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의 작용기작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르몬의 작용기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호르몬의 특성
2.2 호르몬의 분류
2.3 호르몬의 분비조절
2.4 호르몬의 종류와 작용
2.5 호르몬의 작용기작
2.6 인슐린의 세포내 신호전달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용체 tyrosine kinase의 일차 표적은 수용체 자체로, 자체 인산화에 의해 형태변화를 일으킨 수용체가 세포내 어떤 단백질과 tyrosine kynase의 반응을 조절하거나 또는 β단위의 세포질내 말단부와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어떤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리라 추측된다.
둘째, 인지질 및 당인지질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diacylglycerol ( DAG ) 이나 inositol phosphate glycan ( IPG ) 등의 대사산물이 세포내 전령으로 작용한다는 중재설 ( mediator hypothesis ).
그 외, protein kinase C ( PKC )나 G protein의 역할 등이 있다.
3) 생체에 대한 insulin의 작용
그림.6
Insulin은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을 때 췌장의 βcell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혈당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주된 작용으로 여러 가지 대사 과정에서 촉진 혹은 억제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아래의 표와 같다. 그림.6 참조
대사 반응
insulin 과잉
insulin 부족
지방신생(지방조직)


단백질 합성(지방조직,근육)


glycogen 합성(근육,간)


지방산으로부터 ketone body 생성(지방조직)


아미노산으로부터 포도당신생


glycogen 분해(간)


지방 분해(지방조직)


막 투과성


아미노산의 막투과성(근육)


Hexokinase의 활성화(간,지방조직)


c-AMP 농도(간,지방조직)


glycogen 합성효소의 활성화(근육,간)


RNA 합성(지방조직)


표 1 +: 촉진, -: 억제
(1) insulin의 혈당 조절작용
Ⅲ. 결 론
호르몬이란 단어는 '자극하다', '불러 깨우다'라는 뜻이 있으며 그리스어에 그 어원이 있다. 혈관을 통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내분비라 하고, 이 물질을 만드는 기관을 내분비기관이라고 한다. 우리 몸에는 수없이 많은 특징이 있는 조직과 기관이 모여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협동, 조절, 통제, 종합하는 일 외에도 억제, 자극, 재생산 등 유기적인 전달 수단이 필요하다.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과 함께 세포나 조직의 물질대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호르몬이다.
여러 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은 성장과 발육, 물질대사, 세포 내 물질 흡수, 생식 체액 평형 유지 등에 꼭 있어야 하는 물질로 우리가 잘 아는 성호르몬이 생식과 발생에 중요한 것이듯이 다른 호르몬도 그 호르몬이 관여하는 다른 표적기관에 매우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이다.
호르몬을 화학 전달물이라고 부르는데 신경 외에도 효소나 비타민의 기능과 유사한 성질도 갖고 있다. 효소는 주성분이 단백질이고, 열에 약하며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반면, 비타민은 체내 합성이 되지 않고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고 호르몬은 특정 기관에서만 만들어지며, 열에 강한 편이고 항원으로 작용하지 않는 등의 특징이 서로 다르다.
호르몬은 미량으로 충분하여 호르몬기관의 우두머리인 뇌하수체도 일평생 만드는 양이 차 숟가락 하나 정도라고 한다. 그리고 많아도, 적어도 안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호르몬의 정보전달은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갑상샘 호르몬이나 부신피질 호르몬, 성호르몬과 같이 분자량이 작은 스테로이드 계통의 호르몬이다. 이것은 혈액을 타고 표적세포의 세포막을 통고해 핵 속의 유전인자에 명령을 전달하여 특정 유전인자가 활성되어 단백질이나 효소 합성을 촉진시키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대부분의 호르몬은 단백질로 되어 있어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세포막에서 특이물질과 결합하여 세포내 특정 효소를 활성화시켜 그 활성화된 효소가 세포 내 조절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저분자로 되어 있는 정소에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계의 웅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은 정원세포 속에 들어가 그들로 하여금 세포 분열을 촉진시켜 정자를 만들게 하고 피를 타고 턱이나 겨드랑이 세포에 들어가서 털을 만드는 유전인자를 활성화시켜 웅성 이차성징인 털을 구성하는 단백질을 만들어 턱수염이 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자에서 분비된 인슐린은 표적기관이 따로 없이 온 몸이 세포막에 붙어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당 분해를 빨리 일어나게 한다.
호르몬 기관의 기능을 알기 위한 옛날의 실험 몇 가지를 소개하는 것도 호르몬의 특성 이해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원숭이 집단에서 대장 원숭이를 거세하였더니 곧바로 우두머리를 내놓았으나 웅성호르몬을 주사하였더니 다시 대장이 되었다 하고 뇌하수체 전엽을 제거했더니 새끼를 박해하고 먹이도 주지 않던 어미 새가 뇌하수체 호르몬을 주사를 줬더니 다시 새끼를 품어주고 먹이를 먹였고 암병아리에 웅성 호르몬 주사를 계속 줬더니 암탉이면서도 볏이 커지고 싸움발톱이 발달하였으며, 그 반대 현상도 실험으로 입증되었다. 쥐에서 부신을 제거한 후에 추위, 소음, 굶기기로 자극을 주면 곧 죽어버린다는 실험에서 부신에는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호르몬이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하는 등 이런 많은 실험의 결과, 각 호르몬 기관의 하는 일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가 모르는 비밀이 가득 들어 있다. 우리는 앞으로 이러한 비밀들을 밝혀 나가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채기수 외 5인 공저, 생명과학을 위한 생화학, 지구문화사, 1996
2. Garrett & Grisham, 생화학, 생화학교재편찬위원회, 1997
3. 최 연, 인체생리학, 수문사, 제3판, 1985
4. http://kjbs.snu.ac.kr/~Cry4Free/molbio/signal/insulin.htm
5. http://ns.ares.pe.kr/e11.htm
6. http://www.postech.ac.kr/life/st/pic/smmc01a.gif
7. http://www.kordic.re.kr/~trend/Content309/biology21.html
8. http://dongmyung.hs.kr/oho417/unit/b03-02.htm
9. http://prattler.hihome.com/home2-3-2-1.htm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3.10.18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