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도시계획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구도시계획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산업혁명 이전의 도시발달
1) 고대도시
2) 고전도시(그리이스, 로마)
3) 중세도시
4) 근세도시(르네상스, 바로크)

2.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계획과 도시문제
1) 산업혁명과 근대도시의 발달
2) 현대도시의 문제와 과제

* 시대별 특징의 요약

본문내용

의 성벽적지의 부근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후 영국인들이 탈취하여 뉴욕으로 개명한 것임.
- Philadelphia (교재 p.23 그림 참조)
- 1682년 측량가 T. Holme과 William Penn이 계획함.
- 2개의 직교하는 대가로를 골격으로 형성된 격자형 가로패턴 : 미국의 다른 도시에 큰 영향을 미침.
- Washington D.C.(교재 p.23 그림 참조) :
- 1776년 독립 후 적절한 수도의 물색 중, 기존도시인 뉴욕이나 필라델피아를 피해 Potomac강변에 새로운 도시건설.
- 프랑스의 랑팡(P.C. L'Enfant)에 의해 계획됨.
- 바로크적 분위기와 신생국인 미국의 기상을 받들어 대규모의 기하학적 형태를 취함.
- 격자형 가로망에 방사선을 삽입시킴.
- 이후, Buffalo, Detroit등의 평면형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미국도시의 유럽도시와의 다른 점 **
1) 역사가 짧으며, 도시건설의 당초부터 도시계획에 대한 어느정도의 원리와 경험을 가진 유럽인 에 의한 건설
2) 광대한 평탄지에 계획적인 건설로
3) 형태가 매우 규칙적이고
4) 커다란 지형적 장애 없이 평면적으로 계속 성장하여
1850년에는 뉴욕은 68만명으로 ,볼티모어, 보스턴, 필라델피아, 신시내티는 10만명을 돌파함.
1900년에는, 태평양의 항구도시로서 San Fransisco, Los Angeles가 발전,
오대호 주qus에는 Chicago, Detroit 등의 공업도시,
내륙에는 남부의 Huston과 Dalas가 대도시로 발달함.
** 미국 도시계획사 중 특기사항 **
- 뉴욕 맨해튼 섬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Central Park의 건설배경
- 1800년 Joseph Manjin : 뉴욕의 도시계획안을 제시함(채택치 않음)
- 1811년 뉴욕시 위원회 : 지형이나 수변에 관계없이 전체 섬위에 격자형 가로망을 계획 함. 이것은 직선의 변을 갖기 때문에 직각의 건물을 짓기에 가장 값싸고 편리한
경제적인 도시계획이라 믿었기 때문임.
- 50년도 채 경과하기 전에 1854년 도시의 공공공지(public open space)의 부족이라는
문제를 야기 시키게 됨.
결국, 840에이커의 토지를 550만 달러에 매수하여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심공원 인 Central Park를 조성함. --- 결국 당초의 계획이 비경제적인 계획이 됨.
### 여기에서 우리는 도시공간에 있어서 오픈스페이스의 확보가 얼마나 중요하며, 또 도시계획 에 있어서는 당시의 경제성과 효율성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미래를 내다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좋은 교훈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시대별 특징의 요약]
1) 원시시대
폐쇄형 취락의 도시발생은 집단 취락을 형성하며 농경생활로 시작되었다.
2) 고대
주로 왕권의 행정적, 군사적 기반을 두고 신전이나 궁전을 중심으로 방어용 성곽과 함 께 형성된 폐쇄형 도시가 대부분이었다. 대중생활을 위한 주택은 밀집상태로 도외시되 는 경향이 많았다.
3) 중고대
동서양이 대체로 비슷하게 상업적 도시를 구성하였으나, 서양에서는 광장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적 도시구성을 한 데 반하여 동양에서는 중앙가로를 중심으로 대칭형 도시형태 로 발전하였다. 이는 동양이 여전히 행정중심적이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4) 중세
상업도시가 완전히 형성되고 봉건영주에서 벗어나 자유도시로 전환하였다. 동양과 서양 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서구도시는 교회와 시장중심의 불규칙한 방사선형태로 발전이 내 부에서 외부로 진행되었지만 동양은 여전히 성벽이 남아있고, 중앙정부를 거점으로 도 시의 배치가 주위에서 내부로 발전되어가는 정반대의 성향을 보였다.
5) 근세
서구에서는 중상주의 정책의 결과로 시민계급이 경제적 실력을 갖게 되었다. 영국의 Bath시의 반원형 Royal Crescent와 건물은 이 시대의 대표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동양에서는 국가 주도하의 도시계획이이루어졌는 데 중국의 북경, 조선의 한양, 평양, 개성 등이 있고 일본에서는 수공업의 중심지인 京都가 있다.
6) 현대
민족국가의 성립과 산업화가 각 나라의 도시의 내부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놓는 계기가 되었다. 즉, 확대와 유입이 가속화되면서 도시의 벽이 무너지고 주변으로의 무분 별한 도시로의 인구유입은 환경 불량과 슬럼화의 도시문제로 이어졌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도시이론으로는 E.Howard의 Garden City이론을 바탕으로 아메리카 신대륙과 서구의 영국, 파리, 베를린, 모스크바 등의 거대도시가 재정비되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0.02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