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박정희에 대해
1. 어린시절, 학창 시절, 교사 시절의 박정희
2. 5. 16 쿠테타
3. 박정희에 대한 야누스적 두 평가
제3공화국(第三共和國)
1. 개요
2. 내용
3. 주요시책
4. 주요사건
1)정치적 사건
2) 사회적 사건
1. 어린시절, 학창 시절, 교사 시절의 박정희
2. 5. 16 쿠테타
3. 박정희에 대한 야누스적 두 평가
제3공화국(第三共和國)
1. 개요
2. 내용
3. 주요시책
4. 주요사건
1)정치적 사건
2) 사회적 사건
본문내용
·회전당구사건)의 수사경위를 발표, 유원식(柳原植) 등 15명의 관련자를 구속 ·송치하였다. 그러나 모두 무죄로 풀려나 의혹을 남겼다.
② 이수근(李穗根) 위장귀순:1967년 3월 22일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를 취재하던 북한의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이 귀순하였다. 그러나 그는 1969년 1월 27일 서울을 탈출, 캄푸치아(캄보디아)로 도피중에 사이공 공항에서 체포되어 위장간첩임이 드러났다.
③ 동베를린공작단사건:동베를린을 거점으로 한 북한의 지하공작단이 공작망을 국내에까지 침투시켜서 이를 검거하였다고 1967년 7월 5일 중앙정보부가 발표하였다. 관련자가 무려 194명에 이르렀다.
④ 1 ·21사태:1968년 1월 21일 밤 북한의 124군부대원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하여 국군을 가장하고 서울에 잠입, 세검동과 청운동에서 군수색부대에게 발각되어 1명을 제외한 전원이 사살되었다.
⑤ 푸에블로호사건:1968년 1월 23일 미해군 정보함 푸에블로호(함장 L.부커 소령)가 북한 해안으로부터 4km 떨어진 공해상(公海上)에서 북한의 초계정에 납치되어 원산항으로 끌려갔다. 미국은 기동함대를 원산만에 출동시키는 한편, 판문점에서 북한과 비밀회담을 거듭한 끝에 승무원 83명 중 82명이 12월 23일 석방되었다.
⑥ 담시(譚詩) 《오적(五賊)》 필화사건:《시인(詩人)》지(誌)를 통해서 소개된 시인 김지하(金芝河)의 담시 《오적》이 잡지 《사상계(思想界)》(1970년 5월호)에 게재되고 이어 신민당 기관지 《민주전선》(6월 1일)에 전재되자 필자와 발행인 ·편집인 등이 반공법 위반혐의로 구속되었다
② 이수근(李穗根) 위장귀순:1967년 3월 22일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를 취재하던 북한의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이 귀순하였다. 그러나 그는 1969년 1월 27일 서울을 탈출, 캄푸치아(캄보디아)로 도피중에 사이공 공항에서 체포되어 위장간첩임이 드러났다.
③ 동베를린공작단사건:동베를린을 거점으로 한 북한의 지하공작단이 공작망을 국내에까지 침투시켜서 이를 검거하였다고 1967년 7월 5일 중앙정보부가 발표하였다. 관련자가 무려 194명에 이르렀다.
④ 1 ·21사태:1968년 1월 21일 밤 북한의 124군부대원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하여 국군을 가장하고 서울에 잠입, 세검동과 청운동에서 군수색부대에게 발각되어 1명을 제외한 전원이 사살되었다.
⑤ 푸에블로호사건:1968년 1월 23일 미해군 정보함 푸에블로호(함장 L.부커 소령)가 북한 해안으로부터 4km 떨어진 공해상(公海上)에서 북한의 초계정에 납치되어 원산항으로 끌려갔다. 미국은 기동함대를 원산만에 출동시키는 한편, 판문점에서 북한과 비밀회담을 거듭한 끝에 승무원 83명 중 82명이 12월 23일 석방되었다.
⑥ 담시(譚詩) 《오적(五賊)》 필화사건:《시인(詩人)》지(誌)를 통해서 소개된 시인 김지하(金芝河)의 담시 《오적》이 잡지 《사상계(思想界)》(1970년 5월호)에 게재되고 이어 신민당 기관지 《민주전선》(6월 1일)에 전재되자 필자와 발행인 ·편집인 등이 반공법 위반혐의로 구속되었다
추천자료
5.16군사 쿠데타와 박정희정권의 태동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10.5계획 요강
[등소평][천안문사태]등소평과 천안문사태 및 그의 사상 평가(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등소...
박정희는 광복군 비밀요원이었는가?
박정희 근현대사
제3차경제개발계획
한국 근현대사 역사, 근대의 시작, 3.1운동, 항일 투쟁, 일본 제국주의, 해방, 좌우 갈등, 한...
정치정부 테러리즘(군주제, 민주주의, 민족주의, 대처주의, 신노동당, 제3의 길 정치)
대학물리학 제3판 연습문제 답안 청문각
[한국청소년복지] 청소년활동의 배아기 - 국가 경제발전기 3, 4, 5공화국(1964~1987)
국제경쟁전략: IT기업의 제3세계 진출전략 (이니페이-아프리카)
[긴장(緊張완화시대] 제3세계와 긴장완화시대
한국(우리나라) 정책결정기구의 발전과정(역사) - 제1기(1948~1960) ~ 제2기(1960~196 1) ~ ...
대통령 선거의 정치적 배경,선거운동의 진행,선거의 결과분석,5.16 군사정,민정이양 과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