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년까지 도시계획이 수립된 곳은 44개 도시였고, 최초에 적용받은 도시가 나진, 청진, 성진 등의 북부의 공업도시이며 1940년대에는 서울과 연결되는 서해안의 소사와 경인지구의 공업도시, 그리고 동해안의 흑호, 삼보, 북평의 대상(帶狀)공업도시였다. 이것은 식민지에서 지하자원개발에 중점을 두고 그 부근의 도시를 공업화 내지는 항구로 개발하였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디지털 시대에 따른 건축과 도시의 변화
[독서 서평] 다시 태양의 시대로 ‘화석도시로 남을 것인가, 태양도시로 갈 것인가
조선시대 및 일제강점기의 교육사회
서양의 도시공간 형성 / 중세시대(중세도시)
시대별 우리나라 도시공간과 경관
일제 강점기 시대의 결핵 문인들 열전
일제강점기~2010년 각 시대별 기계(우표 기계인) 변천사
일제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자세
[의복의 역사] 학생복의 변천과정(개화기, 일제강점기, 광복 후, 영 패션시대)
[의복의 역사] 복식에 영향을 미친 근대의 사회 문화적 배경(개화기, 일제강점기, 광복 후, ...
[한국문화사] 개항 이후 옷의 역사(개항기 - 현재) - 개화기,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박정희 ...
[한국문화사] 개항 이후 옷의 역사 - 옷의 역사, 의복, 갈등과 순응의 시대(개화기), 일제강...
[한국문화사] 의복의 역사 (개항 뒤 옷의 역사) - 의복, 옷, 개화기, 일제 강점기, 해방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