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캄보디아 선교와 한국 교회
2.캄보디아 선교의 현재적 문제점
(1) 국가간 정치적 관계에 비친 문제
(2) 치안 혼란의 어려움
(3) 경제와 보건의 어려움
(4) 선교사 자녀 교육 문제
3.한국교회의 캄보디아 선교 전략
(1) 전문적 선교사와 비전문적 선교사를 통한 선교
(2) 국내 교회 및 현지 교회와의 협력을 통한 선교
(3) 지역 사회 개발을 통한 선교
(4) 국내 입국자들을 위한 선교
(5) 현지 신학교 운영을 통한 선교 전략
2.캄보디아 선교의 현재적 문제점
(1) 국가간 정치적 관계에 비친 문제
(2) 치안 혼란의 어려움
(3) 경제와 보건의 어려움
(4) 선교사 자녀 교육 문제
3.한국교회의 캄보디아 선교 전략
(1) 전문적 선교사와 비전문적 선교사를 통한 선교
(2) 국내 교회 및 현지 교회와의 협력을 통한 선교
(3) 지역 사회 개발을 통한 선교
(4) 국내 입국자들을 위한 선교
(5) 현지 신학교 운영을 통한 선교 전략
본문내용
다. 교회 개척하는 사업에 현지 교회의 정보를 얻어 물질 적인 지원을 함으로 사역을 할 수도 있고, 사역자를 배출하고 싶으면 현지 교회의 사람을 선출하여 공부 할 수 있도록 후원하여 돕는다면 그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3) 지역 사회 개발을 통한 선교
캄보디아는 지금 경제의 회생에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러한 경제의 회생에는 사회 간접 산업이 발전되어야 한다. 도로, 항만, 전력, 수도, 하수 등등 모든 기간 산업이 먼저 발달하여야 한다. 그렇다고 우리가 정부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기간 산업을 돕기는 힘들다. 그러나 선교 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지역의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선교에 동참할 수는 있다. 그 방법은 우리가 이야기하는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그곳에 필요한 학교를 세워 준다거나, 의료 시설이 낙후된 곳에 병원을 세우 준다거나 하는 것으로 그 한 지역들의 개발에 참여 함으로서 우리는 선교 할 수 있는 것이다. 낙후된 곳이 캄보디아에는 너무나 많다. 초창기 우리나라에 오셨던 외국 선교사님들이 이러한 방법을 동원했던 것을 감안하면, 지역 사회의 개발을 통한 선교 사역이 얼마나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4) 국내 입국자들을 위한 선교
요즈음 들어 우리 나라에 동남아의 후진국들에서 너나 할 것 없이 일자리를 얻기 위해 들어오고 있다. 실제로 외국의 많은 노동자들이 우리의 힘든 3D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 미얀마의 한 사람은 우리 나라에 한번 가보는 것이 꿈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직접들은 적이 있다. 길거리 어디를 가도 외국인 근로자들을 만나 볼 수 있다. 그래서 우리 나라의 교회들이 이 사람들을 바라보는 눈들이 달라졌다. 선교사님들을 직접 보내서 복음을 전하는 방법도 있지만, 우리 나라에 들어온 많은 사람들을 그냥 일만 시키고 보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교회마다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별도의 예배시간을 가진다던가 혹은 그들을 위한 위안 잔치를 마련하여 찾아온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캄보디아에서 우리 나라에 들어온 노동자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왜냐하면 캄보디아에서 보내주지 않고 있고, 그들이 한번 외국에 나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우리 나라와 캄보디아간에 국교가 수립이 되었기 때문에 캄보디아의 인력들도 조만간 우리 나라의 일자리를 찾아 들어오리라고 생각한다. 들어온 이들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여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이들을 변화 시켜 다시 본국에서 그들이 복음의 사역자로 일한다면, 이것도 하나의 선교 전략 중에 하나가 될 것이다.
(5) 현지 신학교 운영을 통한 선교 전략
선교지에 신학교를 세운다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얼마나 중요한지를 우리는 알고 있다. 우리 나라에 오신 선교사님들도 처음에 평양이나 서울 같은 대도시에 신학교를 세워 우리 나라 사람들을 양성하여 복음을 전하는 방법을 택했다. 우리가 성경을 보아도 바울이 순회전도를 하면서 그곳에 사람들을 세워 그곳을 치리하며 복음을 전하는 모습을 사도 행전이나 그의 서신서 등을 통해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선교지에 신학교를 세워 그들에게 신학 훈련을 시켜 그들로 하여금 복음의 사역자가 되게 한다는 것은 그만 큼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금년 11월 달에 우리나라 감리교 교단에서 캄보디아에 신학교를 세우기 위해 사찰단을 파견했고, 조만간에 신학교가 세워진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모르겠다.
우리는 이러한 신학교를 통한 선교전략을 빼 놓고는 생각 할 수 없다. 본인도 이 신학교 사역에 중점을 두어 현지인을 양성하여 그들로 하여금 복음을 전파할 수 있는 기틀을 잡아 주려고 계획하고 있다.
(3) 지역 사회 개발을 통한 선교
캄보디아는 지금 경제의 회생에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러한 경제의 회생에는 사회 간접 산업이 발전되어야 한다. 도로, 항만, 전력, 수도, 하수 등등 모든 기간 산업이 먼저 발달하여야 한다. 그렇다고 우리가 정부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기간 산업을 돕기는 힘들다. 그러나 선교 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지역의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선교에 동참할 수는 있다. 그 방법은 우리가 이야기하는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그곳에 필요한 학교를 세워 준다거나, 의료 시설이 낙후된 곳에 병원을 세우 준다거나 하는 것으로 그 한 지역들의 개발에 참여 함으로서 우리는 선교 할 수 있는 것이다. 낙후된 곳이 캄보디아에는 너무나 많다. 초창기 우리나라에 오셨던 외국 선교사님들이 이러한 방법을 동원했던 것을 감안하면, 지역 사회의 개발을 통한 선교 사역이 얼마나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4) 국내 입국자들을 위한 선교
요즈음 들어 우리 나라에 동남아의 후진국들에서 너나 할 것 없이 일자리를 얻기 위해 들어오고 있다. 실제로 외국의 많은 노동자들이 우리의 힘든 3D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 미얀마의 한 사람은 우리 나라에 한번 가보는 것이 꿈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직접들은 적이 있다. 길거리 어디를 가도 외국인 근로자들을 만나 볼 수 있다. 그래서 우리 나라의 교회들이 이 사람들을 바라보는 눈들이 달라졌다. 선교사님들을 직접 보내서 복음을 전하는 방법도 있지만, 우리 나라에 들어온 많은 사람들을 그냥 일만 시키고 보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교회마다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별도의 예배시간을 가진다던가 혹은 그들을 위한 위안 잔치를 마련하여 찾아온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캄보디아에서 우리 나라에 들어온 노동자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왜냐하면 캄보디아에서 보내주지 않고 있고, 그들이 한번 외국에 나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우리 나라와 캄보디아간에 국교가 수립이 되었기 때문에 캄보디아의 인력들도 조만간 우리 나라의 일자리를 찾아 들어오리라고 생각한다. 들어온 이들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여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이들을 변화 시켜 다시 본국에서 그들이 복음의 사역자로 일한다면, 이것도 하나의 선교 전략 중에 하나가 될 것이다.
(5) 현지 신학교 운영을 통한 선교 전략
선교지에 신학교를 세운다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얼마나 중요한지를 우리는 알고 있다. 우리 나라에 오신 선교사님들도 처음에 평양이나 서울 같은 대도시에 신학교를 세워 우리 나라 사람들을 양성하여 복음을 전하는 방법을 택했다. 우리가 성경을 보아도 바울이 순회전도를 하면서 그곳에 사람들을 세워 그곳을 치리하며 복음을 전하는 모습을 사도 행전이나 그의 서신서 등을 통해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선교지에 신학교를 세워 그들에게 신학 훈련을 시켜 그들로 하여금 복음의 사역자가 되게 한다는 것은 그만 큼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금년 11월 달에 우리나라 감리교 교단에서 캄보디아에 신학교를 세우기 위해 사찰단을 파견했고, 조만간에 신학교가 세워진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모르겠다.
우리는 이러한 신학교를 통한 선교전략을 빼 놓고는 생각 할 수 없다. 본인도 이 신학교 사역에 중점을 두어 현지인을 양성하여 그들로 하여금 복음을 전파할 수 있는 기틀을 잡아 주려고 계획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