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새만금 사업의 탄생 배경
II. 우리가 `새만금 사업`을 반대하는 이유
III. 맺음말
II. 우리가 `새만금 사업`을 반대하는 이유
III. 맺음말
본문내용
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방조제가 완공되면 해류의 유속이 느려져 남해에서 번창하는 유독성 적조가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러나 갯벌을 살릴 경우 물리적인 흡착과 미생물 분해만으로도 간척사업으로 사라질 2만㏊의 갯벌이 제거할 수 있는 유기물량이 전주와 익산 하수처리장을 합친 것보다 많은 하루 25.4t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이렇듯 간척사업으로 생기는 새만금호의 수질을 장담할 수 없는데도 사업을 강행하려는 의도는 무엇인가.
II-5. 철새 도래지가 사라진다.
새만금 갯벌은 북쪽으로 금강하구의 영향을 받고 있고, 국내 유일의 강다운 강인 동진강과 만경강이 유입되고 있어 하구갯벌이 건강하게 발달되어 있다. 바로 이곳 새만금 지역이 우리나라 최대의 철새도래지임이 공식 확인되었다. 환경부가 2000년 2월 12~13일 전문가 105명이 전국 100개 주요 철새도래지에서 동시 조사한 결과, 186종 118만 4000마리가 관찰돼 지난해의 106만 8000마리보다 13종 11만 6000마리가 늘었다고 4월 3일 밝힌 바 있다. 특히 도요새의 경우 새만금 갯벌이 사라지면 멸종될 수도 있다고 한다.
II-6. 엄청난 환경파괴를 불러온다.
방조제 축조 60% 공정을 마친 현재 이 방조제를 막느라 국립공원 안의 산 하나가 통째로 사라졌다. 방조제 외에 138km의 방수제를 막아야 하는데 그 토석들은 다 어디서 가져오는 것인가. 많은 문화유적과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변산반도의 산이 수십 개가 들어가고도 모자랄 판이다. 이런 무모한 사업은 지금이라도 당장 그만 두어야 한다.
II-7. 국민의 혈세를 허비하고 있다.
방조제 60%를 완성한 지금까지 들어간 돈만도 1조 250억원이며, 방조제를 완공하고 내부개발과 새만금호 유입수의 수질오염방지와 관리를 위해 앞으로 몇 십조원이 더 들어가야 할지 예측하기조차 어렵다고 한다. 나라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언제 끝날 지도 모르는 이 사업에 밑빠진 독에 물을 붓듯이 국민의 혈세를 퍼부어야 한단 말인가. 식량안보 차원에서 논을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지만 새만금 간척지의 쌀 생산량은 우리나라 전체 생산량의 0.7%밖에 되지 않는다. 식량 안보 차원에서 의미가 없는 수치이다. 더구나 쌀은 남아돌고
있다.
III. 맺음말
본 보고서를 쓰면서, 그동안 잊고 살아왔던 환경과 생태계에 조금이나마 관심을 가지고, 현재의 문제들을 생각해보게 되었음을 기쁘게 생각한다. 지금은 여러 환경단체와 시민단체에서 우리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활동하는 시대이다. 본 연구 주제인 '새만금 간척 사업'역시 '새만금 사업을 반대하는 부안 사람들', '전북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등의 많은 단체들이 발 벗고 새만금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새만금 간척지 뿐만 아니라, 현재 인간의 기계문명이 침투하여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자연을 훼손하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현장이 어디 한, 두 곳이겠는가. 앞으로도 환경문제와 생태윤리에 대한 관심을 놓치지 않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절실히 들었다.
II-5. 철새 도래지가 사라진다.
새만금 갯벌은 북쪽으로 금강하구의 영향을 받고 있고, 국내 유일의 강다운 강인 동진강과 만경강이 유입되고 있어 하구갯벌이 건강하게 발달되어 있다. 바로 이곳 새만금 지역이 우리나라 최대의 철새도래지임이 공식 확인되었다. 환경부가 2000년 2월 12~13일 전문가 105명이 전국 100개 주요 철새도래지에서 동시 조사한 결과, 186종 118만 4000마리가 관찰돼 지난해의 106만 8000마리보다 13종 11만 6000마리가 늘었다고 4월 3일 밝힌 바 있다. 특히 도요새의 경우 새만금 갯벌이 사라지면 멸종될 수도 있다고 한다.
II-6. 엄청난 환경파괴를 불러온다.
방조제 축조 60% 공정을 마친 현재 이 방조제를 막느라 국립공원 안의 산 하나가 통째로 사라졌다. 방조제 외에 138km의 방수제를 막아야 하는데 그 토석들은 다 어디서 가져오는 것인가. 많은 문화유적과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변산반도의 산이 수십 개가 들어가고도 모자랄 판이다. 이런 무모한 사업은 지금이라도 당장 그만 두어야 한다.
II-7. 국민의 혈세를 허비하고 있다.
방조제 60%를 완성한 지금까지 들어간 돈만도 1조 250억원이며, 방조제를 완공하고 내부개발과 새만금호 유입수의 수질오염방지와 관리를 위해 앞으로 몇 십조원이 더 들어가야 할지 예측하기조차 어렵다고 한다. 나라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언제 끝날 지도 모르는 이 사업에 밑빠진 독에 물을 붓듯이 국민의 혈세를 퍼부어야 한단 말인가. 식량안보 차원에서 논을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지만 새만금 간척지의 쌀 생산량은 우리나라 전체 생산량의 0.7%밖에 되지 않는다. 식량 안보 차원에서 의미가 없는 수치이다. 더구나 쌀은 남아돌고
있다.
III. 맺음말
본 보고서를 쓰면서, 그동안 잊고 살아왔던 환경과 생태계에 조금이나마 관심을 가지고, 현재의 문제들을 생각해보게 되었음을 기쁘게 생각한다. 지금은 여러 환경단체와 시민단체에서 우리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활동하는 시대이다. 본 연구 주제인 '새만금 간척 사업'역시 '새만금 사업을 반대하는 부안 사람들', '전북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등의 많은 단체들이 발 벗고 새만금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새만금 간척지 뿐만 아니라, 현재 인간의 기계문명이 침투하여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자연을 훼손하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현장이 어디 한, 두 곳이겠는가. 앞으로도 환경문제와 생태윤리에 대한 관심을 놓치지 않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절실히 들었다.
추천자료
노동문제와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경제윤리적 접근
환경경영 및 윤리경영 사례분석 및 제무 분석
기업의 윤리경영 및 환경경영 사례분석 & 재무분석
★☆인간과 윤리 - 환경개발과 보존☆★
환경 문제에 대한 윤리적 접근 (피터싱어 '실천윤리학'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환경][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체계][복지][복지사]사회...
대구은행의 윤리강령 및 지속가능경영, 환경경영 소개 및 문제점과 한계
기업윤리의 국내적 환경변화
포스코(POSCO) 기업윤리,기업환경,기업철학,기업분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
CSR_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CSR,CSR,윤리경영,환경경영,사회공헌,기업CSR...
[비즈니스와 저널리즘] 스타벅스(Starbucks)의 CSR, 그리고 불편한 진실 (CSR (Corporate Soc...
[국제경영윤리 (國際經營倫理)] 국제경영의 기본성격, 국제경쟁환경의 변화 - 국제화의 필요...
[윤리경영] 윤리경영의 도입 필요성을 기업의 인식변화, 대외환경변화, 대내환경변화로 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