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줄거리
2. 중요지문
3. 주제
4. 인물
5. 배경
6. 갈등 구조
7. 문학적 평가
8. 참고 사항
2. 중요지문
3. 주제
4. 인물
5. 배경
6. 갈등 구조
7. 문학적 평가
8. 참고 사항
본문내용
을 통하여 현실을 고발하고, 현실에 항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배경이 된 간도는 최서해가 실제로 유랑하며 살았던 곳으로, 방화 - 살인의 폭발적 결말을 이끌어 내기에 적합한 장소로 설정되고 있다 .
갈등 구조
이 작품의 갈등 구조는 매우 단순하다. 지주인 인가가 문서방의 딸 용례의 미모에 혹해 빚 대신에 빼앗아 가는 데서 갈등이 시 작된다. 이러한 갈등은 문서방의 아내가 죽음으로써, 극에 달하고 문서방이 인가의 집에 방화하고 인가를 죽임으로써 파국을 찾 는다. 이러한 문서방의 행위는 극적인 결말이기는 하나, 자연발생적이고 파괴적인 것으로 현실의 구조적 모순을 극복하는 올바른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문학적 평가
① <탈출기>와 함께 최서해의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 선이 굵은 문장에 집약적인 행동묘사가 현실감을 배가시키고 있는 좋은 소설이다. 특히 <탈출기>가 자연발생기의 프로문학작품을 대표하는 것임에 반해 이 작품은 최서해가 목적의식기에 접어든 후 쓰여진 것으로 평가된다.
② 최서해가 1927년 1월 조선문단에 발표한 단편 소설. 이 작품은 간도를 배경으로 조선인 소작인과 중국인 지주 사이의 갈등을 그린 것으로 신경향파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계급의식에 입각한 인물설정과 소작인의 지주에 대한 계급적 투쟁 그리고 방화와 살인에 의한 결말처리 등은 프로 문학적 창작 방법에 충실한 것이다.
③ 최서해는 '홍염'을 간도에서 죽은 그의 장모를 소재로 썼다 한다. 간도 '달리소'에서의 장모의 죽음에서 "궁사(窮死)하 는 장모를 통하여 한 시대적 조선 사람들의 유형을 찾아보았다."는 최서해의 말은 곧 식민지 시대의 궁핍화 - 사경으로 몰 린 민족의 생사의 갈림을 판가름한 것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작품이었다.
3월 1일 이후의 사상적 격변, 경제적 공황, 빈궁한 식민지인이 겪는 시련으로서의 자신의 궁핍, 민족적 유랑지 간도의 일우에서 찾은 민족적 흥분(식민지의 침략적 지배층은 이러한 민족적 감정을 극히 배격하였고, 또 그 추종적 피식민인들도 이것을 피할 것을 뇌까리기도 했으나, 이것은 정신적으로 어릿광대에 불과했다.) 은 최서해가 그 해가 간도에서 궁사하는 장모의 생애에서 찾 는 감정적 촉발도 있었겠으나, 그가 현실적으로 부닥치고 있던 궁핍과, 부비고 틀고 있던 식민지 현실과 악수하게 됨으로써, '홍 염' 창작에 작용하였을 것이다.
참고 사항
신경향파 문학의 한계
신경향파 문학은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노골화된 시기에 등장한 것으로 절망적인 가난과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인적인 항거의 모습을 보어준다. 이는 우리 문학의 현실에 대응하는 한 방식을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지만, 현실 의 개혁에 대한 논리적 대응이 아닌 자연발생적인 항거, 즉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살인, 방화 등의 파국에 그쳤다는 한계를 갖 는다. 이러한 무방향성은 프로 문학이 본격화되면서 극복되었다. 신경향파의 대표작으로는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최서해의 일련의 작품, 박영희에 '사냥개' 등을 들 수 있다.
갈등 구조
이 작품의 갈등 구조는 매우 단순하다. 지주인 인가가 문서방의 딸 용례의 미모에 혹해 빚 대신에 빼앗아 가는 데서 갈등이 시 작된다. 이러한 갈등은 문서방의 아내가 죽음으로써, 극에 달하고 문서방이 인가의 집에 방화하고 인가를 죽임으로써 파국을 찾 는다. 이러한 문서방의 행위는 극적인 결말이기는 하나, 자연발생적이고 파괴적인 것으로 현실의 구조적 모순을 극복하는 올바른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문학적 평가
① <탈출기>와 함께 최서해의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 선이 굵은 문장에 집약적인 행동묘사가 현실감을 배가시키고 있는 좋은 소설이다. 특히 <탈출기>가 자연발생기의 프로문학작품을 대표하는 것임에 반해 이 작품은 최서해가 목적의식기에 접어든 후 쓰여진 것으로 평가된다.
② 최서해가 1927년 1월 조선문단에 발표한 단편 소설. 이 작품은 간도를 배경으로 조선인 소작인과 중국인 지주 사이의 갈등을 그린 것으로 신경향파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계급의식에 입각한 인물설정과 소작인의 지주에 대한 계급적 투쟁 그리고 방화와 살인에 의한 결말처리 등은 프로 문학적 창작 방법에 충실한 것이다.
③ 최서해는 '홍염'을 간도에서 죽은 그의 장모를 소재로 썼다 한다. 간도 '달리소'에서의 장모의 죽음에서 "궁사(窮死)하 는 장모를 통하여 한 시대적 조선 사람들의 유형을 찾아보았다."는 최서해의 말은 곧 식민지 시대의 궁핍화 - 사경으로 몰 린 민족의 생사의 갈림을 판가름한 것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작품이었다.
3월 1일 이후의 사상적 격변, 경제적 공황, 빈궁한 식민지인이 겪는 시련으로서의 자신의 궁핍, 민족적 유랑지 간도의 일우에서 찾은 민족적 흥분(식민지의 침략적 지배층은 이러한 민족적 감정을 극히 배격하였고, 또 그 추종적 피식민인들도 이것을 피할 것을 뇌까리기도 했으나, 이것은 정신적으로 어릿광대에 불과했다.) 은 최서해가 그 해가 간도에서 궁사하는 장모의 생애에서 찾 는 감정적 촉발도 있었겠으나, 그가 현실적으로 부닥치고 있던 궁핍과, 부비고 틀고 있던 식민지 현실과 악수하게 됨으로써, '홍 염' 창작에 작용하였을 것이다.
참고 사항
신경향파 문학의 한계
신경향파 문학은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노골화된 시기에 등장한 것으로 절망적인 가난과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인적인 항거의 모습을 보어준다. 이는 우리 문학의 현실에 대응하는 한 방식을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지만, 현실 의 개혁에 대한 논리적 대응이 아닌 자연발생적인 항거, 즉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살인, 방화 등의 파국에 그쳤다는 한계를 갖 는다. 이러한 무방향성은 프로 문학이 본격화되면서 극복되었다. 신경향파의 대표작으로는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최서해의 일련의 작품, 박영희에 '사냥개' 등을 들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