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 동북아의 새로운 국제질서
가. 러시아의 입장
나. 중국의 입장
다. 미국의 입장
라. 일본의 입장
2. 러시아의 아-태 지역 외교전략
가. 동아시아 지역이 중요성을 가지게 된 요인
나. 러시아 외교정책의 변화와 중국의 중요성
3. 러-중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가져다 준 요인
가.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가져다 준 요인
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가져다 준 요인
다. 동반자 관계의 중요성
4. 러-중 경제 관계
가. 러시아와 중국의 경제 협력 부문
나. 양국교역의 장애요인
다. 장애요인의 향후 해결방안
5. 양국관계의 전망
1. 동북아의 새로운 국제질서
가. 러시아의 입장
나. 중국의 입장
다. 미국의 입장
라. 일본의 입장
2. 러시아의 아-태 지역 외교전략
가. 동아시아 지역이 중요성을 가지게 된 요인
나. 러시아 외교정책의 변화와 중국의 중요성
3. 러-중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가져다 준 요인
가.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가져다 준 요인
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가져다 준 요인
다. 동반자 관계의 중요성
4. 러-중 경제 관계
가. 러시아와 중국의 경제 협력 부문
나. 양국교역의 장애요인
다. 장애요인의 향후 해결방안
5. 양국관계의 전망
본문내용
고, 그 결과 1993년 80억 달러에 달하였던 총교역량이 이듬해에 50억 달러로 급감하였다.
다. 장애요인의 향후 해결방안
(1) 러-중이 무역을 확대하기 위해 새로운 무역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양국은 사장상황에 대한 다층 정보망, 무역분쟁에 대한 중재, 양국 은행간 관계확대등 전반적인 무역과 관련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2) 총무역거래에서 물물교환이 60%이상 차지하던 것이 물물교환의 점차적 폐지로 인해 1994년에 33.8%까지 줄었지만 양국사이 경제협력의 발전에 영향을 주는 경화결제 무역이 개선되어야 한다.
(3) 비국가구조 속에서 무역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양국간의 무역이 비국가구조에서 국가경로를 통한 무역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4) 양국무역의 확대를 위해 물류수송에 필요한 도로, 철도, 다리, 항만의 건설과 기존시설의 정비가 필요하다.
5. 양국관계의 전망
-양국관계는 과거처럼 형제적 관계가 아니라 보다 실질적 관계로 발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가. 러시아는 중국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중국 팽창에 대한 경계심이 있다. 특히 군사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이 장래 러시아의 안보상 최대, 직접적 위협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나. 재정적으로 경제적으로 양국은 아-태지역국가들에 의존해야 한다. 양국은 자국을 위해 제일 중요한 경제개혁을 촉진시키기 위해 아-태 지역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이 필수적이다.
다. 아-태 지역의 균형이 유지되고 상호 국가이익에 필요한 지속적 경제성장과 무역교류 증대에 도움이 되면, 양국은 상호 유익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계속 유지해 나갈 것 이다.
다. 장애요인의 향후 해결방안
(1) 러-중이 무역을 확대하기 위해 새로운 무역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양국은 사장상황에 대한 다층 정보망, 무역분쟁에 대한 중재, 양국 은행간 관계확대등 전반적인 무역과 관련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2) 총무역거래에서 물물교환이 60%이상 차지하던 것이 물물교환의 점차적 폐지로 인해 1994년에 33.8%까지 줄었지만 양국사이 경제협력의 발전에 영향을 주는 경화결제 무역이 개선되어야 한다.
(3) 비국가구조 속에서 무역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양국간의 무역이 비국가구조에서 국가경로를 통한 무역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4) 양국무역의 확대를 위해 물류수송에 필요한 도로, 철도, 다리, 항만의 건설과 기존시설의 정비가 필요하다.
5. 양국관계의 전망
-양국관계는 과거처럼 형제적 관계가 아니라 보다 실질적 관계로 발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가. 러시아는 중국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중국 팽창에 대한 경계심이 있다. 특히 군사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이 장래 러시아의 안보상 최대, 직접적 위협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나. 재정적으로 경제적으로 양국은 아-태지역국가들에 의존해야 한다. 양국은 자국을 위해 제일 중요한 경제개혁을 촉진시키기 위해 아-태 지역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이 필수적이다.
다. 아-태 지역의 균형이 유지되고 상호 국가이익에 필요한 지속적 경제성장과 무역교류 증대에 도움이 되면, 양국은 상호 유익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계속 유지해 나갈 것 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