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양심의 정치`
3. 반전주의와 평화주의
4. 기대와 좌절
5. 나치즘에 대한 저항
6. 이념을 넘어
7. 맺음말
참고문헌
2. `양심의 정치`
3. 반전주의와 평화주의
4. 기대와 좌절
5. 나치즘에 대한 저항
6. 이념을 넘어
7.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5, S. 226.
이었던지 알 수 있으며, 나아가 헤세의 비판적 평자들이 그를 이상주의적인 작가, 현실 도피적인 작가 또는 내면성의 작가로 규정하면서 준거로 삼았던 그의 소설과 시들이 내용에 있어 얼마나 강한 정치성과 현실 참여적 성격을 지닐 수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7. 맺음말
지금까지 헤세의 정치적 입장을 인식할 수 있게 해 주는 잠재력
) PdG: S. 965.
으로서 그의 시론들을 정치 현실과 관련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의 문학작품과 연관해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오랜 기간 '비정치적인'것으로 여겨져 독자들의 의식 속에서 그렇게 큰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던 작가 헤세의 정치적 인식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현재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인식들이 당면한 현실의 여러 문제들로부터 벗어나 과거에서 이 문제들의 원인을 찾도록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이 시론들은 결코 "멀어져간 역사의 연대기"
) Ebenda.
로 읽혀서는 안 될 것이며, 오히려 현재의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들에서는 개별적 사실로부터 보편적 진리를 유도해내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글들에는 헤세의 사고와 행동의 일치가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에 더욱 큰 신뢰와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헤세에게 있어 중요한 문제는 형식이 아니라 내용이라는 점 또한 분명히 인식할 수 있다. "이미 여러 해 전부터 나는 미적인 야망을 포기했으며, 문학작품이 아니라 바로 고백록을 쓰고 있다. 물에 빠진 사람이나 독을 마신 사람은 더 이상 머리를 매만지거나 목소리를 다듬는 데 몰두하지 않고 바로 바깥을 향해 소리를 지르는 것이다."
) Volker Michels(Hg.): Materialien zu Hermann Hesses Der Steppenwolf". Frankfurt/M. 1972, S. 97.
그의 시론들이 가지는 기본적 성격과 그 글들을 통해 제시되는 정치적 인식의 본질적인 내용을 잘 설명해 주는 헤세 자신의 말을 인용하면서 본 논문의 끝을 맺고자 한다. "나의 시론들을 '정치적'이라고 부를 때, 나는 언제나 이 말을 인용부호 속에 넣습니다. 그 글들이 쓰여진 그때 그때의 분위기 외에는 아무 것도 정치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밖의 점에서 이 글들은 정치적인 것과는 반대입니다. 왜냐하면 이 글들은 모두 인간들이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 세상이나 그것의 정치적인 문제들 앞으로 독자를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의 내면으로, 그의 지극히 개인적인 양심 앞으로 안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나는 어떤 경향의 정치가와도 뜻을 같이 하지 않을 것이며, 인간의 마음속에 정치적인 자극이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 있다고 믿는 점에서 언제나 변함없이 가르치기 힘든 상태로 남아 있을 것입니다.
) Siegfried Unseld(Hg.): Hermann Hesse. Politische Betrachtungen. S. 130.
참 고 문 헌
Ball, Hugo: Hermann Hesse. Sein Leben und sein Werk.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7.
Carlsson, Anni(Hg.): Hermann Hesse-Th. Mann Briefwechsel.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68 - Erw. Ausg: Erw. von Volker Michels 1975 (= Bibliothek Suhrkamp 441).
Hesse, Hermann: Briefe. Berlin : Suhrkamp 1951 - Erw. Ausg.: Frankfurt am Main 1964 - Taschenbuchausg. u.d.T.: Ausgewahlte Briefe. 1974(= suhrkamp taschenbuch 211).
Hesse, Hermann: Gesammelte Briefe. In Zusammenarbeit mit Heiner Hesse hg. von Ursula und Volker Michels. 4 Bde.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3 - 1984 (Bd 1: 1985-1921- Bd 2:1922-1935 - Bd 3:1936-1948 - Bd 4:1949-1962).
Hesse, Hermann: Gesammelte Werke. 12 Bde.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0 (=werkausgabe edition suhrkamp).
Michels, Ursula und Volker: Hermann Hesse-R.J.HummBriefwechsel.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7.
Michels, Volker(Hg.): Materialien zu Hermann Hesses "Glasperlenspiel".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3 - 1974 (2 Bde, suhrkamp taschenbuch 80, 208).
Michels, Volker(Hg.): Materialien zu Hermann Hesses "Steppenwolf".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2.
Michels, Volker(Hg.): Politik des Gewissens. Die politische Schriften. Erster und zweiter Band.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7.
Michels, Volker(Hg.): ber Hermann Hesse.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6-1977 (2 Bde, suhrkamp taschenbuch 331, 332).
Unseld, Siegfried (Hg.): Hermann Hesse, Politische Betrachtungen. Frankfrut/M. 1977.
Unseld, Siegfried: Begegnungen mit Hermann Hesse. Frankfurt am
이었던지 알 수 있으며, 나아가 헤세의 비판적 평자들이 그를 이상주의적인 작가, 현실 도피적인 작가 또는 내면성의 작가로 규정하면서 준거로 삼았던 그의 소설과 시들이 내용에 있어 얼마나 강한 정치성과 현실 참여적 성격을 지닐 수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7. 맺음말
지금까지 헤세의 정치적 입장을 인식할 수 있게 해 주는 잠재력
) PdG: S. 965.
으로서 그의 시론들을 정치 현실과 관련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의 문학작품과 연관해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오랜 기간 '비정치적인'것으로 여겨져 독자들의 의식 속에서 그렇게 큰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던 작가 헤세의 정치적 인식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현재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인식들이 당면한 현실의 여러 문제들로부터 벗어나 과거에서 이 문제들의 원인을 찾도록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이 시론들은 결코 "멀어져간 역사의 연대기"
) Ebenda.
로 읽혀서는 안 될 것이며, 오히려 현재의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들에서는 개별적 사실로부터 보편적 진리를 유도해내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글들에는 헤세의 사고와 행동의 일치가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에 더욱 큰 신뢰와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헤세에게 있어 중요한 문제는 형식이 아니라 내용이라는 점 또한 분명히 인식할 수 있다. "이미 여러 해 전부터 나는 미적인 야망을 포기했으며, 문학작품이 아니라 바로 고백록을 쓰고 있다. 물에 빠진 사람이나 독을 마신 사람은 더 이상 머리를 매만지거나 목소리를 다듬는 데 몰두하지 않고 바로 바깥을 향해 소리를 지르는 것이다."
) Volker Michels(Hg.): Materialien zu Hermann Hesses Der Steppenwolf". Frankfurt/M. 1972, S. 97.
그의 시론들이 가지는 기본적 성격과 그 글들을 통해 제시되는 정치적 인식의 본질적인 내용을 잘 설명해 주는 헤세 자신의 말을 인용하면서 본 논문의 끝을 맺고자 한다. "나의 시론들을 '정치적'이라고 부를 때, 나는 언제나 이 말을 인용부호 속에 넣습니다. 그 글들이 쓰여진 그때 그때의 분위기 외에는 아무 것도 정치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밖의 점에서 이 글들은 정치적인 것과는 반대입니다. 왜냐하면 이 글들은 모두 인간들이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 세상이나 그것의 정치적인 문제들 앞으로 독자를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의 내면으로, 그의 지극히 개인적인 양심 앞으로 안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나는 어떤 경향의 정치가와도 뜻을 같이 하지 않을 것이며, 인간의 마음속에 정치적인 자극이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 있다고 믿는 점에서 언제나 변함없이 가르치기 힘든 상태로 남아 있을 것입니다.
) Siegfried Unseld(Hg.): Hermann Hesse. Politische Betrachtungen. S. 130.
참 고 문 헌
Ball, Hugo: Hermann Hesse. Sein Leben und sein Werk.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7.
Carlsson, Anni(Hg.): Hermann Hesse-Th. Mann Briefwechsel.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68 - Erw. Ausg: Erw. von Volker Michels 1975 (= Bibliothek Suhrkamp 441).
Hesse, Hermann: Briefe. Berlin : Suhrkamp 1951 - Erw. Ausg.: Frankfurt am Main 1964 - Taschenbuchausg. u.d.T.: Ausgewahlte Briefe. 1974(= suhrkamp taschenbuch 211).
Hesse, Hermann: Gesammelte Briefe. In Zusammenarbeit mit Heiner Hesse hg. von Ursula und Volker Michels. 4 Bde.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3 - 1984 (Bd 1: 1985-1921- Bd 2:1922-1935 - Bd 3:1936-1948 - Bd 4:1949-1962).
Hesse, Hermann: Gesammelte Werke. 12 Bde.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0 (=werkausgabe edition suhrkamp).
Michels, Ursula und Volker: Hermann Hesse-R.J.HummBriefwechsel.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7.
Michels, Volker(Hg.): Materialien zu Hermann Hesses "Glasperlenspiel".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3 - 1974 (2 Bde, suhrkamp taschenbuch 80, 208).
Michels, Volker(Hg.): Materialien zu Hermann Hesses "Steppenwolf".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2.
Michels, Volker(Hg.): Politik des Gewissens. Die politische Schriften. Erster und zweiter Band.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7.
Michels, Volker(Hg.): ber Hermann Hesse. Frankfurt am Main : Suhrkamp 1976-1977 (2 Bde, suhrkamp taschenbuch 331, 332).
Unseld, Siegfried (Hg.): Hermann Hesse, Politische Betrachtungen. Frankfrut/M. 1977.
Unseld, Siegfried: Begegnungen mit Hermann Hesse. Frankfurt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