오되 코 높이를 넘지 않도록 한다.
- 서열을 알 수 없을 때: 양손 끝이 목 근처로 올라오되 코 높이를 넘지 않도록 한다.
- 상위자에 대한 하위자의 인사 : 하위자가 먼저 합장하며 동시에 머리를 숙이며 이 때 손 끝은 코 높이까지 올린다.
◇ 차 좀 주세요.
중국에서는 웨이터에게 차를 달라고 할 때 그저 빈 컵을 들어 받침에 엎어놓는다. 찻주전자가 비어 있는 경우에는 뚜껑을 뒤집어 놓는다. (우리 나라에서는 '안 마신다'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이 제스처는 다른 나라에서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
< 결 론 및 후 기 >
지금까지 각 대륙 별과 각 문화권 별로 상이한 제스처를 조사해 보았다.
특히, 이번 Team Project를 하면서 외국 여행자들의 경험담도 많이 알게 되었고, 그들이 문화별 제스처를 몰라서 당한 사례들을 보았다.
비록 팀 내 사정으로 인해서 다른 조보다 늦게 모이게 되었지만, 충실히 서로를 도와주는 다른 조원들이 있어서 다른 조 못지않게 과제를 할 수 있었다.
앞에서 말했듯이 서구 문명의 확산으로 인해 각 문화별 제스처의 개성이 사라지고 있지만, 아직도 특이한 제스처들은 많이 남아있다. 서론에서 말했듯이 각 문화의 제스처를 이해하는 것은 흥미롭기도 하겠지만, 이는 앞으로 국제적인 활동을 할 우리들에게는 큰 재산이자, 자신의 전략적인 무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09.28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