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지은이
2.줄거리
3.등장인물
4.배경
5.문학사적 의의
2.줄거리
3.등장인물
4.배경
5.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촌.
김두수 : 김평산의 아들. 동생 한복과는 달리 성품이 포악하다. 일제의 밀정.
금녀 : 김두수로 인해 자살한다.
윤이병 : 상의학교 교사. 김두수에게 이용당하고 살해당한다.
송애 : 공노인의 양딸. 김두수에게 농락당한다.
명희 : 임명빈의 딸.
양소림 : 환국을 사모한다.
허정윤 : 의전학생. 숙희를 버리고 양소림과 결혼한다.
지삼만 : 동학당. 청일교의 교주. 환이와 대립한다.
정석 : 정한조의 아들. 기화를 사모한다.
장이 : 홍이에게 겁탈당한다.
송장환 : 상의학교 선생.
한복 : 김평산의 둘째 아들. 성실한 삶을 살아간다.
윤도집, 양재곤, 송관수, 판술 : 동학당.
서의돈, 임명빈, 황태수, 유인성 : 당시의 지식인들.
이동진 : 최치수의 친구. 독립운동에 참여한다.
혜관 스님 : 우관 스님의 제자. 동학당에 참여한다.
배경
1부 : 구한말 최참판 댁을 중심으로 한 하동 평사리.
2부 : 한일합방 이후 3.1운동 이전의 용정촌(龍井村)을 중심으로 한 간도.
3부 : 3.1운동 이후 광주 학생운동까지. 일본의 문화정책이 실시된 서울, 진주, 하동.
문학사적 의의
이 작품은 아직 완결을 보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그 무대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만주에까지 걸쳐 있고 시대 배경 역시 한말을 거쳐서, 일제초기와 20년대 30년대 등을 두루 꿰뚫어 내리는 방대한 시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등장인물 또한 여러 대에 걸친 것 이며 그들 사이에는 강한 인과관계가 계재한다. 이 소설은 한 가족과 그 마을에 얽힌 이야기 줄거리를 통해 한국의 근대사와 현 대사의 큰 줄거리를 짚어 가장 주목되는 대작 거편의 하나다.
김두수 : 김평산의 아들. 동생 한복과는 달리 성품이 포악하다. 일제의 밀정.
금녀 : 김두수로 인해 자살한다.
윤이병 : 상의학교 교사. 김두수에게 이용당하고 살해당한다.
송애 : 공노인의 양딸. 김두수에게 농락당한다.
명희 : 임명빈의 딸.
양소림 : 환국을 사모한다.
허정윤 : 의전학생. 숙희를 버리고 양소림과 결혼한다.
지삼만 : 동학당. 청일교의 교주. 환이와 대립한다.
정석 : 정한조의 아들. 기화를 사모한다.
장이 : 홍이에게 겁탈당한다.
송장환 : 상의학교 선생.
한복 : 김평산의 둘째 아들. 성실한 삶을 살아간다.
윤도집, 양재곤, 송관수, 판술 : 동학당.
서의돈, 임명빈, 황태수, 유인성 : 당시의 지식인들.
이동진 : 최치수의 친구. 독립운동에 참여한다.
혜관 스님 : 우관 스님의 제자. 동학당에 참여한다.
배경
1부 : 구한말 최참판 댁을 중심으로 한 하동 평사리.
2부 : 한일합방 이후 3.1운동 이전의 용정촌(龍井村)을 중심으로 한 간도.
3부 : 3.1운동 이후 광주 학생운동까지. 일본의 문화정책이 실시된 서울, 진주, 하동.
문학사적 의의
이 작품은 아직 완결을 보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그 무대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만주에까지 걸쳐 있고 시대 배경 역시 한말을 거쳐서, 일제초기와 20년대 30년대 등을 두루 꿰뚫어 내리는 방대한 시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등장인물 또한 여러 대에 걸친 것 이며 그들 사이에는 강한 인과관계가 계재한다. 이 소설은 한 가족과 그 마을에 얽힌 이야기 줄거리를 통해 한국의 근대사와 현 대사의 큰 줄거리를 짚어 가장 주목되는 대작 거편의 하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