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산 - 김동인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았다는 것과 그 학대 속에서 조국의 독립을 절실하게 느끼면서 잘살든 못살든 제 나라가 있어야 하겠다는 강열한 민족 의식이 싹튼 것이다. 그리하여 ‘삵’이라는 결연하고 확고한 신념의 소유자가 국토를 잃어버린 일제 시대 우리 민족의 상징물로서 민족주의 사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작중 화자의 역활을 담당하고 있는 ‘여(余)’라는 인물이 송첨지의 죽음을 바라보고 그의 죽음을 자신과 결부하여 문제 의식으로 생각하지 않고 방관자적 자세로 일관한 것은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붉은 산'은 '감자'와는 달리 사실주의(寫實主義)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으며, 동시에 민족주의 사상을 그린 작품이다.
여기에는'붉은 산'외에 '태형' (1923), '젊은 그들'(1931), '운현궁의 봄'(1934) 등이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3.10.27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