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본론
(1) 작가와 80년대
(2) 80년대 여성으로 살아가기
3.맺으며
2.본론
(1) 작가와 80년대
(2) 80년대 여성으로 살아가기
3.맺으며
본문내용
이 달랐으며, 생활이 달랐고, 또 사고방식 역시 나와는 너무나 다른 작품의 주인공들. 그러나 이내 그런 것들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여성이라는 어떤 동질감 때문이었으리라 생각한다.
80년대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나약한' 여성의 몸으로 자신의 신념을 외칠 수 있다는 것. 아직까지도 말뿐인 평등 사회에서 살고 있는 여성의 한 사람으로써 (순영의 행동을 더 높이 사기는 하지만) 이 두 80년대의 여성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그리고 생각해 본다. 내가 순영의 모습에서 80년대 현장에서 뜻깊게 살았던 여성을 발견했던 것처럼 지금의 우리에게서는 어떤 여성을 발견할 수 있을까. 의미 없는 개성만이 전부라고 믿고 있는 우리들에게서 어떤 전형으로서의 여성을 찾기란 힘들다는 결론에 이르자 입가에는 쓴 웃음이 돈다.
80년대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나약한' 여성의 몸으로 자신의 신념을 외칠 수 있다는 것. 아직까지도 말뿐인 평등 사회에서 살고 있는 여성의 한 사람으로써 (순영의 행동을 더 높이 사기는 하지만) 이 두 80년대의 여성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그리고 생각해 본다. 내가 순영의 모습에서 80년대 현장에서 뜻깊게 살았던 여성을 발견했던 것처럼 지금의 우리에게서는 어떤 여성을 발견할 수 있을까. 의미 없는 개성만이 전부라고 믿고 있는 우리들에게서 어떤 전형으로서의 여성을 찾기란 힘들다는 결론에 이르자 입가에는 쓴 웃음이 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