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미지 분석
1)시각적 이미지
2)청각적 이미지
3)공감각적 이미지
Ⅲ. 결론
Ⅱ. 본론
1. 이미지 분석
1)시각적 이미지
2)청각적 이미지
3)공감각적 이미지
Ⅲ. 결론
본문내용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양 언날개를 파닥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 나가고 밀려와 부딪치고
물먹은 별이 반짝 寶石처럼 박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운 肺혈관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산ㅅ새처럼 날아갔구나
- 『유리창1』전문 -
"유리창에 차고"라는 촉각적 심상과 "슬픈 것"이라는 감상과 "어른거린다"는 시각적 심상이 화합하여 공감각적 심상이 잘 구사되어 있다. "물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라는 多感覺的인 이미지의 시어가 사용되어 시의 영역을 확대, 심화시키고 있다. 이 점에서 정지용 시의 詩方法上 탁월성이 인정될 수 있다 하겠다.
내적 경험을 직접 토대로 하지 않고 " 아아, 늬는 산ㅅ새처럼 날아갔구나"라고 감정이 절제되어 나타나 있다. 『유리창1』과 같이 적절한 감정의 억제, 시각적인 처리는 그 만큼 이미지가 선명한 회화적인 이미지즘을 연상하게 한다.
) 김정숙, "정지용 시 연구"(세종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 pp.33∼34.
Ⅲ. 결론
이미지는 시인이 전달하고자하는 관념이나 정서를 구체적인 언어인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함으로써, 산문적인 언어나 관념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관념과 정서의 예민한 융합을 꾀하는데 정지용은 언어 예술로써 시에 대한 자각을 보여주었고, 정서를 효과적으로 절제하는 방법을 그의 시 속에서 보여주고 있다. 정지용의 이미지는 감상적 관념을 극복하고,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언어의 사용에 의해서 정서를 객관화 시켜 놓고 있으며 또한 현대적 감성으로 대상을 감각화하여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길들은양 언날개를 파닥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 나가고 밀려와 부딪치고
물먹은 별이 반짝 寶石처럼 박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운 肺혈관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산ㅅ새처럼 날아갔구나
- 『유리창1』전문 -
"유리창에 차고"라는 촉각적 심상과 "슬픈 것"이라는 감상과 "어른거린다"는 시각적 심상이 화합하여 공감각적 심상이 잘 구사되어 있다. "물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라는 多感覺的인 이미지의 시어가 사용되어 시의 영역을 확대, 심화시키고 있다. 이 점에서 정지용 시의 詩方法上 탁월성이 인정될 수 있다 하겠다.
내적 경험을 직접 토대로 하지 않고 " 아아, 늬는 산ㅅ새처럼 날아갔구나"라고 감정이 절제되어 나타나 있다. 『유리창1』과 같이 적절한 감정의 억제, 시각적인 처리는 그 만큼 이미지가 선명한 회화적인 이미지즘을 연상하게 한다.
) 김정숙, "정지용 시 연구"(세종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 pp.33∼34.
Ⅲ. 결론
이미지는 시인이 전달하고자하는 관념이나 정서를 구체적인 언어인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함으로써, 산문적인 언어나 관념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관념과 정서의 예민한 융합을 꾀하는데 정지용은 언어 예술로써 시에 대한 자각을 보여주었고, 정서를 효과적으로 절제하는 방법을 그의 시 속에서 보여주고 있다. 정지용의 이미지는 감상적 관념을 극복하고,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언어의 사용에 의해서 정서를 객관화 시켜 놓고 있으며 또한 현대적 감성으로 대상을 감각화하여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