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치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당뇨병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당뇨병 치료

경구용 혈당 강하제
1. 설폰요소제
1) 작용기전
2) 설폰요소제에 반응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자
3) 설폰요소제의 금기증
4) 설폰요소제의 치료 실패
5) 글리메피라이드(아마릴)
2. 인슐린 분비촉진제
1) 메글리티나이드
① Repaglinide(Prandine, Novonorm)
② KAD-1229
3. 바이구아나이드제
1) 작용 기전
2) 효과
3) 부작용
4) 금기
4.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1) 아카보스(acarbose, glucobay)
2) 보글리보스(베이슨, AO-128)
3) Miglitol
4) Emiglitate
5. 인슐린 작용 증진제 (Insulin sensitizers)
1) Thiazolidinediones
① 트로글리타존(CS-045)
② Rosiglitazone (Avandia, BRL 49653)
6. 지질대사 개선제
1) 지방분해 억제제
① 니코틴산
② 아시피목스
2) 지방산산화 억제제
7. 경구인슐린

인슐린 제제
1. 인슐린의 종류
2. Insulin Lispro (Humalog)
3. 인슐린 투여의 실제

다회인슐린주사법
장 점
단 점

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입법
장 점
단 점

4. 인슐린 치료의 부작용

당뇨병의 합병증 예방약물

1. Aminoguanidine
2. 항산화제

병합요법

새로운 당뇨병의 치료법
1. 인공췌장기
2. 췌장이식 및 췌장소도이식

대체의학 치료법

본문내용

운동으로 체중 증가를 막아야 한다.
당뇨병의 합병증 예방약물
1. Aminoguanidine : 고혈당 상태의 결과 체내 단백질 및 핵산 등의 당화가 일어나며, 그 결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가 축적된다. Aminoguanidine은 이러한 과정, 즉 AGE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이며, early glycation product의 reactive carbonyl group과 결합하여 nonreactive compound를 형성함으로써 crosslink의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실제적으로 AGE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동물실험에서 망막증을 예방하고 뇨단백을 감소시키는 등 당뇨병의 합병증을 감소시키는 보고가 있다.
2. 항산화제 : 세포내 폴리올 경로가 항진되면 체내 항산화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NADPH, glutathione 등의 소모가 많아지며, 그밖의 원인도 작용하여 당뇨병 상태에서 체내 항산화기능이 저하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비타민 E, 비타민 C, glutathione, selenium 등 여러 항산화제에 대한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가 진행 중이다.
병합요법:
제2형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 가능한 모든 방법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합하여 치료에 응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식사요법, 체중조절, 운동 등이다. 또한 당뇨교육자들의 협조와 자가혈당측정 등의 관리방법도 매우 중요하다. 현재 사용가능한 모든 약제는 단일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설폰요소제와 마찬가지로 일차 및 이차실패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약제의 추가사용이 권장된다. 작용기전이 서로 다른 약제를 동시에 투여할 경우 상승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새로운 당뇨병의 치료법:
최근 의학 및 의공학, 그리고 여러 생명과학분야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새로운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여러 가지의 방법들이 있으나 지면관계상 대표적인 몇 가지만 소개하고자 한다.
1. 인공췌장기
순간순간 변하는 혈당의 농도를 내장된 센서가 계속적으로 측정하고 이와 연결된 컴퓨터에 의해 계산된 적정량의 인슐린을 자동적으로 체내에 공급해주는 장치로서 이미 시제품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은 그 크기가 지나치게 크고 혈당측정을 위한 채혈량이 많으며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에도 혈당측정용 포도당 센서가 더욱 소형이고, 체내에서도 장기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중이므로 가까운 장래에 이와같은 소형의 인공췌장기가 임상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 췌장이식 및 췌장소도이식
췌장이식은 이미 1966년 미국 미네소타대학병원에서 처음 시행된 이후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10,000여례에서 시술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0여 차례 시도된 바 있는 치료법이다. 수술후 인슐린투여 없이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는 이식성공률은 3년에 약 50-60% 정도이지만, 이식후 거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이클로스포린과 같은 면역억제제를 장기간 투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1형 당뇨병의 합병증으로서 만성신부전증이 생긴 환자에서 신장이식과 함께 췌장이식을 시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췌장조직 가운데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소도만을 분리하여 이식하는 췌장소도이식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췌장이식에 비하여 시술이 간편하고, 이식전 췌장소도에 대한 여러 가지의 전처치가 가능한 점 등 많은 장점이 있는 방법이지만 췌장이식과 마찬가지로 이식후 거부반응을 극복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다. 최근에는 췌장소도를 생체적합성이 큰 고분자막에 둘러싼 상태로 이식하는 immunoisolation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며 크게 기대되고 있는 방법이다.
대체의학 치료법
민간요법으로 누에나 달개비(압척초)도 많이 쓰인다. 달개비는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있다. 달개비에 다른 약물을 더해 쓸 경우 혈당 개선 효과도 있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민간요법은 대부분 과거의 개인적 경험에서 구전돼 온 것으로 과학적 근거가 희박한 경우가 많다. 또 과량 섭취할 경우 독성에 시달릴 위험이 있으며, 제조공정상의 오염.변질 등의 가능성도 크다. 현재 당뇨병 민간요법으로는 달개비풀, 인삼, 달맞이꽃, 결명자, 구기자, 누에, 우엉, 메밀 등이 이용된다. 이들의 혈당강하 효과에 대해서는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다.
누에의 경우 본초강목 등 동양의학서에 당뇨병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돼 있다. 누에분말은 이미 식후 혈당의 급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복용량과 횟수,약물과 함께 복용했을 때의 효과 등이 과학적 으로 증명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무분별한 사용은 자제해야 하며, 어떤 방법이든 전문의와 상담 후 적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리고 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는 누에 오줌이 혈당을 강하시키고 당분해 효소억제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리고 누에 오줌 분획물이 혈당환자의 대표적인 증상인 식후 혈당상승으로 배고픔을 느끼는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앞으로 식후 혈당상승 억제를 위한 한방이나 생약제제에 혼합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약조성물로도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위의 대체의학적인 치료방법은 의학적으로 검증이 안된 경우가 많다. 사용시에는 주의가 요망된다.
→ 초기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치료 계획을 세울 때는 치료하는 의사와 환자는 물론, 환자의 가족과 치료에 관여하는 모든 의료진 사이에 적절하면서 공통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약제 선택(인슐린, 경구 혈당강하제, 고혈압 치료제, 혈청 지질 강하제, 그외 다른 약제)은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 상태, 합병증 및 동반 질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하며 개개인의 식사요법 설정, 적절한 운동요법 설정, 자가 치료를 위한 환자 및 가족들에 대한 교육, 혈당의 자가 측정 및 소변중 케톤 검출 방법 등에 대한 교육, 환자의 재방문 시기와 계속 관찰시 방문 횟수 등을 환자와 충분한 대화를 통해 결정하여야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10.29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