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인
2. 소설가
3. 소설가
4. 결핵과 관련된 소설
2. 소설가
3. 소설가
4. 결핵과 관련된 소설
본문내용
참 한심한 사람이 아닐 수 없다
② 작품개괄
-작가 채만식 (蔡萬植)
본관은 평강(平康)이고 호는 백릉(白菱)이다. 1902년 부 채규섭(蔡奎燮)과 모 조우섭(趙又燮)과의 사이에서 6남 3녀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임피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18년 상경하여 1922년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그해 일본에 건너가 와세다대학 부속 제일와세다 고등학원에 입학하였으나 1923년 중퇴하였다. 1925년이후 기자로 전전하였으나 1936년 이후로는 직장을 가지지 않았으며 1945년 임피로 낙향하여 다음해 이리로 옮겨 1950년 결핵으로 영면(永眠)하였다. 그는 4대 多作작가이다. 1930년대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1924년 단편 「새길로」로 문단에 데뷔한 뒤 300여편에 이르는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세계는 당시의 현실반영과 비판에 집중되어 있다. 농민의 궁핍, 지식인의 고뇌, 도시하층민의 몰락등을 실감나게 그리면서 사회적 상황을 비판하였다. 그의 대표작중 하나인 장편소설 「탁류」는 1937. 12. 17일부터 이듬해 5. 17일까지 5개월간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다. 제목에서도 알수 있듯이 혼탁한 역사를 엮은 이야기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들의 비극적 인생행로는 일제하 조선인의 삶의 역경을 적나라하게 대변하고 있다.
그는 풍자적 기법에서 큰 수확을 거둔 작가로 평가되고 있으며 근대 리얼리즘의 대가로 평가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인형의 집을 나와서(1933)」, 「탁류(1937)」등 다수가 있다.
-갈래 단편소설, 풍자소설
-배경 일제강점기 하의 1920∼1930년대 서울, 군산
(산업화 사회로 변해 가는 과정에서 파생된 물질적인 도시문화가 팽배하기 시작하던 시기)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인물
1. 나 : 작품의 화자로 이기적이고 타산적인 현실 순응자. 보통학교 4학년을 마치고 일본인 밑에서 사환으로 있는 소년. 일제(日帝)에 의한 식민지 상황을 전적으로 긍정하고 기꺼이 일제에 동화되어 가겠다는 인물.
2. 아저씨 :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사람으로, 사회개혁의지를 가졌으나 그 뜻을 실천하지 못하는 당대 지식인의 전형적 인물 .대학을 나온 뒤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감옥살이를 하고, 이제는 병이 들어서 폐인이 되다시피 한 지식인.
-갈등의 구조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아저씨'와 그의 비현실적인 사고방식을 비난하는 '나'의 갈등
-주제 일제의 강압 통치로 인한 사회상 풍자(지식인이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모순과 노예적 삶의 비판)
일제 강점기의 현실 적응적 생활관과 사회주의 사상적 삶의 방식과의 갈등.
-구성
1. 발단 -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옥살이를 하고 폐병에 걸려서 앓아 누워 있는 오촌 고모부 아저씨 소개.
2. 전개 - 아주머니의 고생담과 '나'의 성장 과정.
3. 위기 - 철저히 일본인으로 동화되어 살아가겠다고 생각하는 '나'.
4. 절정 - '나'와 아저씨의 대립.
5. 결말 - 아저씨에 대한 '나'의 실망.
-표현 반어적인 대화체(독백체), 경어체, 풍자와 반어의 효과, 회상의 기법 사용,
② 작품개괄
-작가 채만식 (蔡萬植)
본관은 평강(平康)이고 호는 백릉(白菱)이다. 1902년 부 채규섭(蔡奎燮)과 모 조우섭(趙又燮)과의 사이에서 6남 3녀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임피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18년 상경하여 1922년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그해 일본에 건너가 와세다대학 부속 제일와세다 고등학원에 입학하였으나 1923년 중퇴하였다. 1925년이후 기자로 전전하였으나 1936년 이후로는 직장을 가지지 않았으며 1945년 임피로 낙향하여 다음해 이리로 옮겨 1950년 결핵으로 영면(永眠)하였다. 그는 4대 多作작가이다. 1930년대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1924년 단편 「새길로」로 문단에 데뷔한 뒤 300여편에 이르는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세계는 당시의 현실반영과 비판에 집중되어 있다. 농민의 궁핍, 지식인의 고뇌, 도시하층민의 몰락등을 실감나게 그리면서 사회적 상황을 비판하였다. 그의 대표작중 하나인 장편소설 「탁류」는 1937. 12. 17일부터 이듬해 5. 17일까지 5개월간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다. 제목에서도 알수 있듯이 혼탁한 역사를 엮은 이야기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들의 비극적 인생행로는 일제하 조선인의 삶의 역경을 적나라하게 대변하고 있다.
그는 풍자적 기법에서 큰 수확을 거둔 작가로 평가되고 있으며 근대 리얼리즘의 대가로 평가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인형의 집을 나와서(1933)」, 「탁류(1937)」등 다수가 있다.
-갈래 단편소설, 풍자소설
-배경 일제강점기 하의 1920∼1930년대 서울, 군산
(산업화 사회로 변해 가는 과정에서 파생된 물질적인 도시문화가 팽배하기 시작하던 시기)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인물
1. 나 : 작품의 화자로 이기적이고 타산적인 현실 순응자. 보통학교 4학년을 마치고 일본인 밑에서 사환으로 있는 소년. 일제(日帝)에 의한 식민지 상황을 전적으로 긍정하고 기꺼이 일제에 동화되어 가겠다는 인물.
2. 아저씨 :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사람으로, 사회개혁의지를 가졌으나 그 뜻을 실천하지 못하는 당대 지식인의 전형적 인물 .대학을 나온 뒤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감옥살이를 하고, 이제는 병이 들어서 폐인이 되다시피 한 지식인.
-갈등의 구조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아저씨'와 그의 비현실적인 사고방식을 비난하는 '나'의 갈등
-주제 일제의 강압 통치로 인한 사회상 풍자(지식인이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모순과 노예적 삶의 비판)
일제 강점기의 현실 적응적 생활관과 사회주의 사상적 삶의 방식과의 갈등.
-구성
1. 발단 -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옥살이를 하고 폐병에 걸려서 앓아 누워 있는 오촌 고모부 아저씨 소개.
2. 전개 - 아주머니의 고생담과 '나'의 성장 과정.
3. 위기 - 철저히 일본인으로 동화되어 살아가겠다고 생각하는 '나'.
4. 절정 - '나'와 아저씨의 대립.
5. 결말 - 아저씨에 대한 '나'의 실망.
-표현 반어적인 대화체(독백체), 경어체, 풍자와 반어의 효과, 회상의 기법 사용,
추천자료
- 일제강점기시대의 우리음악
- 일제강점기 시대의 패션
- [식민, 식민치하, 식민지시대]식민과 식민치하, 식민과 식민지시대(일제강점기, 일제시대), ...
- [일제시대행정, 일제강점기행정]일제시대행정(일제강점기행정)과 지방제도개혁, 일제시대행정...
- [일제시대, 일제강점기]일제시대(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노동쟁의, 노동운동사, 일제시대...
- 일제강점기(식민지시대, 일제하)의 사회주의운동, 민중계몽운동, 농지탈환운동, 민족개조론, ...
- 식민지시대(일제강점기, 일제시대)와 농업기술보급, 제생원맹아부, 식민지시대(일제강점기, ...
- [한국현대소설론] 소설사회학적 연구의 실례 - 집단과 개인, 일제강점기 소설 연구방법, 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