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도서관 조직관리>
1. 조직화의 정의
2. Staff와 Line(도서관)
3. 조직의 유형
4. 행정적 조직
5. 도서관 업무에 적용할 조직 원리
6. 조직도표(Organization Chart)
7. 직무규정(staff manual)
8. 도서관 요람(library handbook)
9. 직무배분표(work distribution chart)
2><도서관 인사관리>
1. 충원, 배치
2. 도서관 업무
3. 직원의 유형
4. 도서관 사서의 명칭
5. 충원을 위한 조직구조
6. 직무 기술서(job descriptions)
7. 직무 분석(job analysis)
8. 직무 평가(job evaluation)
9. 연수
10. 인사고과
11. 인사고과의 오류
12. 인사고과 방법
1. 조직화의 정의
2. Staff와 Line(도서관)
3. 조직의 유형
4. 행정적 조직
5. 도서관 업무에 적용할 조직 원리
6. 조직도표(Organization Chart)
7. 직무규정(staff manual)
8. 도서관 요람(library handbook)
9. 직무배분표(work distribution chart)
2><도서관 인사관리>
1. 충원, 배치
2. 도서관 업무
3. 직원의 유형
4. 도서관 사서의 명칭
5. 충원을 위한 조직구조
6. 직무 기술서(job descriptions)
7. 직무 분석(job analysis)
8. 직무 평가(job evaluation)
9. 연수
10. 인사고과
11. 인사고과의 오류
12. 인사고과 방법
본문내용
다른 조직에서 발견되는 직무의 일반적인 부류
6. 직무 기술서(job descriptions)
① 정의 : 특정직무에 관련된 의무와, 그 직무와 조직의 다른 단위와의 관계,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과 기술, 경험과 같은 개인적 특성을 명시
② 신입사원의 모집에도 사용이 가능
③ 공식적인 인사고과의 근거가 된다
④ 포함요소
- 직무 명칭(job title)
- 직무의 목적
- 직무활동과 절차 : 해당 직무에 종사하는 사람이 수행하는 과업에
대한 설명, 해당 직무에 대한 의무와 책임에 대한 분명한 설명 필요
- 해당 직무가 전체 기관에 대해 갖는 관계
- 직무 요건(job requirements) : 각 조직에 의해 설정
요건에는 개인의 교육정도와 경력, 요구되는 특수기술이나 지식, 능력이 포함
7. 직무 분석(job analysis)
① 정의 : 직무의 성격에 관련된 모든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들 정보를 관리 목적에 적합하도록 정리하는 체계적인 과정
즉, 조직이 요구하는 일의 내용이나 요건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과정
8. 직무 평가(job evaluation)
① 정의 : 직무의 중요성, 위험도 등을 평가하여 다른 직무와 비교한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정하는 것
② 방법
- 계량적(양적인) 방법
점수법(point method)
요소 비교법(factor system) :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임금액으로 평가하는 방법
- 비계량적인 방법
서열법(ranking system) : 실제의 직위를 서로 비교하여 등급의 계층을 구분한다
직무분류법(job classification system) : 의무와 기술, 능력, 책임,
그 밖의 직무와 관련된 성질을 바탕으로 직무의 부류를 정의
9. 연수
① 관내연수 : 업무와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직장내에서 상사로부터 일상업무에 대해 교육을 받게 됨
② 관외연수 : 업무와 분리되어 이루어짐
③ 집단연수 = 각종의 도서관 단체나 관청, 교육기관 등에 의해 실시
④ 단독연수 = 심포지엄 등과 같은 토론방식, 주로 개인 단위로 실시
⑤ 자기연수 = 조사, 번역, 독서, 논문 등
10. 인사고과
① 각 직원의 직무에 관련된 장점과 단점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
② 조직 구성원의 현재 또는 미래의 능력과 업적을 평가함으로써 각종
인사 정책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활용하는 것.
11. 인사고과의 오류
① 현혹효과 : 감독자가 자신이 어느 한 특성에 부여한 평가결과로 인해 모든 요소에 대한 평가결과에 부당하게 영향 미침.
② 관대화 : 좋지 않은 고과 결과로 인해 생겨날 수 있는 언짢은 일을 겪지 않으려는 고과자가 범하는 것으로 아주 우수한 직원에게는 불리
③ 중심화 : 사서들의 성과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할 경우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은 중간정도의 고과를 내림.
12. 인사고과 방법
① 서술법 : 직원의 직무에 대한 지식과 장단점, 승진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개인의 성과를 기술하는 방식.
② 강제할당법 : 관대화에 의한 고리를 막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미리 정해진 각 성과의 비율에 따라 점수 매김
6. 직무 기술서(job descriptions)
① 정의 : 특정직무에 관련된 의무와, 그 직무와 조직의 다른 단위와의 관계,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과 기술, 경험과 같은 개인적 특성을 명시
② 신입사원의 모집에도 사용이 가능
③ 공식적인 인사고과의 근거가 된다
④ 포함요소
- 직무 명칭(job title)
- 직무의 목적
- 직무활동과 절차 : 해당 직무에 종사하는 사람이 수행하는 과업에
대한 설명, 해당 직무에 대한 의무와 책임에 대한 분명한 설명 필요
- 해당 직무가 전체 기관에 대해 갖는 관계
- 직무 요건(job requirements) : 각 조직에 의해 설정
요건에는 개인의 교육정도와 경력, 요구되는 특수기술이나 지식, 능력이 포함
7. 직무 분석(job analysis)
① 정의 : 직무의 성격에 관련된 모든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들 정보를 관리 목적에 적합하도록 정리하는 체계적인 과정
즉, 조직이 요구하는 일의 내용이나 요건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과정
8. 직무 평가(job evaluation)
① 정의 : 직무의 중요성, 위험도 등을 평가하여 다른 직무와 비교한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정하는 것
② 방법
- 계량적(양적인) 방법
점수법(point method)
요소 비교법(factor system) :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임금액으로 평가하는 방법
- 비계량적인 방법
서열법(ranking system) : 실제의 직위를 서로 비교하여 등급의 계층을 구분한다
직무분류법(job classification system) : 의무와 기술, 능력, 책임,
그 밖의 직무와 관련된 성질을 바탕으로 직무의 부류를 정의
9. 연수
① 관내연수 : 업무와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직장내에서 상사로부터 일상업무에 대해 교육을 받게 됨
② 관외연수 : 업무와 분리되어 이루어짐
③ 집단연수 = 각종의 도서관 단체나 관청, 교육기관 등에 의해 실시
④ 단독연수 = 심포지엄 등과 같은 토론방식, 주로 개인 단위로 실시
⑤ 자기연수 = 조사, 번역, 독서, 논문 등
10. 인사고과
① 각 직원의 직무에 관련된 장점과 단점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
② 조직 구성원의 현재 또는 미래의 능력과 업적을 평가함으로써 각종
인사 정책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활용하는 것.
11. 인사고과의 오류
① 현혹효과 : 감독자가 자신이 어느 한 특성에 부여한 평가결과로 인해 모든 요소에 대한 평가결과에 부당하게 영향 미침.
② 관대화 : 좋지 않은 고과 결과로 인해 생겨날 수 있는 언짢은 일을 겪지 않으려는 고과자가 범하는 것으로 아주 우수한 직원에게는 불리
③ 중심화 : 사서들의 성과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할 경우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은 중간정도의 고과를 내림.
12. 인사고과 방법
① 서술법 : 직원의 직무에 대한 지식과 장단점, 승진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개인의 성과를 기술하는 방식.
② 강제할당법 : 관대화에 의한 고리를 막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미리 정해진 각 성과의 비율에 따라 점수 매김
추천자료
정보매체의 발전과 도서관
지역사회 이용자를 위한 대학도서관 개방에 관한 연구
가브리엘 노데의 도서관 삶
청소년과 노인을 위한 도서관 프로그램 조사
중세 수도원 도서관 - 장미의 이름
우리 나라 전자도서관의 고찰
최신 정보기술을 이용한 디지털도서관
인천광역시 연수구 및 계양구 공공도서관 설립과정에 대한 고찰
영어교과를 위한 도서관 활용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A에 의한 대학 도서관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
스마트폰을 활용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정보화 시대의 도서관 윤리
정보사회에서의 정보기관 및 도서관의 정보교육
사회의 발달과 도서관의 역할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