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같다. 몇 년 전만 해도 상상에 불과했던 일들이 지금 우리 눈 앞에 그대로 펼쳐지고 있으니 말이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20년 전 아버지께서 가르치셨던 초등학교 제자를 찾았고, 친구에게 맡기는 자잘한 부탁도 E-Mail로 보내고, TV는 없지만 학교 과방에서 직접 LA 현지의 라디오 중계를 인터넷으로 들으며 박찬호를 응원할 수 있는 날이 오리라고 어찌 알 수 있었겠는가. 그렇다. 이제 바야흐로 정보사회가 도래하는 것이다. 언론매체를 통해 귀가 따갑게 이야기되고, 실제로 몸으로 느끼고 있는 그것. 과연 정보사회의 실체는 무엇이고, 학문적으로 어떻게 검토될 수 있는지, 그 궁금증을 안고, F.웹스터 교수의 '정보사회이론'을 펼치게 되었다.
그러나 책장을 넘기며 다가오는 것은 예상외의 충격이었다. '정보사회'라는 새로운 유형의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는 주장을 통렬하게 반박하면서, 필자는 기존 사회와의 연속선 상에서 '정보화'를 조심스럽게 이야기하고 있다.
'정보화'는 수용하지만 '정보사회'는 아직 인정하기엔 이르다는 필자의 주장은, 정보화가 가속되고 있지만 이러한 현상은 기존 사회와의 연속선 상에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며, 기존 사회와 다른 새로운 사회의 특성으로 내세우는 것은 '정보화'의 단면만 보고 쉽사리 흥분하는 것과 같다고 보고 있는 듯 하다. 21세기 정보사회라는 말을 심심찮게 사용하면서 전국민이 모두 다 컴퓨터의 숙련자들로 만들어놓으려 하는 이 사회에서, 웹스터 교수의 말은 분명 정보화에 흥분한 많은 사람들을 진정시키는 데는 특효약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정보사회'로의 이행을 거부하는 그의 태도에서 지나친 모더니스트의 냄새가 나기도 한다. 정보의 폭발이라는 양적 증대와 함께 이제는 질적 변화도 함께 오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예외가 아니라 생각한다. 사회의 변화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으며, 정보화 역시 그러하다. 사회학과의 경우 97년 입학당시 동기들 거의 모두가 호출기가 있었던 반면 99학번은 거의가 이동전화로 바뀌어 있다. 또 2년 사이에 E-mail 주소를 가진 학생이 250%나 증가하는 등 불과 2년사이에 정보통신의 저변이 급격하게 바뀌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양적 증가가 질적 변화를 이끌어 오는 변인이 과연 될 수 없는지도 고려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정보화, 그리고 정보사회는 지금도, 그리고 미래에도 분명 흥미로운 주제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책장을 넘기며 다가오는 것은 예상외의 충격이었다. '정보사회'라는 새로운 유형의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는 주장을 통렬하게 반박하면서, 필자는 기존 사회와의 연속선 상에서 '정보화'를 조심스럽게 이야기하고 있다.
'정보화'는 수용하지만 '정보사회'는 아직 인정하기엔 이르다는 필자의 주장은, 정보화가 가속되고 있지만 이러한 현상은 기존 사회와의 연속선 상에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며, 기존 사회와 다른 새로운 사회의 특성으로 내세우는 것은 '정보화'의 단면만 보고 쉽사리 흥분하는 것과 같다고 보고 있는 듯 하다. 21세기 정보사회라는 말을 심심찮게 사용하면서 전국민이 모두 다 컴퓨터의 숙련자들로 만들어놓으려 하는 이 사회에서, 웹스터 교수의 말은 분명 정보화에 흥분한 많은 사람들을 진정시키는 데는 특효약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정보사회'로의 이행을 거부하는 그의 태도에서 지나친 모더니스트의 냄새가 나기도 한다. 정보의 폭발이라는 양적 증대와 함께 이제는 질적 변화도 함께 오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예외가 아니라 생각한다. 사회의 변화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으며, 정보화 역시 그러하다. 사회학과의 경우 97년 입학당시 동기들 거의 모두가 호출기가 있었던 반면 99학번은 거의가 이동전화로 바뀌어 있다. 또 2년 사이에 E-mail 주소를 가진 학생이 250%나 증가하는 등 불과 2년사이에 정보통신의 저변이 급격하게 바뀌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양적 증가가 질적 변화를 이끌어 오는 변인이 과연 될 수 없는지도 고려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정보화, 그리고 정보사회는 지금도, 그리고 미래에도 분명 흥미로운 주제가 아닌가 생각된다.
추천자료
정보기술 발전에 따라 예견되는 정보사회 특징들
정보통신윤리에 대한 고찰과 정보사회에서 야기되는 문제사례
정보화사회진전에 따른 사회계층변화와 부의 불평등문제고찰
[정보사회론]개인정보 침해의 유형 및 실태와 대책방안
정보사회의 역기능과 정보불평등
정보화사회 가상현실과 가상공동체의 출현과 윤리적 문제들
정보사회와 행정
(A+, 사회학개론) 정보화사회의 개념을 ‘중앙지성’과 ‘집단지성’의 차이를 통해 설명하시오.
(A+, 사회학개론) 중앙지성과 집단지성의 관점에서 정보화사회의 개념
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변천과정, 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영역, 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과 ...
[원격교육][CAL][컴퓨터보조학습][정보통신기술][정보사회]원격교육의 개념, 원격교육의 동향...
지능정보사회에서의 국가별 공공서비스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