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본의 정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탁본의 정의

Ⅱ. 탁본의 기원

Ⅲ. 탁본의 발달

Ⅳ. 탁본의 종류
(1) 오금탁(烏金拓)과 선시탁(蟬翅拓)
(2) 응용탁(應用拓)

Ⅴ.탁본에 알맞은 기후

Ⅵ. 연모와 탁본물의 보관방법
(1) 연모
(2) 탁본물의 보관

본문내용

은 따로 그늘에 다 말린 다음 보관하였다가 다시 묶어 쓰면 된다.
▷ 먹물은 20일 정도 내에 다시 탁본을 하는 경우에는 소주 몇 방울을 섞으면 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버리거나 다른 곳에 사용해야 한다.
(2) 탁본물의 보관
-배접-
⊙준비물:물솔,풀솔,보관지(파지),장척(長尺),판(板).
⊙방법
① 보관용지를 채탁한 용지보다 사방 4-5cm 정도 크게 잘라서 표면을 위로 향하게 하고 채탁한 종이는 뒤집어서 판(板)위에 양쪽에다 널어 놓는다.
② 탁본한 용지를 탁본한 쪽이 밑으로 향하게 놓고, 물솔로 종이 위에 물을 약간 바르든가 물을 뿜어 주름을 완전히 펴서 구겨진 곳이 없게 하여 펴 놓는다.
③ 보관용지는 묽은 풀을 바르면서 번져짐이 없도록 주름살을 펴 나간다.
④ 풀을 칠한 보관용지를 탁본한 종이 위에 씌운다. 마른 솔로 주름을 펴 나간다.
⑤ 보관용지와 탁본한 종이가 붙은 것을 뒤집어 놓고 탁본한 종이 주위에 남아 있는 보관용지에 풀을 바른다.
⑥ 판이나 벽에 붙인다.
⑦ 잘 말려진 다음 종이를 떼어내어 가장자리의 보관용지를 깨끗하게 잘라버린다.
⑧ 작은 작품은 액자에 끼워 두거나 벽에 붙이고 큰 작품은 깨끗한 종이로 싸서 말아 둔다.

키워드

탁본,   금석학,   김정희,   서예,   미술사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0.17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8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