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의 목적
2. 용어의 정의
3. 기구 및 재료
4. 시험 방법
5. 계 산
2. 용어의 정의
3. 기구 및 재료
4. 시험 방법
5. 계 산
본문내용
마른 흙의 부피(㎤)
Ws : 마른 흙의 양(g)
rw : 물의 밀도(g/㎠)
또, 흙의 입자의 비중(Gs) 및 수축비(R)가 구해지면 수축 한계(ws)는 다음 식에서 구한다.
w_s=( { 1} over {R }- { 1} over {G_s })
×100(%)
. 수축비
R= { W_s} over {V_0 ·r_w }
여기에서 R : 수축비
. 체적 변화
C = (w1 - Ws)R(%)
여기에서 C : 체적 변화(%)
w1 : 주어진 함수비(%)
. 선수축 : 다음식 또는 다음 그림에서 구한다.
L_s = (1-3 SQRT { { 100} over {C+100 } } )
×100(%)
여기에서 Ls = 선 수 축(%)
25
20
선수축 Ls(%) 15
10
5
0
10 20 30 40 50 60 70
체적변화 C(%)
<그림> 선수축을 구하는 곡선
. 흙 입자의 비중 : 체적 변화의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에서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G_s = { 1} over { { 1} over {R }- { w_s} over {100 } }
◎ 참고문헌
改正 土質力學, 이종규 著, 지문당, 부록 21~24 : 실험기구, 실험방법, 계산 참고
http://www.hyosungtesting.com/product/soil/hs434.html : 그림발췌
http://www.kdu.co.kr/page2/KDSO-260.html : 그림발췌
http://www.kdu.co.kr/page2/KDSO-250.html : 그림발췌
http://www.kcqmc.co.kr/eco/funeral_06.html : 그림발췌
Ws : 마른 흙의 양(g)
rw : 물의 밀도(g/㎠)
또, 흙의 입자의 비중(Gs) 및 수축비(R)가 구해지면 수축 한계(ws)는 다음 식에서 구한다.
w_s=( { 1} over {R }- { 1} over {G_s })
×100(%)
. 수축비
R= { W_s} over {V_0 ·r_w }
여기에서 R : 수축비
. 체적 변화
C = (w1 - Ws)R(%)
여기에서 C : 체적 변화(%)
w1 : 주어진 함수비(%)
. 선수축 : 다음식 또는 다음 그림에서 구한다.
L_s = (1-3 SQRT { { 100} over {C+100 } } )
×100(%)
여기에서 Ls = 선 수 축(%)
25
20
선수축 Ls(%) 15
10
5
0
10 20 30 40 50 60 70
체적변화 C(%)
<그림> 선수축을 구하는 곡선
. 흙 입자의 비중 : 체적 변화의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에서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G_s = { 1} over { { 1} over {R }- { w_s} over {100 } }
◎ 참고문헌
改正 土質力學, 이종규 著, 지문당, 부록 21~24 : 실험기구, 실험방법, 계산 참고
http://www.hyosungtesting.com/product/soil/hs434.html : 그림발췌
http://www.kdu.co.kr/page2/KDSO-260.html : 그림발췌
http://www.kdu.co.kr/page2/KDSO-250.html : 그림발췌
http://www.kcqmc.co.kr/eco/funeral_06.html : 그림발췌