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내 권력 서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내 권력 서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권력엘리트의 충원방식과 인적 구성

2. 북한 주석단의 서열 변화 양상과 특징

본문내용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다음에 조명록이 자리 잡았고 홍성남 내각총리, 김영주·박성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명예부위원장 다음으로 김영춘, 김일철, 이을설이 뒤를 이어 10위권 안에 들어있다. 또한 군부 지도층 상당수가 30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 북한 군부가 권력핵심에 확고히 자리 잡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노동당 정치국 위원과 후보위원간의 순위가 모호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정치국 후보위원이 정치국 위원에 앞서 호명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최고인민회의 제10기 3차 회의의 경우, 노동당 정치국 위원인 계응태(노동당 중앙위 비서)·한성룡(노동당 중앙위 비서)이 15위와 16위로 크게 뒤쳐진데 비해 정치국 후보위원인 연형묵과 양형섭(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은 상대적으로 12위, 14위로 앞서 있다. 이는 노동당의 핵심기구인 정치국이 과거와 같이 권력서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노동당이 원활하게 작동하고 있지 않은데 따른 결과로 볼 수도 있다.
《참고》
통일부 인터넷 홈페이지 :
http://www.unikorea.go.kr
통일부 발간 2002 북한의이해
: 김정일 지도체제와 권력구조 / 김용재

키워드

북한,   서열,   권력,   주석단,   김정일
  • 가격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0.2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