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시작하며
본론
2. 김치의 역사 및 종류
2.1. 김치의 유래
2.2. 김치의 종류
2.2.1. 배추김치
2.2.2. 오이김치
2.2.3. 총각김치
3. 김치의 세계화 가능성
3.1. 김치 영양소의 효능
3.2. 김치 유산균의 효능
4. 김치의 세계화 현황
4.1. 김치의 세계적 위상
5. 김치의 세계화의 문제점
결론
6. 김치의 세계화
6.1. 수출 동향과 전망
6.2. 수출 확대 및 대안 제시
7. 참고문헌
1. 시작하며
본론
2. 김치의 역사 및 종류
2.1. 김치의 유래
2.2. 김치의 종류
2.2.1. 배추김치
2.2.2. 오이김치
2.2.3. 총각김치
3. 김치의 세계화 가능성
3.1. 김치 영양소의 효능
3.2. 김치 유산균의 효능
4. 김치의 세계화 현황
4.1. 김치의 세계적 위상
5. 김치의 세계화의 문제점
결론
6. 김치의 세계화
6.1. 수출 동향과 전망
6.2. 수출 확대 및 대안 제시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투자를 하고 있으며 특히, 치즈 공정에 사용되는 미생물의 유전체가 프랑스 연구자들에 의해 완성된 점에 우리는 주목하여야 한다.
이제 우리의 전통식품을 지킬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은 발효를 담당하는 우리 고유의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특허로 확보하여 우리 고유의 식품산업에 대한 외국기업과의 경쟁에서 절대 우위를 지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지구상에 존재하는 미생물중 1% 정도만 알려져 있을 뿐 나머지에 대한 정보는 전무한 실정이다. 김치 유산균을 비롯하여 알려지지 않은 엄청나게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들로부터 향균 펩타이드와 같은 유용산물들을 개발하고 인류가 지금까지 해 왔듯이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항생제의 독성 및 내성의 문제, 식중독, 천연 방부제의 개발, 감염성 질병의 자연적 치유방법 개발 등 인류의 보건환경 개선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즉 김치는 그 우수성이 점점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으므로 그에 따른 우리 문화와 음식의 우수함을 널리 알리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김치의 발효에 의한 유산균은 우리 인체에 매우 유익하면서도 질병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입증되어 가기 때문에 이를 더욱 개발하고 특화하여서 세계적 상품화할 충분한 필요성이 생겼다.
또 우리의 김치와 가장 맞서는 상대인 일본의 기무치(김치 시장에 80%를 차지)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김치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려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 김치를 더욱 고급화하고 규격화함은 물론 더욱 개발하고 연구하여 세계적인 상품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양인들에게 김치를 먹게 하기 위해서는 김치 고유의 젓갈냄새나 마늘냄새를 제거한다든지, 배추 절임 공정을 표준화하여 너무 짜지 않게 하고, 갖은 양념도 고춧가루를 덜 넣어 너무 맵지 않게 하며 특히, 김치 고유의 젖산 발효식품의 특성을 살린 가운데 김치를 이용한 김치버거, 김치 볶음밥, 김치전 같은 신제품을 개발 수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냄새없는 김치, 유산균 김치, 칼슘김치, DHA기 및 등 기능성 김치와 인삼김치, 김치 샐러드 등 다양한 신제품 개발로 수출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7. 참고문헌
조재선(2000), 김치의 연구, 유림문화사.
한국문화재보호재단(2001), 한국음식대관4, 한림출판사.
한응수(2001), 김치의 기술과 경영, 유림문화사.
김치박물관 http://www.kimchimuseum.co.kr
네이버 지식인 참고
이제 우리의 전통식품을 지킬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은 발효를 담당하는 우리 고유의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특허로 확보하여 우리 고유의 식품산업에 대한 외국기업과의 경쟁에서 절대 우위를 지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지구상에 존재하는 미생물중 1% 정도만 알려져 있을 뿐 나머지에 대한 정보는 전무한 실정이다. 김치 유산균을 비롯하여 알려지지 않은 엄청나게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들로부터 향균 펩타이드와 같은 유용산물들을 개발하고 인류가 지금까지 해 왔듯이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항생제의 독성 및 내성의 문제, 식중독, 천연 방부제의 개발, 감염성 질병의 자연적 치유방법 개발 등 인류의 보건환경 개선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즉 김치는 그 우수성이 점점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으므로 그에 따른 우리 문화와 음식의 우수함을 널리 알리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김치의 발효에 의한 유산균은 우리 인체에 매우 유익하면서도 질병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입증되어 가기 때문에 이를 더욱 개발하고 특화하여서 세계적 상품화할 충분한 필요성이 생겼다.
또 우리의 김치와 가장 맞서는 상대인 일본의 기무치(김치 시장에 80%를 차지)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김치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려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 김치를 더욱 고급화하고 규격화함은 물론 더욱 개발하고 연구하여 세계적인 상품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양인들에게 김치를 먹게 하기 위해서는 김치 고유의 젓갈냄새나 마늘냄새를 제거한다든지, 배추 절임 공정을 표준화하여 너무 짜지 않게 하고, 갖은 양념도 고춧가루를 덜 넣어 너무 맵지 않게 하며 특히, 김치 고유의 젖산 발효식품의 특성을 살린 가운데 김치를 이용한 김치버거, 김치 볶음밥, 김치전 같은 신제품을 개발 수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냄새없는 김치, 유산균 김치, 칼슘김치, DHA기 및 등 기능성 김치와 인삼김치, 김치 샐러드 등 다양한 신제품 개발로 수출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7. 참고문헌
조재선(2000), 김치의 연구, 유림문화사.
한국문화재보호재단(2001), 한국음식대관4, 한림출판사.
한응수(2001), 김치의 기술과 경영, 유림문화사.
김치박물관 http://www.kimchimuseum.co.kr
네이버 지식인 참고
키워드
추천자료
김치의 영양가
김치냉장고 마케팅 조사 : 위니아 딤채 를 중심으로
김치 축제 기획 프로젝트
종가집김치 광고기획서
김치, 김치박물관을 다녀와서, 그 세계화에 관하여
김치냉장고 -딤채 - 마케팅 성공사례분석
김치의 역사
[마케팅조사론]대한민국 대표김치 '종가집김치' 마케팅전략 분석
김치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
김치의 유통과정
김치냉장고 딤채 해외진출성공마케팅
[김치의 세계화 방안] 김치의 소개 및 효능과 세계화 전략 방안
[발효식품][발효][식품][요구르트][요거트][치즈][젓갈][간장][된장][청국장][김치]발효식품 ...
[김치프로젝트] 4주 김장 프로젝트, 김치 프로젝트.(가정통신문/주제선정이유/자원목록표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