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디지털 서명의 필요성
2. 디지털 서명 모델
1) 해쉬 함수를 이용 디지털 서명 모델
2) 공개키를 이용한 디지털 서명 모델
3. 디지털 서명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4. PKI (공개키 기반 구조)
2. 디지털 서명 모델
1) 해쉬 함수를 이용 디지털 서명 모델
2) 공개키를 이용한 디지털 서명 모델
3. 디지털 서명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4. PKI (공개키 기반 구조)
본문내용
디지털 서명과 인증의 필요성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으로 다양한 서비스 요구 ( EDI, 전자상거래 등)
데이타 무결성과 사용자 인증 그리고 부인봉쇄 서비스에 필수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대책이 디지털서명
전자서명이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장이나 사인을 디지탈 정보로 구현한 것”
디지털서명 = 사용자 인증 + 메시지 인증
해쉬 함수을 이용한 디지털 서명 모델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한 서명모델
각 사용자는 모든 사용자의 비밀키를 공유하여야 한다.
문제점 : 보낸 사람과 받은 사람의 부인 그리고 메시지의 변조 하는 등 쌍방이 서로 속인다면 서명은 이루어 질 수 없다. (ex 키가있는 MAC, 키가 없는 MDC)
디지털 서명의 조건
송신자 외에는 문서의 내용이나 서명이 변조 삭제 될수 없어야 하며 문서의 내용이 변경되면 서명도 변경 되어야한다. 이는 송신자가 문서의 내용이나 서명을 부인 할수 없는 조건이 되어야 한다.(무결성, 부인방지)
수신자는 문서의 서명을 통하여 송신자을 확인 할수 있어야 한다. 이는 인증기관을 이용한 신분확인(인증) 이다.
디지털 서명은 문서 내용에 따라 달라 져야 하며, 동일한 내용이라도 안전을 위하여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서명되여야 한다.
디지털 서명의 부인방지
발신 부인 방지(Non-Repudiation of Origin : NRO)
수신 부인 방지(Non-Repudiation of Receipt : NRR)
공개키을 이용한 디지털 서명 모델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과 일방향 해쉬함수를 사용한 모델
서명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증가 시키기 위해 메시지 m의 서명을 생성하는 대신 에 압축 알고리즘의 일종인 일방향 해쉬함수 H(·)를 이용하여 메시지 m을 일방 향 해쉬함수로 압축한 후 이에 대한 서명을 생성
여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해쉬함수 : MD5, SHA
공개키 알고리즘을 사용한 모델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 모든 사용자는 자신의 공개키와 비밀키를 생성하여 자신의 공개키를 공개키 디렉토리에 등록한다.
정보화 사회로의 진전으로 다양한 서비스 요구 ( EDI, 전자상거래 등)
데이타 무결성과 사용자 인증 그리고 부인봉쇄 서비스에 필수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대책이 디지털서명
전자서명이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장이나 사인을 디지탈 정보로 구현한 것”
디지털서명 = 사용자 인증 + 메시지 인증
해쉬 함수을 이용한 디지털 서명 모델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한 서명모델
각 사용자는 모든 사용자의 비밀키를 공유하여야 한다.
문제점 : 보낸 사람과 받은 사람의 부인 그리고 메시지의 변조 하는 등 쌍방이 서로 속인다면 서명은 이루어 질 수 없다. (ex 키가있는 MAC, 키가 없는 MDC)
디지털 서명의 조건
송신자 외에는 문서의 내용이나 서명이 변조 삭제 될수 없어야 하며 문서의 내용이 변경되면 서명도 변경 되어야한다. 이는 송신자가 문서의 내용이나 서명을 부인 할수 없는 조건이 되어야 한다.(무결성, 부인방지)
수신자는 문서의 서명을 통하여 송신자을 확인 할수 있어야 한다. 이는 인증기관을 이용한 신분확인(인증) 이다.
디지털 서명은 문서 내용에 따라 달라 져야 하며, 동일한 내용이라도 안전을 위하여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서명되여야 한다.
디지털 서명의 부인방지
발신 부인 방지(Non-Repudiation of Origin : NRO)
수신 부인 방지(Non-Repudiation of Receipt : NRR)
공개키을 이용한 디지털 서명 모델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과 일방향 해쉬함수를 사용한 모델
서명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증가 시키기 위해 메시지 m의 서명을 생성하는 대신 에 압축 알고리즘의 일종인 일방향 해쉬함수 H(·)를 이용하여 메시지 m을 일방 향 해쉬함수로 압축한 후 이에 대한 서명을 생성
여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해쉬함수 : MD5, SHA
공개키 알고리즘을 사용한 모델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 모든 사용자는 자신의 공개키와 비밀키를 생성하여 자신의 공개키를 공개키 디렉토리에 등록한다.
추천자료
디지털 컴퓨터와 정보
디지털오디오,돌비디지털
디지털 오디오 방송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디지털 오디오 방송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문제점과 전망
[저작권보호][디지털컨텐츠유통][저작권보호의 방향]저작권보호의 중요성, 저작권보호의 장단...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디지털혁명의 사회적 변화
[디지털경제] 디지털 경제의 개념과 등장배경 및 구조적 특성
디지털 포렌식에 대하여
디지털 포렌
[비디오][프레임][인덱싱시스템][영화][디지털비디오]비디오의 프레임, 비디오의 인덱싱시스...
[필름, 필름과 디지털애니메이션, 필름과 한국영상진흥원, 필름과 마케팅, 필름과 과학적 활...
[경영전략][품질경영전략][지식경영전략][브랜드경영전략][기업경영전략][디지털경영전략][신...
★우수레포트★[디지털 디바이드, 모바일 디바이드]디지털,스마트폰 시대의 정보격차 현황, 정...
AVR 디지털 도어락 만들기 (디지털 도어락 제작,디지탈 도어록,소스코드, 회로도,ATmega128,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