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기원설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1 발음기관상형 기원설

1.2 고전기원설

1.3 범자 기원설

1.4 몽고자 기원설

1.5 범자와 몽고자 기원설

1.6 고대문자 기원설

1.7 태극사상 기원설

1.8 창문 상형 기원설

1.9 기일성문도 기원설

2. 태극사상 기원설
2.1 모든 기원설 비평
2.2 태극사상 기원설

본문내용

이 그 소리의 다름에 따라 한 획 또는 한 점씩을 더한 뜻이 다 같다 하고 반혓소리 <ㄹ>과 반닛소리 <딪>만은 역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떴으나, 그 형체를 다르게 하였을 뿐 획을 더한 뜻은 없다는 것이며, 다시 물이라는 만물을 희생시키는 근원이 되는 고로 오행 가운데에 가장 큼을 말하고 목구멍이라는 소리나는 당문이 되므로 오음 가운데에 목구멍이 주장임을 표명된 바 있다.
가운소리의 기본 글자에 대한 하늘, 땅, 사람 즉 사람의 머리, 발, 몸길을 본뜬 <ㆍ, ㅡ,ㅣ>석자가 으뜸이 되어 다음 여덟소리를 만들었다.
<ㅗ>는 <ㆍ>와 같되 그 꼴인즉 <ㆍ>와 <ㅡ>가 합하여 이룬 것인 바 하늘과 따이 처음으로 사귀는 뜻을 취한 것이다.
<ㅏ>는 <ㆍ>와 같으니 <ㅣ>와 <ㆍ>가 합하여 이루어지고 하늘과 땅의 일함이 사물에 나타나 사람을 기다리어서 이루는 뜻을 취한 것이며
<ㅜ>는 <ㅡ>와 같되 <ㅡ>와 <ㆍ>가 합하여 이룬 것으로서 또한 하늘과 따이 처음 사귀는 뜻을 취한 것이고
<ㅓ>는 <ㅡ>와 같고 사람을 기다리어서 이루는 뜻을 취한 것은 <ㅏ>와 같음을 말하였으며 <ㅛ,ㅑ,ㅠ, ㅕ>의 둥글이 둘인 것은 두 번째 남(再出)의 뜻을 취한 것이요, <ㅗ,ㅏ,ㅛ,ㅑ>의 둥글이 위와 바깥쪽에 놓인 것은 그것이 하늘에서 나와서 양이 되는 까닭이요, <ㅜ,ㅓ,ㅠ,ㅕ>의 둥글이 아래와 안쪽에 놓인 것은 그것이 땅에서 생기어 음이 되는 까닭이며, <ㆍ,ㅡ,ㅣ>의 석자가 여덟소리의 첫머리인 동시에 <ㆍ>가 다시 석자 중 가장 꼭대기가 된다고 하였다.
이렇게도 중성과 초성이 오직 삼재오행에 근본되어 있되 삼재의 하늘에는 사람의 머리를 배속시키고, 땅에 발을, 사람에 몸길을, 또 오행의 水에는 목구멍을, 火에 혀를, 木에 엄니를, 金에 이를, 土에 입술을 각각 갈라 붙이어 그 취상 연유이며 소리의 이치 등 해설이 뚜렷하므로 그 밑뿌리가 음양 오행의 모체인 태극이라 할 수 있다.
내가 태극사상 기원설을 가장 타당성 있게 보는 이유는 태극이 우리 사상의 기본인 유교사상의 기본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우리의 글을 만들 당시 그 글속에는 우리 선조들이 가장 중시여기고 생활의 근본이 되는 사상이 포함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본 것처럼 태극에 맞추어 하나 하나의 음소가 과학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기원설들 보다는 더 구체적인 설명이 되어 있다는 점에서 태극사상 기원설을 가장 타당성 있게 보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24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