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대기운화와 통민운화의 상관작용으로 경제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무로 그는 공. 상에 대하여 '인정'에서 "그 운화의 통. 불통이나 민용에 이로운가 이롭지 않은가에 따라 그 귀천과 우열이 나타난다"고 하여 적극적인 경제윤리관을 주장했다. 』
참고자료 : 강만길 외<한국사9.중세사회의 해체(1)>, (한길사, 1995 P.165~178)
이러한 근대를 지향하는 실학사상에도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실학을 연구한 학자들의 대부분이 조선시대 몰락한 양반인 '잔반'이었다는 점에 있다고 본다. '몰락해도 양반은 양반'이라고 그들이 제시한 근대적 개혁론 이란 것이 어디까지나 봉건왕조의 틀 내에서의 변화 추구였기 때문이다. 특히 앞서 밝힌 실학자의 범주내로 본 '정약용'의 사상은(그가 후세 사회에 끼친 위대한 정치, 문화, 철학적 성과를 뒤로하고) 사회경제적인 변화에 따른 보다 근본적인 개혁 사상을 제시한 북학론자 들에 비해 체제의 안정을 지향하는, 어떻게 보면 미지근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실학 중에서도 북학파의 흐름은 더 나아가 개화 사상으로 발전하여 보다 근대적인 사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는 것에 실학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물론 세계 자본주의의 탐욕적인 물결아래 우리나라가 일본의 지배에 놓이면서 더 이상의 주체적인 근대로의 발전은 어렵게 됐지만, 이런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우리 사회 역사의 '정체성'을 논한다는 것은 부당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근대화를 위한 주체적인 노력을 해왔고, 그 물고를 틀어막아 그들의 뜻대로 한 것은 바로 당시의 '일본'이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강만길 외<한국사9.중세사회의 해체(1)>, (한길사, 1995 P.165~178)
이러한 근대를 지향하는 실학사상에도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실학을 연구한 학자들의 대부분이 조선시대 몰락한 양반인 '잔반'이었다는 점에 있다고 본다. '몰락해도 양반은 양반'이라고 그들이 제시한 근대적 개혁론 이란 것이 어디까지나 봉건왕조의 틀 내에서의 변화 추구였기 때문이다. 특히 앞서 밝힌 실학자의 범주내로 본 '정약용'의 사상은(그가 후세 사회에 끼친 위대한 정치, 문화, 철학적 성과를 뒤로하고) 사회경제적인 변화에 따른 보다 근본적인 개혁 사상을 제시한 북학론자 들에 비해 체제의 안정을 지향하는, 어떻게 보면 미지근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실학 중에서도 북학파의 흐름은 더 나아가 개화 사상으로 발전하여 보다 근대적인 사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는 것에 실학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물론 세계 자본주의의 탐욕적인 물결아래 우리나라가 일본의 지배에 놓이면서 더 이상의 주체적인 근대로의 발전은 어렵게 됐지만, 이런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우리 사회 역사의 '정체성'을 논한다는 것은 부당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근대화를 위한 주체적인 노력을 해왔고, 그 물고를 틀어막아 그들의 뜻대로 한 것은 바로 당시의 '일본'이었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중세 기사제도 및 기사계급에 대한 이해와 분석
중세의 형성과 발전
중세시대 봉건제도
중세유럽 상업의 부흥과 도시의 발생
사회복지의 역사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과 사회복지에 관한 고찰
교황권을 중심으로 본 서양 중세교회와 정치관계에 대한 고찰
고려사회의 귀족제설과 관료제설
조선후기의 사회변화와 경제발전
독일과 영국의 사회복지 정책의 발전과정독일 사회복지 발달사, 영국 사회복지발달사-베버리...
고려사회의 성격
영국 봉건사회 구조와 여성의 불평등론
중세와 기독교 문화
노트르담의 꼽추(노틀담의 꼽추 / Notre Dame de Paris) 영화의 시대적 상황, 영화의 공간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