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형태론]작가 지역 중심의 건축 구성 방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현대에 대한 용어 파악

3. 현대 건축의 시기적 구분

4. 구성에 대한 이해

5. 구성의 종류

6. 현대건축(지역주의작가)과 구성방법의 대표적인 예

7. 소 결

본문내용

축관을 표현해내고 있으며 안도에게 있어서 기하 형태는 대지 위 인간의 영역의 구획을 통하여 초월적 존재 의지를 천명하는 모태적 매개이다. 또한 억제된 도입부, 공간분절의 과정적 접근, 최종적인 풍겨의 다이나미즘에 의한 공간 체험이 그의 건축 구성방법의 큰 특징으로 될 수 있을 것이다.
7. 소결
결국. 위에서 살펴본 공간 구성의 기본 개념을 작가들이 따르는 경우도 있고 혹은 자기의 건축 세계를 주장하기 위해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내는 경우도 있었다. 여기에 또 한가지, 똑같은 건축 구성요소를 가지고도 전혀 다른 공간을 창출하기도 한다. 그 것은 결구 요소와 그것을 연결하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차이 때문일 것이다. 구성의 개념이라는 것이 존재하기는 하나 어디까지나 해석과 관점의 차이가 있을 것이며 각각의 건축가는 무엇을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가 문제인 것이다.
결국 구성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자문이 필요하며 단순히 자기가 설계에 임했을 때 진정 건축가가 원하는 건축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그 건물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냐는 근본적 되물음으로 속에서 구성을 다시 생각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공간/ 9812
전남대학교 건축과/ 건축의 장/
이상건축/9311
프란시스 D. K. 칭/ ARCHITECTURE : FORMㆍSPACE & ORDER/도서출판 국제
어니스트 버든/ 건축디자인 요소/도서출판 국제
임 석 재/형태주의 건축운동/시공사
건축/ 9708
plus/ 9209
plus/ 9507
정태승/ 까를로 스카르빠 작품에 표현된 건축구성방법과 요소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권11호
고정석/ 바라간 주거작품 건축정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초점 (Focus)
주요공간, 스케일, 재료, 조명 또는 방위와 같이 디자인 계획의 가장 중요한 관점에 대해 주목하여 드로잉하는 관심이나 행동에 중심이 되는 것.
조화로운 비례(Harmonic Proportions)
건축 디자인에 대한 이론, 특히 비례에 대한 이론의 조화와 음악적인 스케일의 조화사이의 관계
조화 (Harmony)
전체 속에 있는 요소들의 원만한 상호작용 또는 적절한 결합
위계
(Hierarchy)
다른 것보다 위에 있는 순위나 등급이 매겨진 순서대로 정돈된 혹은 크기, 모양, 배치와 같은 순서의 배열 또는 시스템
조정
(Modulation)
어떤 비례에 의해 치수를 재기 위한 또는 조절하거나 규제하기 위한 것. 하나의 요소. 형태 또는 재료에서부터 또 하나의 다른 것으로 이어지는 데 있어 완화하거나 부드럽게 하는 것
통합
(Orchestration)
조화있게 조합시키는 것
질서(Order)
분산된 구성요소들이나 집단의 요소들 사이의 논리적이고 규칙적인 배열. 아이디어와 감각 그리고 형태의 단일화
비례
다른 하나에 대한 한쪽 부분의 비율. 또는 전체에 대한 부분의 관계. 크기에 대하여 비교가 되는 부분
반복(Repeition)
공간이나 서로 다른 패턴 또는 형태에 의해 분리된 리듬. 패턴. 형태 또는 강조의 재현
리듬 (Rythm)
요소, 선, 모양과 형태들이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특징을 지닌 운동의 종류: 되풀이하여 발생하는 음악적 장단과 유사하며. 가볍고 무거운 강조들에 의해 표현되는 운동의 흐름
대칭 (Symmetry)
중심선이나 축에 의해 분할되는 선이나 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에 있는 형태의 정확한 일치.
변형
(Transformation)
변형은 초기의 모양과 형태가 다른 것이 부가되거나 감하는 혹은 모양과 형태가 변화되는 데서 일어난다.
통일 (Unity)
단일성과 변화의 부재, 각기 전체적인 미적 효과에 공헌하기 위한 작품 속에 있는 부분들의 조합이나 배열 그리고 모든 요소들의 정돈됨
별첨 1-2) 건축 구성요소들의 집합
분절(Articulation)
한 개의 마디나 여러 개의 마디들을 구성하여 결합시키는 것, 혹은 마디들로 나누는 것, 즉 형태를 규정짓기 위해 표면을 강조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그리스어의 작은 마디를 의미하는 단어 '아티큘러스 (articulas)'에서 유래한다.
외형 (Aspect)
어떤 모습으로부터의 포인트, 혹은 견해의 포인트 : 즉 주어진 방향과 방위를 향하고 있는 위치
비대칭 (Asymmetry)
중심축의 양쪽 면 위에 있는 요소들이 동일하게 배열되지 않은 즉 좌우 대칭이 아닌것
축선 (Axis)
건축물의 요소들 또는 배열될 수 있는 건축물에 대한 가상의 직선
균형 (Balance)
디자인이나 구성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배열이 조화를 이루거나 , 혹은 부분이나 요소들의 만족스러운 비례감을 나타낸다. 즉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에서 평형을 이루는 상태
혼합 (Blending)
하나의 물체가 다른 것과 점진적으로 융합되는 것: 즉 하나로 합치되는 과정
명암대조법
(Chioarscuro)
건축물의 형태를 강화하기 위한 깊은 변화감의 연출로서 나타낸 구성범위 내의 빛과 그림자의 효과
절정(Climax)
제각기 이어진 이전에 있었던 것 위에 몰려지는 형태로 배열된 수많은 아이디어. 절정이나 최고점은 전체 과정의 요약이며 최대 강도의 포인트다.
색채(Color)
우세한 파장, 휘도, 색상, 밝음에 눈으로 감각을 전달하는 염료, 색소, 페인트 또는 그밖의 물질
복합체
(Complex)
서로 다른 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서로 통일되거나 연결된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즉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 복잡하게 상호연결된 부분.
대비 (Contrast)
형태나 색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 또는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대립시켜 놓는 것
대위법(Counterpoint)
대조되는 그러나 요소 또는 주제에 평행한 것
깊이(Depth)
꼭대기에서 바닥까지 그리고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범위와 크기 또는 거리 혹은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
우세 (Dominance)
뛰어나거나 매우 영향력있는 위치를 갖는 것. 즉 가장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지배적인 상태
강조 (Emphasis)
무엇인가를 위해 부여되거나 첨가된 특별한 중요성이나 의미. 즉 명확함 또는 윤곽의 뚜렷함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10.3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8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