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균성 이질 (Shigellosis)
2. 아메바성 이질 (Amoebic Dysentery)
3. 황열 (Yellow Fever)
2. 아메바성 이질 (Amoebic Dysentery)
3. 황열 (Yellow Fever)
본문내용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입원환자의 간호나 음식물 취급을 못하도록 한다. 항생제 요법이 끝난 뒤 직장으로 돌려보낸다.
⊙분변 등 장관배설물의 위생적 처리가 중요하다.
⊙환자의 가구원이나 접촉자들의 대변을 현미경적으로 검사한다
3. 황열 (Yellow Fever)
1) 황열이란
황열은 Flaviviridae과에 속하는 황열바이러스에 의한 급성열성질환으로 황달, 출 혈, 심한 알부민뇨증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잠복기는 3-6일이며, 모기(Aedes aegypti, Haemagogus과 모기)가 질병을 매개한다. 예방접종의 효과는 접종 10일 후에 나타나서 10년간 지속된다. 주로 아프리카와 남미의 열대지방에서 발생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발생한 적이 없다.
2) 황열 바이러스
황열 바이러스는 Flaviviridae과에 속하며, 크기는 직경이 18-25nm이다. 물리화학 적 자극에 매우 불안정하고, 생리식염수 내에서 빨리 사멸한다. 이 바이러스는 감 염된 환자나 동물의 혈중을 순환하고 간장, 신장, 기타 장기 내에서 증식이 잘되 며, 독력이 강하다. 항원성은 적혈구 응집 항원과 보체결합항원이 있다.
3) 감염 및 전파경로
도시형 황열은 매개 곤충이 집모기 일종인 열대 숲모기(Aedes aegypti)이고 사람 -모기의 순환고리에 의해 전파된다. 밀림형(jungle; sylvan type) 황열은 원래는 아 프리카나 남미산 원숭이에 감염되는 질환으로 수목에 사는 모기(Haemagogus, Aedes)에 의하여 원숭이 간에 전파된다. 인간은 기회숙주로 산림 벌채하는 사람, 철도건설 노동자와 같이 밀림노동자에서 환자가 발생될 수 있다.
4) 증상
두통, 구토, 황달, 출혈, 심한 알부민뇨증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초기증세는 뎅기 열과 비슷하다. 피부에서 국소 임파절로 바이러스가 이동하여 다시 혈류 내로 들 어가 전신장기에 침범하게 되는데 사망 원인은 간이나 신장에 침범하여 괴사를 일 으키는데 기인한다.
5) 진단 및 치료
황열진단은 전형적인 임상증상과 혈청학적 방법, 바이러스 분리 혹은 항원검출 등으로 확진이 가능하다.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다.
6) 관리 및 예방
예방접종의 효과는 매우 양호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발생한 적이 없으므로 황열감 염지역으로 여행하는 사람에 대해서 검역소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예방 접종 효과는 접종 10일 후에 나타나서 10년간 지속되므로 매 10년마다 재접종을 실시해야 한다.
⊙분변 등 장관배설물의 위생적 처리가 중요하다.
⊙환자의 가구원이나 접촉자들의 대변을 현미경적으로 검사한다
3. 황열 (Yellow Fever)
1) 황열이란
황열은 Flaviviridae과에 속하는 황열바이러스에 의한 급성열성질환으로 황달, 출 혈, 심한 알부민뇨증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잠복기는 3-6일이며, 모기(Aedes aegypti, Haemagogus과 모기)가 질병을 매개한다. 예방접종의 효과는 접종 10일 후에 나타나서 10년간 지속된다. 주로 아프리카와 남미의 열대지방에서 발생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발생한 적이 없다.
2) 황열 바이러스
황열 바이러스는 Flaviviridae과에 속하며, 크기는 직경이 18-25nm이다. 물리화학 적 자극에 매우 불안정하고, 생리식염수 내에서 빨리 사멸한다. 이 바이러스는 감 염된 환자나 동물의 혈중을 순환하고 간장, 신장, 기타 장기 내에서 증식이 잘되 며, 독력이 강하다. 항원성은 적혈구 응집 항원과 보체결합항원이 있다.
3) 감염 및 전파경로
도시형 황열은 매개 곤충이 집모기 일종인 열대 숲모기(Aedes aegypti)이고 사람 -모기의 순환고리에 의해 전파된다. 밀림형(jungle; sylvan type) 황열은 원래는 아 프리카나 남미산 원숭이에 감염되는 질환으로 수목에 사는 모기(Haemagogus, Aedes)에 의하여 원숭이 간에 전파된다. 인간은 기회숙주로 산림 벌채하는 사람, 철도건설 노동자와 같이 밀림노동자에서 환자가 발생될 수 있다.
4) 증상
두통, 구토, 황달, 출혈, 심한 알부민뇨증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초기증세는 뎅기 열과 비슷하다. 피부에서 국소 임파절로 바이러스가 이동하여 다시 혈류 내로 들 어가 전신장기에 침범하게 되는데 사망 원인은 간이나 신장에 침범하여 괴사를 일 으키는데 기인한다.
5) 진단 및 치료
황열진단은 전형적인 임상증상과 혈청학적 방법, 바이러스 분리 혹은 항원검출 등으로 확진이 가능하다.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다.
6) 관리 및 예방
예방접종의 효과는 매우 양호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발생한 적이 없으므로 황열감 염지역으로 여행하는 사람에 대해서 검역소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예방 접종 효과는 접종 10일 후에 나타나서 10년간 지속되므로 매 10년마다 재접종을 실시해야 한다.
추천자료
학교급식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안 에 관한 연구(단체급식)
학교안전관리
초등학교 안전사고
학교급식의 현실태와 발전방안
학교에서의 안전관리
[논문계획서]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발전방안
청소년의 인성발달 및 문제예방을 위한 학교정신건강증진 방안(행복한 학교 만들기를 위한 학...
[금연운동][학교금연운동][지역사업][금연운동의 방향][흡연][담배][금연]금연운동의 배경, ...
간호학 - 학교에서의 전염병 관리
학교 내의 열약한 편의시설
[신체검사][아동신체검사][학교신체검사][흉곽신체검사][외국신체검사][신체][검사][아동][학...
고등학교 응급처치 교육(4.15)
교육복지와 학교사회복지의 개념을 비교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