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차라리 소수일지라도 세계에서 일인자가 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미국의 빌게이츠가 전세계적으로 먹여살리는 인구가 몇십만, 몇천만인가? 이런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앞으로의 사회는 지금보다 훨씬 유능하고 어떠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전문가(스페셜리스트)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교육도 그렇게 되어야 한다. 교육은 사회와의 연계 속에서 고급 인재를 육성하고 건강한 사회인으로 만드는 것이 그 첫 번째 임무이기 때문이다.
단선형 학제에 대한 개혁을 외치는 소리가 많았다. 하지만 이를 성문화하고 사회전반으로 끌어올린 사람은 극히 소수인 것 같다. 이는 교수님께서도 말씀하셨지만 50여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한번도 학제개편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당장에 수정하고 개혁하기에는 곳곳에 문제점이 발생할 것이고 이에 따른 재정도 부담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잘못을 알고도 고치지 않으면 그만큼 어리석은 것은 없다'라는 공자의 말처럼 차근차근, 하나하나 뜯어 고쳐나간다면 몇십년 후에는 교육정책에 있어 선진국이 되어 있지 않을까? '백년지대계'로서 우리 교육이 잘못된 부분을 하나, 둘 고쳐나가길 바란다.
단선형 학제에 대한 개혁을 외치는 소리가 많았다. 하지만 이를 성문화하고 사회전반으로 끌어올린 사람은 극히 소수인 것 같다. 이는 교수님께서도 말씀하셨지만 50여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한번도 학제개편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당장에 수정하고 개혁하기에는 곳곳에 문제점이 발생할 것이고 이에 따른 재정도 부담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잘못을 알고도 고치지 않으면 그만큼 어리석은 것은 없다'라는 공자의 말처럼 차근차근, 하나하나 뜯어 고쳐나간다면 몇십년 후에는 교육정책에 있어 선진국이 되어 있지 않을까? '백년지대계'로서 우리 교육이 잘못된 부분을 하나, 둘 고쳐나가길 바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