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제국의 붕괴
1)원왕조의 중국지배 특징
2)원말 한화정책과 쇠퇴
[2] 홍건적의 난
1)홍건적의 난 발발과 전개
2)동계·서계홍건군
[3] 주원장의 거병과 명제국의 성립
1) 주원장의 거병과 명제국의 성립
2) 건국초기 명제국의 성격
[4] 황제권 강화와 중앙집권체제
1)중국사회의 정비
2)통치제도의 정비
1)원왕조의 중국지배 특징
2)원말 한화정책과 쇠퇴
[2] 홍건적의 난
1)홍건적의 난 발발과 전개
2)동계·서계홍건군
[3] 주원장의 거병과 명제국의 성립
1) 주원장의 거병과 명제국의 성립
2) 건국초기 명제국의 성격
[4] 황제권 강화와 중앙집권체제
1)중국사회의 정비
2)통치제도의 정비
본문내용
반했다는 이유로 1만 5천명에 달하는 그의 일당이 주살된 사건이다. 호유용은 대조와 같은 고향 출신의 개국공신으로 중서성 좌승상으로 임용되었고, 학문과 인격을 겸비하고 있는 인물이었으나 일본과 北元에 밀사를 파견했더는 죄목으로 처형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중앙통치기구의 개편이라는 단순한 모습에 그치지 않고 명 초기의 관료세력과 강남세력을 숙청하여 황제권 강화라는 태조의 정치적 목적을 담고 있다.
을 계기로 宰相府인 중서성을 폐지하고 六部를 관료기구의 최고 기관으로 하였으며 직접 황제직속기관으로 편입하였다. 이는 재상제도가 사라지고 황제가 정무를 총괄하는 절대군주체제를 완성한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2.지방행정기구
지방행정에 대한 개혁은 우선 지방관의 교체에서부터 실시해 지방행정기관의 삼권분립으로 귀결되어 진다. 지방관들에 대한 숙청과 교체는 홍무 9년에 발생한 '공인의 안
) '空人의 案'(홍무9년. 1376)은 명제국 초기 태조에 의한 여러 의옥사건들의 첫 번째로 지방관의 교체를 위한 사건이었다. 당시 지방관청은 매년 결산보고서를 호부에 제출할 때, 호부와의 대조에 불일치가 있을 것을 대비하여, 별도의 장관의 직인이 찍히지 않은 서류를 관례적으로 준팅고 있었으나 여기에 부정이 있다고 하여 상당수의 지방관이 유죄나 사형을 받게된 사건이었다. 이 '공인의 안'을 시작으로 '胡惟庸의 獄', '李善長의 獄'(2차 호유용의 옥), '藍玉이 玉'과 같은 모반사건이 연이어 발생하였다.
'을 통해서였다. 이를 통해 상당수의 지방관이 교체되었으며 이들 중에 절대 다수는 강남 출신의 남인 세력들이었다. 이 사건과 동시에 지방행정기구의 개혁이 이뤄져 기존의 지방최고 통치기관인 행중서성을 폐지하고 승선포정사사(민정)·도지휘사사(군사)·제형안찰사사(사법)로 이루어진 삼권분립체제를 이뤘다.
3.군사제도
중앙과 지방의 통치세력, 행정기구들의 정비와 함께 군사제도에 대한 개편을 단행해 통수권이 집중되어 있는 대도독부를 개편해 5군도독부라는 이름으로 설치하였다. 이는 통수권을 중·전·후·좌·우로 분할한다는 것을 기본으로 감찰기관으로 어사대를 도찰원으로 개편해 관료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였으며 정보정치를 강화시키기 위해 특무기관인 금의위를 설치했다.
<참고도서>
·『아시아 歷史와 文化』 中國史-近世 Ⅱ, 鄭誠一 역, 1997, 신서원
·『동양사개론』, 申採湜, 1993, 삼영사
·『개관 동앙사』,東洋史學會, 1983, 지식산업사
을 계기로 宰相府인 중서성을 폐지하고 六部를 관료기구의 최고 기관으로 하였으며 직접 황제직속기관으로 편입하였다. 이는 재상제도가 사라지고 황제가 정무를 총괄하는 절대군주체제를 완성한 것으로 설명 할 수 있다.
2.지방행정기구
지방행정에 대한 개혁은 우선 지방관의 교체에서부터 실시해 지방행정기관의 삼권분립으로 귀결되어 진다. 지방관들에 대한 숙청과 교체는 홍무 9년에 발생한 '공인의 안
) '空人의 案'(홍무9년. 1376)은 명제국 초기 태조에 의한 여러 의옥사건들의 첫 번째로 지방관의 교체를 위한 사건이었다. 당시 지방관청은 매년 결산보고서를 호부에 제출할 때, 호부와의 대조에 불일치가 있을 것을 대비하여, 별도의 장관의 직인이 찍히지 않은 서류를 관례적으로 준팅고 있었으나 여기에 부정이 있다고 하여 상당수의 지방관이 유죄나 사형을 받게된 사건이었다. 이 '공인의 안'을 시작으로 '胡惟庸의 獄', '李善長의 獄'(2차 호유용의 옥), '藍玉이 玉'과 같은 모반사건이 연이어 발생하였다.
'을 통해서였다. 이를 통해 상당수의 지방관이 교체되었으며 이들 중에 절대 다수는 강남 출신의 남인 세력들이었다. 이 사건과 동시에 지방행정기구의 개혁이 이뤄져 기존의 지방최고 통치기관인 행중서성을 폐지하고 승선포정사사(민정)·도지휘사사(군사)·제형안찰사사(사법)로 이루어진 삼권분립체제를 이뤘다.
3.군사제도
중앙과 지방의 통치세력, 행정기구들의 정비와 함께 군사제도에 대한 개편을 단행해 통수권이 집중되어 있는 대도독부를 개편해 5군도독부라는 이름으로 설치하였다. 이는 통수권을 중·전·후·좌·우로 분할한다는 것을 기본으로 감찰기관으로 어사대를 도찰원으로 개편해 관료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였으며 정보정치를 강화시키기 위해 특무기관인 금의위를 설치했다.
<참고도서>
·『아시아 歷史와 文化』 中國史-近世 Ⅱ, 鄭誠一 역, 1997, 신서원
·『동양사개론』, 申採湜, 1993, 삼영사
·『개관 동앙사』,東洋史學會, 1983, 지식산업사
추천자료
운영체제
북한경제체제의 전환의 필연성
[교육행정 (A+완성)] 개방체제의 특징을 설명 및 우리나라의 학교들의 개방체제로서 역할 보...
막부체제와 메이지유신
유신체제는 대한민국의 근대화 과정에 필수적이었는가?
체제론 관점에서 본 한국
[중국][중국의 정치][중국의 정부조직][중국 공산당][중국체제][중국 전망][중국정부]중국의 ...
유신체제의 특성과 붕괴원인에 관하여 고찰하라.
시장경제체제와 노동력의 상품화
지역평생학습체제의 바람직한 방향
역사)고려통치체제의 정비 - Ⅳ. 고려의 성립과 발전 3. 고려 통치체제의 정비
[1919년][보통시험][베르사이유체제][임시정부][임시정부폐쇄][조약][인구세]1919년의 보통시...
브라질의 정치행정체제 구조 {강력한 행정부, 신 민주체제, 정부의 규모와 투명성}
[일본거버넌스체제 Governance System] 일본의 거버넌스체제(일본 지방자치와 참여, 국가거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