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격차-지역별 격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 정보 격차의 발생 배경

2. 본론
․ 정보 격차의 현황
-지역별 격차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정보격차)

3. 결론
- 정보 격차의 문제점에 따른 해소방안

*참고자료

본문내용

수 있는 인터넷 학습 CD보급 등과 같은 사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지역의(농촌지역)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겠다. 앞의 본론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수도권지역은 90% 이상 그 지역에서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비수도권지역에서는 10% 미만 지역에서만 초고속정보통신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이러한 지역별 격차가 나타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 FCC는 200 Kbps 이상을 초고속정보통신서비스(broadba
nd)로 규정하고 궁극적으로 전 국민에게 이런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비수도권 지역의 초고속정보통신서비스 제공도 주민의 초고속 수요, 적용할 수 있는 기술동향, 민간 사업자의 사업계획, 그리고 정부의 지원 능력 등으로 감안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1. 2001 한국 인터넷 통계집  한국인터넷정보센터 2001.10 발행
한국인터넷정보센터
2. [칼럼니스트] 제292호 2001.07.14 -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정보격차 문제(이재일)
http://columnist.org/ref/2001/20010714.htm
3. 디지털 격차
http://www.pufs.ac.kr/~parkyg/text/2-06.htm
4. 생활통계
http://www.woorizine.or.kr/woorizine04/htm/statistics-2.htm
5. 국민일보
박 연호 칼럼-시급한 디지털 격차 해소
http://www.kmib.co.kr/html/kmview/2000/0704/091742070313171216.html
6. 김경환박명호손재영, 2002, 미래지향적 수도권정책 : 경제학적 접근지음
서강대학교 출판부
7. 박재흥. 2000, 「디지털 혁명과 정보불평등」,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엮음,
『디지털 혁명과 자본주의의 전망』, 한울
8. 조정문, 2001, 「정보격차 현황 및 정책의 발전방향」한국전산원,
『정보화정책』 제8권 2호
9. 한국인터넷정보센타, 「2002 한국인터넷통계집」
2002,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행태 조사」
10. 정보통신부, 2002, 「2002 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 주요 조사결과」
11. 한국인터넷정보센터, 2002,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행태 조사」
12. 한국전산원, 2000,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종합 방안 연구보고서」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1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