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1. 화장실의 역사
2. 인간공학과 화장실
3. 문제점 체크리스트
4. 해결 방안
5. 포세식 화장실
6. 최신화장실
7. 맺음
2. 인간공학과 화장실
3. 문제점 체크리스트
4. 해결 방안
5. 포세식 화장실
6. 최신화장실
7. 맺음
본문내용
-화장실의 역사-
▷어원
- 18~19세기 경 영국에서는 가루를 가발에 뿌리는 것이 유행이었는데 이때 상류층 가정의 침실에는 대개 `파우더 클라짓(powder closet)`이 마련됐다.
이곳은 가발에 가루를 뿌리기 위한 공간으로, 직역하면 `화장하는 방`인데 가루를 뿌린 뒤 손을 씻어야 하므로 물을 비치 하게 됐고, 이후 `화장실`이 변소를 의미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시대별 역사
▷고대
- BC 2400∼BC 2100년의 유적으로 보여지는 고대 바빌로니아의 주거지(住居址)에서 이미 햇볕에 말린 벽돌을 쌓고 역청(瀝靑)으로 마무리한 걸터앉는 방식의 수세식 화장실이 확인.
- 고대 이집트의 각 도시에서는 실내화장실이 채용.
- 크레타섬에서는 크노소스 궁전의 수세식 화장실이 발굴.
- 그리스에서는 배수시설이 불완전하여 오물을 도로에 버려 뒷골목이 불결하였던 것 같다.
▷로마시대
- 로마 시대에는 상 ·하수도가 발달하여 폼페이나 팀가드의 유적에 볼 수 있는 것 같이 납관[鉛管]에 의한 각호급수(各戶給水)와 사용 후의 물을 이용하여 화장실을 수세식으로 하였으며, 암거(暗渠)에 의한 하수도를 이용하여 강이나 바다에 방류하는 방식도 도시의 일부에서는 채용했다.
▷중세
- 중세가되자 로마식 화장실은 없어지고 다시 원시적인 농경생활식 화장실로 되돌아갔고 오물은 정원 구석이나 도로에 버렸다.
- 수세(水勢)에 의하여 오물을 흘리는 방식으로 된화장실은 겨우 1596년에 영국의 하링튼경(卿)에 의해 발명되었다.
이것은 구조상 냄새가 역류(逆流)하는 등 문제가 있었으며, 1775년에 런던의 시계 장인에 의하여 개량되면서부터는 수세식 화장실이 보급
▷우리나라의 어원
▷우리나라 화장실의 변천
50년대 뒷간 : 남여공용으로 집과 멀리 떨어진 곳에 주로 가건축 시설물며, 수거요령은 지게로 퍼 운반하여 농사에 거름으로 사용했다. 화장지는 시멘트 포장지, 신문지, 짚, 풀잎 등 이고, 공중화장실은 없다.
▷어원
- 18~19세기 경 영국에서는 가루를 가발에 뿌리는 것이 유행이었는데 이때 상류층 가정의 침실에는 대개 `파우더 클라짓(powder closet)`이 마련됐다.
이곳은 가발에 가루를 뿌리기 위한 공간으로, 직역하면 `화장하는 방`인데 가루를 뿌린 뒤 손을 씻어야 하므로 물을 비치 하게 됐고, 이후 `화장실`이 변소를 의미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시대별 역사
▷고대
- BC 2400∼BC 2100년의 유적으로 보여지는 고대 바빌로니아의 주거지(住居址)에서 이미 햇볕에 말린 벽돌을 쌓고 역청(瀝靑)으로 마무리한 걸터앉는 방식의 수세식 화장실이 확인.
- 고대 이집트의 각 도시에서는 실내화장실이 채용.
- 크레타섬에서는 크노소스 궁전의 수세식 화장실이 발굴.
- 그리스에서는 배수시설이 불완전하여 오물을 도로에 버려 뒷골목이 불결하였던 것 같다.
▷로마시대
- 로마 시대에는 상 ·하수도가 발달하여 폼페이나 팀가드의 유적에 볼 수 있는 것 같이 납관[鉛管]에 의한 각호급수(各戶給水)와 사용 후의 물을 이용하여 화장실을 수세식으로 하였으며, 암거(暗渠)에 의한 하수도를 이용하여 강이나 바다에 방류하는 방식도 도시의 일부에서는 채용했다.
▷중세
- 중세가되자 로마식 화장실은 없어지고 다시 원시적인 농경생활식 화장실로 되돌아갔고 오물은 정원 구석이나 도로에 버렸다.
- 수세(水勢)에 의하여 오물을 흘리는 방식으로 된화장실은 겨우 1596년에 영국의 하링튼경(卿)에 의해 발명되었다.
이것은 구조상 냄새가 역류(逆流)하는 등 문제가 있었으며, 1775년에 런던의 시계 장인에 의하여 개량되면서부터는 수세식 화장실이 보급
▷우리나라의 어원
▷우리나라 화장실의 변천
50년대 뒷간 : 남여공용으로 집과 멀리 떨어진 곳에 주로 가건축 시설물며, 수거요령은 지게로 퍼 운반하여 농사에 거름으로 사용했다. 화장지는 시멘트 포장지, 신문지, 짚, 풀잎 등 이고, 공중화장실은 없다.
추천자료
교육공학의 개념과 발달사
생명공학발달로 인한 인권 및 윤리적 문제점과 해결방안
인간복제의 개념, 한국 생명복제기술, 인간복제의 문제점, 인간복제의 피해, 복제인간, 인간...
인간복제(배아복제, 줄기세포)의 개념, 인간복제(배아복제, 줄기세포)의 목적, 인간복제(배아...
[인간복제]인간복제의 가능성과 이점, 인간복제의 문제점에 따른 인간복제의 긍정론 및 신중...
[인간복제]인간복제란?, 인간복제기술의 발달과 역사, 최신 인간복제 기술과 주요 쟁점의 동...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중요성과 배경,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교육과 관...
[생명][생명의 의미][생명의 본질][생명의 기원][생명의 인식][생명특허][생명공학][성경적 ...
[인간복제]인간복제의 의미, 인간복제의 위험성, 인간복제의 피해, 인간복제와 무아윤회, 인...
유전공학의 종류와 장단점
외식업체주방의 인체공학공간설계와 개발절차.ppt
유전공학발전에 따른 도덕적문제
지적재산권법_ (1) 의약분야나 생명공학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결과물도 특허권을 획득하려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