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UGR-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자궁내태아발육지연
Ⅰ.간호력
ⅰ.산모와 출산과 관련된 정보
ⅱ.신생아 정보
Ⅱ.건강양상
ⅰ.feeding
ⅱ.배설
ⅲ.체중변화
ⅳ.<육체적 성숙도>
<신경근육 성숙도>
Ⅲ.진단검사
ⅰ.혈액검사
ⅱ.생화학검사
ⅲ.Urinalysis
ⅳ.전해질 검사
ⅴ.ABGA
Ⅳ.사용되는 약물
Ⅴ.간호진단
Ⅰ.간호력
ⅰ.산모와 출산과 관련된 정보
ⅱ.신생아 정보
Ⅱ.건강양상
ⅰ.feeding
ⅱ.배설
ⅲ.체중변화
ⅳ.<육체적 성숙도>
<신경근육 성숙도>
Ⅲ.진단검사
ⅰ.혈액검사
ⅱ.생화학검사
ⅲ.Urinalysis
ⅳ.전해질 검사
ⅴ.ABGA
Ⅳ.사용되는 약물
Ⅴ.간호진단
본문내용
)
반창고를 붙이거나 땔 때 세심한 주위를 기울이며 시행한다.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기저귀를 자주 체크하며 습기차지 않게 자주 교환하여 준다.
*간호수행: IV 시 신중하게 하여 손상을 되도록 줄였으며 IV keep 시 붓거나 빠지지 않
았는지 자주 점검하였다
반창고를 붙이거나 땔 때 피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위하며 시행했다.
체위변경을 실시하였다.(뒤집어 눕혔다 바로 눕혔다 반복하였다.)
기저귀를 자주 점검하여 습기차지 않게 자주 교환하여 주었다.
*평가: 피부가 깨끗하고 심한 손상은 없었으며 기저기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ⅲ.침습적 처치와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객관적 자료:①야위어 보이는 모습 (adm weight:1880 g)
②침습적 처치(IV, 혈액검사,ABGA등)
③한 병실에 많은 신생아들
*간호목표: 감염의 증거가 없을 것이고 감염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철저하게 hand wash 한다.
incubator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침습적 처치시 무균술을 적용한다.
*간호수행: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unasyn. gentamycin)
다른 신생아를 만질 때마다 철저히 hand wash를 하였다.
incubator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일주일에 한번 교체하였다.
vital sign을 측정
침습적 처치시 무균술을 적용해 시행하였다.
*평가: 감염의 증거가 없다. (vital sign에 큰 변화 없다.)
ⅳ.미성숙한 체온조절로 인한 비정상적 체온변화
*객관적 자료: ①부족해 보이는 피하지방조직
*간호목표:신생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열손실을 촉진시키는 상황을 피한다.(찬공기, 찬물건, 찬손등.)
통제된 환경을 제공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v/s sign을 체크한다.
*간호수행: incubator care를 한다.
일정한 온도를 조절하여 유지한다.
체온체크를 자주한다.
간호 시 손을 따뜻하게 하고 물건들을 따뜻하게 하여 사용한다.
처치시 incubator 의 hand hole을 통하여 시행한다.
*평가: 체온범위가 정상범주에 있다. (36.5~37.2)
ⅴ.폐 및 근신경계의 미성숙, 감소된 에너지로 인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객관적 자료: crying 시 cyanosis
약간의 chest retraction
*간호목표: 적절한 호흡 양상을 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호흡수와 호흡형태를 관찰한다.
중성온도 유지를 위해 적절한 환경을 유지한다.
목을 과도 신전 시키지 않는다.
청색증을 관찰한다.
필요시 suction을 한다.
ABGA 시행한다
*간호수행: v/s sign을 관찰하며 호흡수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chest retraction을 관찰하였다.
손수건을 이용해 목베게를 해주었다.
호흡음을 사정하였다.
ABGA를 시행하기 위해 동맥혈을 채취하였다.
*평가: chest retraction이 거의 없어져 보인다.
호흡은 규칙적이고 힘이 들지 않는다.
기도의 신전이 적절히 되어있다.
crying 시 cyanosis가 보이지 않는다.
반창고를 붙이거나 땔 때 세심한 주위를 기울이며 시행한다.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기저귀를 자주 체크하며 습기차지 않게 자주 교환하여 준다.
*간호수행: IV 시 신중하게 하여 손상을 되도록 줄였으며 IV keep 시 붓거나 빠지지 않
았는지 자주 점검하였다
반창고를 붙이거나 땔 때 피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위하며 시행했다.
체위변경을 실시하였다.(뒤집어 눕혔다 바로 눕혔다 반복하였다.)
기저귀를 자주 점검하여 습기차지 않게 자주 교환하여 주었다.
*평가: 피부가 깨끗하고 심한 손상은 없었으며 기저기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ⅲ.침습적 처치와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객관적 자료:①야위어 보이는 모습 (adm weight:1880 g)
②침습적 처치(IV, 혈액검사,ABGA등)
③한 병실에 많은 신생아들
*간호목표: 감염의 증거가 없을 것이고 감염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철저하게 hand wash 한다.
incubator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침습적 처치시 무균술을 적용한다.
*간호수행: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unasyn. gentamycin)
다른 신생아를 만질 때마다 철저히 hand wash를 하였다.
incubator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일주일에 한번 교체하였다.
vital sign을 측정
침습적 처치시 무균술을 적용해 시행하였다.
*평가: 감염의 증거가 없다. (vital sign에 큰 변화 없다.)
ⅳ.미성숙한 체온조절로 인한 비정상적 체온변화
*객관적 자료: ①부족해 보이는 피하지방조직
*간호목표:신생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열손실을 촉진시키는 상황을 피한다.(찬공기, 찬물건, 찬손등.)
통제된 환경을 제공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v/s sign을 체크한다.
*간호수행: incubator care를 한다.
일정한 온도를 조절하여 유지한다.
체온체크를 자주한다.
간호 시 손을 따뜻하게 하고 물건들을 따뜻하게 하여 사용한다.
처치시 incubator 의 hand hole을 통하여 시행한다.
*평가: 체온범위가 정상범주에 있다. (36.5~37.2)
ⅴ.폐 및 근신경계의 미성숙, 감소된 에너지로 인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객관적 자료: crying 시 cyanosis
약간의 chest retraction
*간호목표: 적절한 호흡 양상을 보일 것이다.
*간호계획: 호흡수와 호흡형태를 관찰한다.
중성온도 유지를 위해 적절한 환경을 유지한다.
목을 과도 신전 시키지 않는다.
청색증을 관찰한다.
필요시 suction을 한다.
ABGA 시행한다
*간호수행: v/s sign을 관찰하며 호흡수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chest retraction을 관찰하였다.
손수건을 이용해 목베게를 해주었다.
호흡음을 사정하였다.
ABGA를 시행하기 위해 동맥혈을 채취하였다.
*평가: chest retraction이 거의 없어져 보인다.
호흡은 규칙적이고 힘이 들지 않는다.
기도의 신전이 적절히 되어있다.
crying 시 cyanosis가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