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자(孔丘)의 유심주의철학
2. [여명여인(與命與仁)]의 세계관
3. 공자 사상의 역사적 지위
2. [여명여인(與命與仁)]의 세계관
3. 공자 사상의 역사적 지위
본문내용
특징을 지니고 있던 춘
추시대의 말기에 생존하였었다.그래서 그가 창립하였던 유가학파
에는 당시 학술계의 문화적인 추세와 시대적인 모순의 특징이 반
영되어 있는데, 그 사상 내용이 지니고 있는 풍부성과 제시하고
있는 철학적 문제의 현실성 때문에 당시에도 [저명한 학파(顯學)]
로서의 지위를 점유하고 있었다.
중국의 고대사회는 거쳐 온 변혁의 특수한 경로 때문에,노예제
에서 봉건제로 넘어가는 과도기도 상당히 길었으며 모순도 매우
복잡했다.그런데 공자는 노예제를 수호하려는 보수적 입장에 서
있었으나,또한 현실사회 속의 변화들을 똑바로 보고 인정하지 않
을 수 없었다.바로 이 점이 그의 전체 사상체계의 모순성을 형성
하고 있다.공자의 세계관과 사상적 방법에서 볼 때,[천명을 존숭한
다(尊天命)]는 전통적 영향과 [중용에 말미암는다(道中庸)]는 정
치적 요구가 유심주의와 형이상학으로 하여금 그의 사상에서 주
도적인 측면을 차지하도록 하고 있다.그러나 풍부한 문헌지식과
장기간에 걸쳐 교학에 종사해 온 실천적 경험에 말미암아,그는 어
느정도 유물주의의 인식 노선과 부합하는 명제를 총결해낼 수
있었으며,아울러 변증적 사유방법과도 얼마간 부합하는 교학원칙
을 제시할 수 있었다.그래서 중국 고대의 철학적 인식발전사에서
일정한 공헌을 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그가 [옛 것을 좋아하고 민
첩하게 구하려 했던(好古敏求)] 학문적 태도와 [하나로써 꿰뚫고
있는(一以貫之)] 사상적 체계는, 동시대의 수많은 사상가들을 뛰
어 넘어 선진(先秦)철학의 발전 가운데에서 중요한 하나의 연결고
리를 이루고 있다.그리고 맨 먼저 이성적 자각을 강조했던 철학의
대표자가 되고 있다.이러한 점들이 공자사상의 역사적 지위에 대
하여 우리가 내리는 총괄적 평가이다.
공자의 철학은 모순으로 가득 찬 것이었다.그러나 그가 이성적
사유와 사람의 주관적 능동성을 발휘할 것을 중시하였던 측면에
서는 앞뒤 일관적이었다.물론 공자는 당시에 노예제사회가 겪고
있던 정치적 위기를 구해 보려는 데에서 출발하여 [주례(周禮)]를
회복할 것을 주장하였다.그러나 [주례]는 당시에 이미 사회의 규
범으로서의 역할을 잃고 있었으니,이에 그는 [인]이라는 하나의
범주를 중심으로 한 실천 이성의 학설을 제시하였다.그리고는 [추
기급인(推己及人)]하도록 하기 위하여 뭇 군자들로 하여금 실천하
는 가운데에서 [인]에 대한 자각을 갖추도록 함으로써,그는 이성
적 자각과 주관적 능동성의 역할을 비상히 강조하였다.나아가
[인]을 행하는 것을 [지]를 구하는 것과 연계시킴으로써 인식론
방면에서도 이성주의로 발전해 가도록 하였다.그러므로 총체적으
로 볼 때,공자가 비록 정치적으로는 수구적 유심주의로 기운 사람
이기는 하였지만,그의 [인학사상]은 철학사에서 오히려 이론적 공
헌을 한 참신성을 갖추고 있었으며,아울러 종법관계에 뿌리를 박
은 윤리·도덕적 내용으로써 후세에 심원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집양용중(執兩用中)]의 모순관은,모순을 인정하는 것
으로부터 출발하되 [조화를 귀하게 여김(和爲貴)]으로써 모순으로
하여금 조화(調和)하도록 하는,하나의 형이상학적 특수한 형태이
다.그래서 선진(先秦) 변증법사상의 발전 가운데에서 하나의 중요
한 논리적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그리고 이른바 [중용의 도]도 다
방면에 걸쳐 후세에 영향을 주고 있다.공자의 교육사상에 이르러
서 보면,그의 이성주의적 인식론이나 [집양용중(執兩用中)]의 모
순관과 모두 다 이론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교학의 필요에 따라
대량의 고대 전적(典籍)들을 정리하고 전파했기 때문에,그로 하여
금 상당히 해박한 역사·문헌지식을 갖출 수 있게 하였으며 하나
의 효과적인 교학방법을 형성하도록 하였다.그리고 실제적으로도
[학(學)]과 [사(思)]를 겸비한 수많은 제자와 제자의 제자들(再傳
弟子)을 배양하였으니,이 점은 그 당시나 그 이후로도 중국민족의
문화적 발전에 대하여 거대한 역사적 영향력을 산출해 내고 있다.
그래서 유가학파를 공자가 창설했다는 것에 말미암아 고대의 문
화적인 전적(典籍)들이 [유경(儒經)]으로 바뀌었으며,[유생(儒生)]
들은 대대로 문화적인 전적들을 전파하는 지식인으로 대신 불리
우게 되었다.또 공자의 문화·교육사상은 봉건적 통치계급들이 인
재를 배양해 내는 데에서 최고의 준칙이 되었다.따라서 공자의 지
위는 후대에 올수록 점점 더 드높이 받들어져 [만세의 사표]가
된 것이다.바로 이것은 중국의 역사상에서 어떠한 사상가들도 일
찌기 누려보지 못한 특수한 지위이다.
공자 자신의 철학사상을 역사주의적으로 고찰해 본다면,이것은
선진의 철학적 인식이 형성하고 있는 모순운동 가운데에서 반드
시 거치게 마련인 하나의 과도적 연결고리에 지나지 않는다.그리
고 묵자(墨子)의 비판과,{노자(老子)}라는 책에서 공·묵사상(孔墨
思想) 및 춘추 이전의 각 가(家) 사상에 대하여 내리고 있는 종합
·지양·총결을 거쳐,그것의 역사적 지위는 이미 논리적으로 확
정되기도 하였다.그러므로 공자가 그 실마리를 풀었던 유가의 철
학사상이 이후의 오랜 세월에 걸친 봉건사회 속에서 했던 역할에
대해서는,오직 그것이 지니고 있는 이론내용의 역사적 변화·발전
에 근거해서만 구체적으로 역사적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누구
라도 인정할 수 있다시피,춘추시대의 공자와,그 이후의 다른 역사
적 시기에 또다른 사상가들에 의하여 계승·비판·이용되었거나
혹은 개조된 모습으로서의 공자와의 사이에는,이미 연계가 되면서
도 또한 구별되는 면이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여기에서 이러한 역
사적 연계성을 소홀히 한다면,중국의 봉건적 의식형태에 준 역사
적 영향에 대한 공자사상 자체의 공헌과 국한성을 간파하지 못할
것이다.그리고 이것은 역사주의의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기도 하
다.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시대적인 구별을 말살하고는,즉
공자의 사상 자체와 그것이 역사에 준 영향을 뒤섞어 하나로 거
론한 뒤 그에 따라 공자의 사상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지위
를 의식적으로 치켜 세우거나 폄하하려 한다면,그것 또한 역사적
유물주의의 방법론원칙을 위반하는 것이 될 것이다.
추시대의 말기에 생존하였었다.그래서 그가 창립하였던 유가학파
에는 당시 학술계의 문화적인 추세와 시대적인 모순의 특징이 반
영되어 있는데, 그 사상 내용이 지니고 있는 풍부성과 제시하고
있는 철학적 문제의 현실성 때문에 당시에도 [저명한 학파(顯學)]
로서의 지위를 점유하고 있었다.
중국의 고대사회는 거쳐 온 변혁의 특수한 경로 때문에,노예제
에서 봉건제로 넘어가는 과도기도 상당히 길었으며 모순도 매우
복잡했다.그런데 공자는 노예제를 수호하려는 보수적 입장에 서
있었으나,또한 현실사회 속의 변화들을 똑바로 보고 인정하지 않
을 수 없었다.바로 이 점이 그의 전체 사상체계의 모순성을 형성
하고 있다.공자의 세계관과 사상적 방법에서 볼 때,[천명을 존숭한
다(尊天命)]는 전통적 영향과 [중용에 말미암는다(道中庸)]는 정
치적 요구가 유심주의와 형이상학으로 하여금 그의 사상에서 주
도적인 측면을 차지하도록 하고 있다.그러나 풍부한 문헌지식과
장기간에 걸쳐 교학에 종사해 온 실천적 경험에 말미암아,그는 어
느정도 유물주의의 인식 노선과 부합하는 명제를 총결해낼 수
있었으며,아울러 변증적 사유방법과도 얼마간 부합하는 교학원칙
을 제시할 수 있었다.그래서 중국 고대의 철학적 인식발전사에서
일정한 공헌을 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그가 [옛 것을 좋아하고 민
첩하게 구하려 했던(好古敏求)] 학문적 태도와 [하나로써 꿰뚫고
있는(一以貫之)] 사상적 체계는, 동시대의 수많은 사상가들을 뛰
어 넘어 선진(先秦)철학의 발전 가운데에서 중요한 하나의 연결고
리를 이루고 있다.그리고 맨 먼저 이성적 자각을 강조했던 철학의
대표자가 되고 있다.이러한 점들이 공자사상의 역사적 지위에 대
하여 우리가 내리는 총괄적 평가이다.
공자의 철학은 모순으로 가득 찬 것이었다.그러나 그가 이성적
사유와 사람의 주관적 능동성을 발휘할 것을 중시하였던 측면에
서는 앞뒤 일관적이었다.물론 공자는 당시에 노예제사회가 겪고
있던 정치적 위기를 구해 보려는 데에서 출발하여 [주례(周禮)]를
회복할 것을 주장하였다.그러나 [주례]는 당시에 이미 사회의 규
범으로서의 역할을 잃고 있었으니,이에 그는 [인]이라는 하나의
범주를 중심으로 한 실천 이성의 학설을 제시하였다.그리고는 [추
기급인(推己及人)]하도록 하기 위하여 뭇 군자들로 하여금 실천하
는 가운데에서 [인]에 대한 자각을 갖추도록 함으로써,그는 이성
적 자각과 주관적 능동성의 역할을 비상히 강조하였다.나아가
[인]을 행하는 것을 [지]를 구하는 것과 연계시킴으로써 인식론
방면에서도 이성주의로 발전해 가도록 하였다.그러므로 총체적으
로 볼 때,공자가 비록 정치적으로는 수구적 유심주의로 기운 사람
이기는 하였지만,그의 [인학사상]은 철학사에서 오히려 이론적 공
헌을 한 참신성을 갖추고 있었으며,아울러 종법관계에 뿌리를 박
은 윤리·도덕적 내용으로써 후세에 심원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집양용중(執兩用中)]의 모순관은,모순을 인정하는 것
으로부터 출발하되 [조화를 귀하게 여김(和爲貴)]으로써 모순으로
하여금 조화(調和)하도록 하는,하나의 형이상학적 특수한 형태이
다.그래서 선진(先秦) 변증법사상의 발전 가운데에서 하나의 중요
한 논리적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그리고 이른바 [중용의 도]도 다
방면에 걸쳐 후세에 영향을 주고 있다.공자의 교육사상에 이르러
서 보면,그의 이성주의적 인식론이나 [집양용중(執兩用中)]의 모
순관과 모두 다 이론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교학의 필요에 따라
대량의 고대 전적(典籍)들을 정리하고 전파했기 때문에,그로 하여
금 상당히 해박한 역사·문헌지식을 갖출 수 있게 하였으며 하나
의 효과적인 교학방법을 형성하도록 하였다.그리고 실제적으로도
[학(學)]과 [사(思)]를 겸비한 수많은 제자와 제자의 제자들(再傳
弟子)을 배양하였으니,이 점은 그 당시나 그 이후로도 중국민족의
문화적 발전에 대하여 거대한 역사적 영향력을 산출해 내고 있다.
그래서 유가학파를 공자가 창설했다는 것에 말미암아 고대의 문
화적인 전적(典籍)들이 [유경(儒經)]으로 바뀌었으며,[유생(儒生)]
들은 대대로 문화적인 전적들을 전파하는 지식인으로 대신 불리
우게 되었다.또 공자의 문화·교육사상은 봉건적 통치계급들이 인
재를 배양해 내는 데에서 최고의 준칙이 되었다.따라서 공자의 지
위는 후대에 올수록 점점 더 드높이 받들어져 [만세의 사표]가
된 것이다.바로 이것은 중국의 역사상에서 어떠한 사상가들도 일
찌기 누려보지 못한 특수한 지위이다.
공자 자신의 철학사상을 역사주의적으로 고찰해 본다면,이것은
선진의 철학적 인식이 형성하고 있는 모순운동 가운데에서 반드
시 거치게 마련인 하나의 과도적 연결고리에 지나지 않는다.그리
고 묵자(墨子)의 비판과,{노자(老子)}라는 책에서 공·묵사상(孔墨
思想) 및 춘추 이전의 각 가(家) 사상에 대하여 내리고 있는 종합
·지양·총결을 거쳐,그것의 역사적 지위는 이미 논리적으로 확
정되기도 하였다.그러므로 공자가 그 실마리를 풀었던 유가의 철
학사상이 이후의 오랜 세월에 걸친 봉건사회 속에서 했던 역할에
대해서는,오직 그것이 지니고 있는 이론내용의 역사적 변화·발전
에 근거해서만 구체적으로 역사적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누구
라도 인정할 수 있다시피,춘추시대의 공자와,그 이후의 다른 역사
적 시기에 또다른 사상가들에 의하여 계승·비판·이용되었거나
혹은 개조된 모습으로서의 공자와의 사이에는,이미 연계가 되면서
도 또한 구별되는 면이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여기에서 이러한 역
사적 연계성을 소홀히 한다면,중국의 봉건적 의식형태에 준 역사
적 영향에 대한 공자사상 자체의 공헌과 국한성을 간파하지 못할
것이다.그리고 이것은 역사주의의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기도 하
다.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시대적인 구별을 말살하고는,즉
공자의 사상 자체와 그것이 역사에 준 영향을 뒤섞어 하나로 거
론한 뒤 그에 따라 공자의 사상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지위
를 의식적으로 치켜 세우거나 폄하하려 한다면,그것 또한 역사적
유물주의의 방법론원칙을 위반하는 것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