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 성장 지연아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궁내 성장 지연아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자 정보

2. 문헌고찰

3. 간호과정

4.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10월 17일 검사가 나갔으며 결과는 10월31일경 나올 예정임.
4) 과거력
: hepavox와 vitmin k를 IM으로 투여함.
5) 영양력
: 인공수유가 행해지며 feeding후 Nausea와 Vomiting이 있음.
1. 간호진단 : 폐 확장 감소와 관련된 gas 교환의 장애
사정
목표
중재
평가 및 재계획
객관적 자료>>
분만 시
*OR에서 cyanosis(+), innitial crying(-), HR은 100회이하
*NUR 도착시
cyanosis(+) 그러나 약간은 호전된 cyanosis임.
*SaO2 : 19%
1. 3일 후 Gas교환을 나타내는 징후가 사라진다.
- SaO2: 90~100%를 유지
-cyanosis(-)
-HR: 120회~160회/분
2.약 일주일후 스스로 안정적인 호흡을 할 수 있다.
- 산소 투여가 되지 않더라도 Room air로 정상적인 호흡이 가능함.
1. 자극을 주어 아이를 울린다
2.산소를 공급한다.
- Ambubagging, oxydom, intubation 등을 통해서 공급한다.
3.incubator care를 한다.
- 보육기 안의 산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
4.머리 쪽을 상승시켜 준다.
1.Gas교환을 나타내는 징후를 사정한다.
- 청색증은 없어짐
- SaO2 : 96~100%
- HR: 분당 110~ 150회 정도의 심박동률을 가짐.
2. O2 공급 중단 이 후에도 SaO2은 96~100%로 잘 유지되고 있다.
- 호흡양상 : 비교적 규칙적임.
- 호흡횟수 : 45회- 56회/분
영양
약품명
투여경로
약품의 종류
처방된 양 & 주입속도
Trophamine
IV
고단위 영양제
3cc/hr q 24hrs
Clioleic
IV
0.5cc/hr q24hrs fluid 에 mix해서 줄 것
Claforane
IV side
항생제
120mg q 12hrs
unasyn
IV side
항생제
90mg q 12hrs
공급 형태: 출생직후 24시간 NPO를 유지-> N-G Tube로 영양 공급-> oral feeding시도 -> 현재 oral feeding을 잘 하고 있음.
6) 투약과 관련된 정보
7)간호과정 적용
2. 간호 진단: 지속된 광선치료와 관련있는 잠재적 피부손상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중재
평가 및 재계획
*신생아 황달로 인하여 phototherapy를 받고있음.
- 10월17일 혈액 검사시 total - bilirubine의 수치가 10.38 mg/dl이 나와서 phototherapy를 시작함.
*치료가 끝난 후 피부손상은 없다.
- 망막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한다.
1. 광선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2. 망막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눈은 안대로 가린다.
3. 기저귀를 자주 갈아준다.
4. 2-3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을 한다.
-> 한 곳만 집중적으로 광선에 노출됨으로써 얻게되는 화상이나 다른 합병증을 방지하기위함.
1. 치료가 끝난 직후에는 photo rash가 있었으나 치료가 끝난 날로부터 2일 후 별다른 치료나 시술없이 사라짐.
2. 다른 증상은 나타나지 않음.
- 수유시 눈 접촉이 가능함.
3. 간호진단: 소화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중재
평가 및 재계획
객관적 양상>>
*수유직후 오심과 구토를 한다.
--> 특히 구강으로 영양공급을 할때 젖꼭지가 닿으면 그러한 증상이 심화됨.
- 구토시 구토물의 양상
:old blood가 섞여있음(10우/15)
milk 양상으로 greenish (10/16)
*수유직전 항상 위에 잔류량이 있음
*위 역류
*체중의 감소
-출생 시 체중: 2310g
10월 15일: 2230g
10월 16일; 2170g
10월 17일; 2160g
1. 5일 후에는 수유 시 오심과 구토의 증상이 완화된다.
- 하루동안 구토하는 횟수가 1-2회 정도로 줄어든다.
- 토물의 양상은 Milk의 형태이고 양도 줄어든다.
2. 위의 잔류량을 감소시킨다.
1. N.P.O를 시행한다.
2. 수유와 그 다음 수유사이의 간격을 줄이고 1회 수유량을 반으로 줄인다.
3.수유를 하는 중간에 신생아가 쉴 수 있는 시간을 주며 트림을 자주 시킨다.
4.수유 시 신생아의 신체적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1. 중재를 적용하기 전에는 1일 구토횟수가 3-4회였으나 중재를 적용하고 3일이 지난후 에는 1일 1-2회로 횟수는 줄어듦.
2. 3일후 수유직후 토물의 양상은 뿌연 물에 덩어리 몇 개가 있는 것처럼 보였음.
2. 영양의 부족이나 결핍으로 인한 탈수와 같은 증상을 예방한다.
탈수, 빈혈 등을 의미하는 검사결과가 나타나지 않음.
1. 정맥으로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2.구강영양공급이 어려울 때 영양제(trophamine)을 공급한다.
3. 1주 후 체중의 감소는 없다.
1. 매일 I/O와 체중을 확인한다.
*체중의 증가*
10월 18일; 2230g
10월 19일; 2220g
10월 20일: 2250g
10월 21일; 2320g
-> incubator care stop됨.
4. 결론 및 제언
개인적으로 나는 신생아실에서 실습을 하는 것이 처음이라 떨리고 걱정되는 마음이 앞선다. 혹이나 수유를 하다 아이를 떨어뜨리거나 아이를 다루는 것이 서툴러서 아이가 나 때문에 다치지는 않을까..또 선생님들께 실수를 한다거나 잘못을 해서 혼이 나지는 않을까 하는..
이런 저런 걱정이 많았기에 아기들을 다룰 때 조심스러웠었고 특히 이번 간호과정 적용대상이었던 고위험 신생아의 곁에 있게될 때면 더욱 그러하였다.
나는 이번 Conference를 계기로 미숙아에 대한 생각을 달리하게 되었다. 예전에는 무조건 불쌍하다. 저 아이들은 정상아가 아니다.. 등등의 생각으로 장애인쯤으로 여겼었으나, 지금은 생명재단 '미숙아 사랑'의 외침처럼 그 아이들은 작은 몸으로 아픔과 어려움을 이겨나가려는 최대의 노력을 보임으로써 가족에게.. 세상의 수많은 사람들에게 기적과 같은 희망을 선물하는 희망동이이다.
미숙아, 고위험 신생아, 저 체중 출산아, 조산아.. 이제 그들은 세상의 한쪽에서 가려진 채 잊혀져 가는 존재가 아닌 그 작디작은 몸으로 기적(?)아니 아름다운 희망을 꿈꾸게 하는 우리의 희망동이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6.1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