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갈퉁의 국제관계
1. 위계적 질서구조로서의 국제관계
2. 국제질서 변화의 동력(動力) - 폭력
Ⅲ. 갈퉁 이론의 의의와 한계
Ⅱ. 갈퉁의 국제관계
1. 위계적 질서구조로서의 국제관계
2. 국제질서 변화의 동력(動力) - 폭력
Ⅲ. 갈퉁 이론의 의의와 한계
본문내용
증을 위해서는 우선 위계차원을 결정하여야 하고 각각의 위계변수를 설정하고 측정을 위한 작업화를 해야한다. 갈퉁의 논의 구조를 따른다면 이익(interest)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느냐는 점이 중요하다. 생활조건의 관점에서 이익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익의 부조화는 생활조건의 격차가 크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러나, 비록 갈퉁이 생활조건의 측정기준으로 소득, 물질적인 생활수준 등의 양적인 면과, 생활의 질, 자율성 등의 질적인 면을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를 명백하게 개념화하고 있지는 않다. 상대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상위와 하위의 개념을 명백히 구분한다는 것은 사실상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갈퉁의 논의구조, 특히 제국주의론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예컨대, 중심-주변의 중심부 계층이 항상 이익의 조화관계에 있다는 것은 사실에 부합되지 않는다. 가령, 민족주의의 경우 전제되는 것은 구성원간에 공동 이익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국가의 내부적 구성이 중심과 주변으로 나누어져 이익을 달리하고 있으면, 민족주의는 중심부 계층의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고 여겨질 수밖에 없다. 이것은 적어도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게다가, 갈퉁의 논의구조, 특히 제국주의론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예컨대, 중심-주변의 중심부 계층이 항상 이익의 조화관계에 있다는 것은 사실에 부합되지 않는다. 가령, 민족주의의 경우 전제되는 것은 구성원간에 공동 이익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국가의 내부적 구성이 중심과 주변으로 나누어져 이익을 달리하고 있으면, 민족주의는 중심부 계층의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고 여겨질 수밖에 없다. 이것은 적어도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